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17


【경】 一은 理雖一味나 詮有淺深故ㅣ오 二 佛雖一音이시나 敎隨機異故ㅣ오 三은 本意 未申샤 隨他意語故ㅣ오 四 言有通別

원각경언해 상1의1:24ㄱ

시니 就顯說故ㅣ오 五 由辨權實야 不住枝流故ㅣ오

원각경언해 상1의1:24ㄴ

六은王之密語ㅣ 語 同호 事別故ㅣ오

원각경언해 상1의1:25ㄱ

七은 不識佛意와 以深爲淺면 失於大利고 以淺爲深면 虛其功故ㅣ오

원각경언해 상1의1:25ㄴ

八은 諸佛菩薩이 亦自分故ㅣ니

원각경언해 상1의1:26ㄱ

나 理 비록  마시나 마리 녀트며 기푸미 주001)
기푸미:
깊- + -움 + -이.
겨신 젼오 둘흔 부톄 비록 一音이시나 敎ㅣ 機 조차 다신 젼오 세흔 本來ㅅ 들 펴디 몯샤  주002)
:
(남,) + -.
들 조차 니샨 젼오 【부톄 세 마리 겨시니 나 걋 주003)
걋:
갸(자기, 당신) + -ㅅ[관형격 조사].
조샨 주004)
조샨:
좇-(좇다, 따르다) + -시- + -온.
마리니 걔 證샨  實 니샨 젼오 둘흔   조샨 마리니 一向야 方便으로 衆生을 혀시 주005)
혀시:
혀-(끌다, 이끌다) + -시- + -.
젼오 세흔 갸와 괏 들 조샨 마리니  걋 證을 니시며  機 조신 젼니 마 세 가지 이실 모로매 홀디니라 주006)
홀디니라:
호-(나누다) + -ㄹ[관형사형 어미] + (것)[의존 명사] + -이니라.
네흔 말미 通과 別왜 겨시니 顯 마래 나간 젼오

원각경언해 상1의1:26ㄴ

알 주007)
알:
앒(앞) + -.
주008)
현:
혀-(끌다, 켜다, 인용하다) + -ㄴ[관형사형 어미].
닌 주009)
닌:
-(같다) + -ㄴ[관형사형 어미] + 이(것)[의존 명사] + -ㄴ[대조의 보조사].
이 通야 드로 주010)
드로:
듣-[‘ㄷ’ 불규칙 동사] + -옴 + -.
조차 달이 주011)
달이:
다-(다르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알어니와 주012)
알어니와:
알- + -거니와[양보의 연결 어미]. * ‘ㄹ’ 아래에서 ‘ㄱ’이 탈락된 예임.
通티 몯니 이실 주013)
이실:
이시- (있다) + -ㄹ.
이 나가 호니라 顯에 나가 大般若애 空理 교맨 주014)
교맨:
기-(밝히다) + -옴 + -애[처소의 부사격 조사] + -ㄴ[대조의 보조사].
文이 顯고 覺性을 교맨 文이 隱홈 홈 히라】
다 權實 요 주015)
요:
-(가리다, 분별하다) + -옴 + -.
브터 枝流에 住티 아닌 주016)
아닌:
아니- + -. * ‘아니’에서 ‘’의 모음 ‘’가 줄어 든 ‘* 아닣’이 뒤의 ‘-’의 ‘ㄴ’ 음의 영향으로 ‘아닌’이 된 것임.
젼오 여스슨 王의 秘密 마리 마 호 이리 다 젼오 【涅槃애 니샤 先陀婆ㅣ  일후메 네 實이니 나 소고미오 둘흔 그르시오 세흔 므리오 네흔 리니 有智 臣下ㅣ 이 일후믈 이대 주017)
이대:
좋게, 잘.
아라 王이 시슬 제 先陀婆 求커든 주018)
구커든:
구- + -거든[조건의 연결 어미].
곧 므를 받고 주019)
받고:
받-(받다, 바치다) + --[객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 -고.
王이 밥 머글 제 先陀婆 求커든 곧 소고 받고 王이 밥 고 주020)
고:
-(마치다) + -고.
漿水 주021)
장수:
푹 끓인 좁쌀 미음. 숭늉.
마슈려 주022)
마슈려:
마시- + -우려[의향의 선어말 어미].
先陀婆 求커든 곧 그르슬 받고 王이 놀오져 주023)
놀오져:
놀- + -고져[바람의 연결 어미]. * ‘ㄹ’ 아래에서 ‘ㄱ’이 탈락된 예.
야 先陀婆

