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49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49


【경】 已知五敎ㅣ 貫於群詮이어니와 未審此經은 與彼와 何攝고 今顯此義야 分作三門노니 一은 彼 全攝此고 此 分攝彼니 謂圓敎也ㅣ오 二 此 分攝彼고

원각경언해 상1의1:76ㄴ

彼 不攝此니 謂初二也ㅣ오 三은 彼此克體ㅣ 全相攝屬니 卽終頓也ㅣ라

五敎ㅣ 한 詮에 요 주001)
요:
-(꿰다) + -옴 + -.
마 아라니와 주002)
아라니와:
알-(알다) + -아 + -ㄴ[관형형 어미] + 이(것) + -와.
仔細히 모리로다 주003)
모리로다:
모-(모르다) + -ㄹ + -이 + -도다.
이 經은 뎌와 어듸 자피뇨 주004)
자피뇨:
잡- + -히[피동 접미사] + -뇨[의문형 종결 어미]. * -뇨는 ‘어듸’와 같은 의문사가 동반될 때 선택되는 어미임.
이제 이 義를 나토아 세 門에 화 주005)
화:
호-(나누다) + -아.
노니 주006)
노니:
-(만들다)[‘ㄹ’ 불규칙 용언] +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 + -오-[화자 표시 선어말 어미] + -니.
나 뎌 이 오로 잡고 이 뎌 화 자니 圓敎 니고
【이 經이 뎌 圓敎 화 잡다 判호 이 經에 諸佛ㅅ 身相과 國土왜 自在야 룜 업슨 塵沙大用과 一切 諸法이 法다이 서르 卽며 서르 드러 重重히 노가 자 等엣 들 기 초 니디 아니 샤 브틀 주007)
브틀:
븥-(붙다, 의지하다, 유래한다, 연원한다) + -으- + -ㄹ.
오로 일후믈 圓敎ㅣ라 몯 니 호다 닐오 오직 一眞法界ㅅ 體와 觀行門 中에 一와 多왜 룜 업슨 等

원각경언해 상1의1:77ㄱ

엣 들 바 나토샤 자면 곧 華嚴과 니라】

오교가 많은 전에 뀀을 이미 알았거니와 자세히 모르는 것이로다. 이 경은 저와 어디 잡히느냐. 이제 이 의를 나타내어 세 문에 나누어 만드니, 하나는 저것은 이것을 완전히 잡고 이것은 저것을 나누어 잡으니 원교를 이르고
【이 경이 저 원교를 나누어 잡는다고 판단함은 이 경에 제불의 신상과 국토가 자재하여 분별함 없는 진사대용과 일체 제법이 법답게 서로 즉하며 서로 들어, 중중히 녹아 잡은 것 등의 뜻을 밝게 갖추어 이르지 아니하심을 의지하므로 온전히 이름을 원교라 못하니, 나눈다 일컬음은 오직 일진법계의 체와 관행문 중에 일과 다가 분별함 없는 등의 뜻을 바로 나타내심을 잡으면 곧 화엄과 같으니라.】

둘흔 이 뎌를 화 잡고 뎌 이 잡디 아니니 初와 二 니고
【文中에 我 그츠며 愛 덜며 주008)
덜며:
덜-(덜다, 제거하다) + -며.
二空觀 닷며  니샤  漸漸 닷 一切 한 品을 잡다 실 能히 뎌를 잡고 그러나 다 圓明覺心을 자바 方便으로 닷가 니교 비러 샤 주009)
샤:
-(만들다) + -샤.
처과 미 體 업고 一一히 오직 이 覺明일 뎌 等의 자봄 아니라】

둘은 이것은 저것을 나누어 잡고 저것은 이것을 잡지 아니하니, 초와 이를 이르고
〈문중에 아 그치며 애 덜며 이공관 닦으며, 또 이르시되 또 점점 닦는 일체 많은 품을 잡는다 하시므로, 능히 저것을 잡고 그러나 다 원명각심을 잡아 방편으로 닦아 익힘을 빌어 만드시어, 처음과 마침이 체 없고 일일이 오직 이 각명이므로 저 등의 잡음이 아니라.〉

세흔 뎌와 이왓 一定 體 오로 서르 자펴 屬니 곧 終과 頓괘라
【이 經이  如來藏 브튼 젼며 文에 니샤 幻 알면 곧 여희욤히라 샨 젼며  니샤 일후미 頓敎大乘이라 샨 젼라】

셋은 저것과 이것의 일정한 체가 온전히 서로 잡혀 속하니 곧 종과 돈이라.
【이 경이 또 여래장을 의지한 까닭이며 문에 이르시되 환을 알면 곧 여의는 것들이라 하신 까닭이며 또 이르시되 이름이 돈교대승이라 하신 까닭이라.】

【종밀주석】 權實對辨訖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1:78ㄱ

權과 實와 마초아 주010)
마초아:
마초-(맞추다, 견주다) + -아.
요미 니라 주011)
니라:
-(마치다, 끝내다) +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권과 실을 맞추어 구별함을 끝내니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요:-(꿰다) + -옴 + -.
주002)
아라니와:알-(알다) + -아 + -ㄴ[관형형 어미] + 이(것) + -와.
주003)
모리로다:모-(모르다) + -ㄹ + -이 + -도다.
주004)
자피뇨:잡- + -히[피동 접미사] + -뇨[의문형 종결 어미]. * -뇨는 ‘어듸’와 같은 의문사가 동반될 때 선택되는 어미임.
주005)
화:호-(나누다) + -아.
주006)
노니:-(만들다)[‘ㄹ’ 불규칙 용언] +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 + -오-[화자 표시 선어말 어미] + -니.
주007)
브틀:븥-(붙다, 의지하다, 유래한다, 연원한다) + -으- + -ㄹ.
주008)
덜며:덜-(덜다, 제거하다) + -며.
주009)
샤:-(만들다) + -샤.
주010)
마초아:마초-(맞추다, 견주다) + -아.
주011)
니라:-(마치다, 끝내다) + -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