원각경언해 상1의1:27ㄱ

求커든 곧  받니 이티 有智 臣下ㅣ 大王 네 가짓 秘密 마 이대 아니 이 大乘經도  이 야 주024)
야:
-(같다) + -야[보조적 연결 어미].
네 無常이 잇니 大乘智臣이 반기 이대 알라 시니라】
닐구븐 부텻 들 아디 몯와 주025)
몯와:
몯-(못하다) + --[객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 -아[보조적 연결 어미]. * ‘--’은 ‘ㅂ’ 불규칙 활용을 함.
기프니로 주026)
기프니로:
깊- + -은 + 이(것) + -로[도구의 부사격 조사].
녀트닐 주027)
녀트닐:
녙-(옅다) + -은 + 이(것) + -ㄹ[목적격 조사].
사면 주028)
사면:
삼- + -면.
큰 利 일흐리오 주029)
일흐리오:
잃- + -으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고[나열의 연결 어미]. * 선어말 어미 ‘-리’ 뒤에서는 ‘-고’의 ‘ㄱ’이 탈락된다.
녀트니로 기프닐 사면 그 功 虛히  젼오 여들븐 諸佛菩薩이  걔 호신 젼니

하나는 이치가 비록 한 맛이나 말이 옅으며 깊음이 있는 까닭이요, 둘은 부처께서 비록 한 소리이시나 가르침이 기를 따라 다르신 까닭이요, 셋은 본래의 뜻을 펴지 못하시어 남의 뜻을 따라 이르신 까닭이요, 【부처께 세 말이 있으니, 하나는 당신의 뜻을 따르신 말이니 스스로 증명하신 실(實)들을 이르신 까닭이요, 둘은 남의 뜻을 따르신 말이니 일향(一向)하여 방편으로 중생을 이끄시는 까닭이요, 셋은 당신과 남의 뜻을 따르신 말이니 또 당신의 증명을 이르시며 또 기(機)를 따르신 까닭이니, 이미 세 가지가 있으므로 모름지기 나눌 것이니라.】 넷은 말씀에 통(通)과 별(別)이 있으니 나타난 말에 나아간 까닭이요, 【앞에 인용한 곳 같은 것은, 이는 통하여 들음을 따라 다르게 알거니와 통하지 못한 것이 있으므로 이에 나아가 나누니라. 나타남에 나아감은, 대반야(大般若)에 공리(空理)를 밝힘에는 글이 나타나고 각성(覺性)을 밝힘에는 글이 숨음 같음 들이라.】
다섯은 권(權)과 실(實)을 분별함으로부터 지류(枝流)에 주거하지 아니하는 까닭이요, 여섯은 왕의 비밀스런 말이 말은 같되 일이 다른 까닭이요, 【열반경에서 말하기를, 선타파(先陀婆)가 한 가지 이름에 네 가지 실(實)이 있으니, 하나는 소금이요, 둘은 그릇이요, 셋은 물이요, 넷은 말[馬]이니, 지혜 있는 신하가 이 이름을 잘 알아, 왕이 씻을 때 선타파를 구하면 곧 물을 바치고, 왕이 밥 먹을 때 선타파를 구하면 곧 소금을 바치고, 왕이 밥 마치고 숭늉 마시려 선타파를 구하면 곧 그릇을 바치고, 왕이 놀고자 하여 선타파를 구하면 곧 말을 바치니, 이같이 지혜 있는 신하가 대왕의 네 가지 비밀스런 말을 잘 아니, 이 대승경도 또 이와 같아서 네 가지 무상이 있으니 대승(大乘)의 지혜 있는 신하가 반드시 잘 알아라 하시니라.】
일곱은 부처의 뜻을 알지 못하여 깊은 것으로 옅은 것을 삼으면 큰 이익을 잃을 것이요, 옅은 것으로 깊은 것을 삼으면 그 공을 헛되이 하는 까닭이요, 여덟은 여러 부처와 보살들이 또 스스로 나누신 까닭이니,

【경】 以斯等意로 開則得多失少고 合則得少失多니 但能虛己求宗이언 分 亦何乖大旨리오 故로 今에 分之노니

이 等엣 드로 호면 得홈 하고 失홈 젹고 뫼호면 주030)
뫼호면:
뫼호-(모으다) + -면.
得홈 젹고 失홈 하니 오직 能히 모 虛히 

원각경언해 상1의1:27ㄴ

야 宗 求 니언 주031)
니언:
(뿐) + -이언[양보의 연결 어미를 가진 서술격 조사].
혼 주032)
혼:
호-(나누다) + -ㄴ[양보의 연결 어미].
 엇뎨 大旨예 어긔리오 그럴 이제 호노니

이런 뜻으로, 나누면 얻음이 많고 잃음이 적으며, 모으면 얻음이 적고 잃음이 많으니, 오직 능히 몸을 헛되이 하여 종(宗)을 구할 뿐이언정 나눈들 또 어찌 큰 뜻에 어기리오?

【경】 然이나 就分敎야 又諸德이 不同니

원각경언해 상1의1:28ㄱ

그러나 敎 호매 주033)
호매:
호-(나누다) + -ㅁ + -애.
나가  諸德이 디 아니니

그러므로 이제 나누니, 그러나 가르침 나눔에 나아가서 또 여러 스승이 같지 아니하니

【경】 今依賢首大師야 統收爲五노니 一은 小乘敎ㅣ오 二 大乘始敎ㅣ오 三은 終敎ㅣ오 四 一乘頓敎ㅣ오 五 圓敎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1:28ㄴ

이제 賢首大師 브터 뫼화 주034)
뫼화:
뫼호-(모으다) + -아.
다 노니 주035)
노니:
-(만들다)[‘ㄹ’ 불규칙 용언] +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 + -오-[화자 표시 선어말 어미] + -니.
나 小乘敎ㅣ오 둘흔 大乘始敎ㅣ오 세흔 終敎ㅣ오 네흔 一乘頓敎ㅣ오 다 圓敎ㅣ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제 현수(賢首) 대사에 의거해 모아서 다섯을 만드니, 하나는 소승교(小乘敎)이요, 둘은 대승 시교(大乘始敎)이요, 셋은 종교(終敎)이요, 넷은 일승 돈교(一乘頓敎)이요, 다섯은 원교(圓敎)이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기푸미:깊- + -움 + -이.
주002)
:(남,) + -.
주003)
걋:갸(자기, 당신) + -ㅅ[관형격 조사].
주004)
조샨:좇-(좇다, 따르다) + -시- + -온.
주005)
혀시:혀-(끌다, 이끌다) + -시- + -.
주006)
홀디니라:호-(나누다) + -ㄹ[관형사형 어미] + (것)[의존 명사] + -이니라.
주007)
알:앒(앞) + -.
주008)
현:혀-(끌다, 켜다, 인용하다) + -ㄴ[관형사형 어미].
주009)
닌:-(같다) + -ㄴ[관형사형 어미] + 이(것)[의존 명사] + -ㄴ[대조의 보조사].
주010)
드로:듣-[‘ㄷ’ 불규칙 동사] + -옴 + -.
주011)
달이:다-(다르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12)
알어니와:알- + -거니와[양보의 연결 어미]. * ‘ㄹ’ 아래에서 ‘ㄱ’이 탈락된 예임.
주013)
이실:이시- (있다) + -ㄹ.
주014)
교맨:기-(밝히다) + -옴 + -애[처소의 부사격 조사] + -ㄴ[대조의 보조사].
주015)
요:-(가리다, 분별하다) + -옴 + -.
주016)
아닌:아니- + -. * ‘아니’에서 ‘’의 모음 ‘’가 줄어 든 ‘* 아닣’이 뒤의 ‘-’의 ‘ㄴ’ 음의 영향으로 ‘아닌’이 된 것임.
주017)
이대:좋게, 잘.
주018)
구커든:구- + -거든[조건의 연결 어미].
주019)
받고:받-(받다, 바치다) + --[객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 -고.
주020)
고:-(마치다) + -고.
주021)
장수:푹 끓인 좁쌀 미음. 숭늉.
주022)
마슈려:마시- + -우려[의향의 선어말 어미].
주023)
놀오져:놀- + -고져[바람의 연결 어미]. * ‘ㄹ’ 아래에서 ‘ㄱ’이 탈락된 예.
주024)
야:-(같다) + -야[보조적 연결 어미].
주025)
몯와:몯-(못하다) + --[객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 -아[보조적 연결 어미]. * ‘--’은 ‘ㅂ’ 불규칙 활용을 함.
주026)
기프니로:깊- + -은 + 이(것) + -로[도구의 부사격 조사].
주027)
녀트닐:녙-(옅다) + -은 + 이(것) + -ㄹ[목적격 조사].
주028)
사면:삼- + -면.
주029)
일흐리오:잃- + -으리[미래 시상 선어말 어미] + -고[나열의 연결 어미]. * 선어말 어미 ‘-리’ 뒤에서는 ‘-고’의 ‘ㄱ’이 탈락된다.
주030)
뫼호면:뫼호-(모으다) + -면.
주031)
니언:(뿐) + -이언[양보의 연결 어미를 가진 서술격 조사].
주032)
혼:호-(나누다) + -ㄴ[양보의 연결 어미].
주033)
호매:호-(나누다) + -ㅁ + -애.
주034)
뫼화:뫼호-(모으다) + -아.
주035)
노니:-(만들다)[‘ㄹ’ 불규칙 용언] +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 + -오-[화자 표시 선어말 어미] + -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