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7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7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7]
十誦 주001)
십송(十誦):
십송률(十誦律)의 줄임.
애 닐오 주002)
발(鉢):
‘발다라(鉢多羅)’의 줄임. 스님들이 쓰는 식기.
恒沙 주003)
항사(恒沙):
항하사(恒河沙). 갠지스강의 모래와 같이 무수히 많은 수량.
諸佛ㅅ 보라미라 주004)
보라미라:
보증이다. 표시이다. 보람[標識]+이/ㅣ(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善見 주005)
선견(善見):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의 줄임. ‘선견론’이라고도 함. 제나라 승가발다라 번역. 상좌부(上座部)에서 전하는 율장(律藏)을 주석한 책.
에 닐오 三乘 주006)
삼승(三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에 대한 세 가지 교법(敎法). 깨달음에 이르는 세 가지 실천 법.
聖人이 다 디새 바리 주007)
디새 바리:
질그릇으로 된 바리를. 디새[瓦]+바리[鉢]+(목적격조사).
자시니라 주008)
자시니라:
잡으시느니라. 잡으신다. 잡-[執]+(/으)시++니+라.
五分律 주009)
오분율(五分律):
미사색부화혜오분율(彌沙塞部和醯五分律)의 주림. 30권. 불타습과 축도생이 공역함. ‘미사색부’는 소승 12부의 하나인데, 여기에 전하는 율임.
中에 나모 바리 주010)
나모 바리:
나무바리. 나무로 된 바리를. 나모[木]+바리[鉢]+//을/를/ㄹ(목적격조사). 불교계에서는 ‘바루’로 씀. 중세국어의 ‘나모’는 명사어간의 비자동교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단어이다. 휴지나 자음(반모음 포함) 앞에서는 ‘나모’로, 모음으로 시작되는 격조사 앞에서는 ‘’(남기, 남, 남 등)으로 교체됨.
면 偸蘭罪 주011)
투란죄(偸蘭罪):
투란차(偸蘭遮)와 같음. 추악한 죄란 뜻임.
 犯리라≪偸蘭은 크다 혼 마리오 遮 善道 막다 혼 마리니 偸蘭遮罪 嘷呌地獄 주012)
호규지옥(嘷呌地獄):
8대 지옥의 하나. 많은 고통이 따르고 슬픔의 비명이 난다는 지옥임.
러디여 주013)
러디여:
떨어지어. 러디-[落]+아/어.
兜率天 주014)
도솔천(兜率天):
Tusita-deva. 욕계(欲界) 6천의 하나. 수미산 꼭대기에서 12만 유순 되는 곳에 있는 천계(天界)로 칠보로 된 궁전이 있고 한량없는 하늘사람들이 산다 함.
목수므

월인석보 25:55ㄴ

로 四千 歲리니 人間 數론 五十億六十千 주015)
오십억육십천(五十億六十千):
‘억’이란 수의 개념은 〈24ㄴ〉 ‘삼억육십천’에 소개한 것이 있음.
歲리니 人間 四百 年이 하 주016)
하:
하늘의. 하[天]+ㅅ(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 ‘ㅅ’ 앞에서 체언 말음 ‘ㅎ’은 탈락됨.
주017)
:
한. [一](평성, 관형사).
밤나지라 嘷呌 우를씨라 주018)
우를 씨라:
우는 것이다. 울-[泣]+(으)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라. 이 ‘’의 활용형은 ‘시 (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僧祇 주019)
승기(僧祇):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의 줄임. 40권. 동진(東晉)의 불타발타라와 법현이 공역함. 4부율의 하나.
예 닐오 外道 보라미며 주020)
보라미며:
보람이며. 보람[標識]+이/ㅣ(서술격조사)+며(연결어미).
주021)
:
때. [垢](거성, 명사).
무들니라 주022)
무들니라:
묻기 때문이다. 묻-[染]+(으)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이/ㅣ(서술격조사)+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미상)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7]
『십송』에 이르길 ‘발은 항사 제불의 표시이다.’ 『선견』에 이르되 ‘삼승의 성인이 모두 질그릇 바리를 잡으신다(쓰신다).’ 『오분율』 가운데 ‘나무바리를 쓰면 투란죄를 범할 것이다.’≪‘투란’은 크다 하는 말이고 ‘차’는 선도를 막다.’라는 말이니, 투란차죄는 호규지옥에 떨어져 도솔천 목숨으로 4천 세이리니, 인간 세계의 수로는 50억 60천 세이리니, 인간 세계의 4백 년이 하늘의 한 밤낮이다. ‘호규’는 우는 것이다.≫『승기』에 이르기를 ‘외도의 표시이며 때가 묻기 때문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십송(十誦):십송률(十誦律)의 줄임.
주002)
발(鉢):‘발다라(鉢多羅)’의 줄임. 스님들이 쓰는 식기.
주003)
항사(恒沙):항하사(恒河沙). 갠지스강의 모래와 같이 무수히 많은 수량.
주004)
보라미라:보증이다. 표시이다. 보람[標識]+이/ㅣ(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주005)
선견(善見):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의 줄임. ‘선견론’이라고도 함. 제나라 승가발다라 번역. 상좌부(上座部)에서 전하는 율장(律藏)을 주석한 책.
주006)
삼승(三乘):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에 대한 세 가지 교법(敎法). 깨달음에 이르는 세 가지 실천 법.
주007)
디새 바리:질그릇으로 된 바리를. 디새[瓦]+바리[鉢]+(목적격조사).
주008)
자시니라:잡으시느니라. 잡으신다. 잡-[執]+(/으)시++니+라.
주009)
오분율(五分律):미사색부화혜오분율(彌沙塞部和醯五分律)의 주림. 30권. 불타습과 축도생이 공역함. ‘미사색부’는 소승 12부의 하나인데, 여기에 전하는 율임.
주010)
나모 바리:나무바리. 나무로 된 바리를. 나모[木]+바리[鉢]+//을/를/ㄹ(목적격조사). 불교계에서는 ‘바루’로 씀. 중세국어의 ‘나모’는 명사어간의 비자동교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단어이다. 휴지나 자음(반모음 포함) 앞에서는 ‘나모’로, 모음으로 시작되는 격조사 앞에서는 ‘’(남기, 남, 남 등)으로 교체됨.
주011)
투란죄(偸蘭罪):투란차(偸蘭遮)와 같음. 추악한 죄란 뜻임.
주012)
호규지옥(嘷呌地獄):8대 지옥의 하나. 많은 고통이 따르고 슬픔의 비명이 난다는 지옥임.
주013)
러디여:떨어지어. 러디-[落]+아/어.
주014)
도솔천(兜率天):Tusita-deva. 욕계(欲界) 6천의 하나. 수미산 꼭대기에서 12만 유순 되는 곳에 있는 천계(天界)로 칠보로 된 궁전이 있고 한량없는 하늘사람들이 산다 함.
주015)
오십억육십천(五十億六十千):‘억’이란 수의 개념은 〈24ㄴ〉 ‘삼억육십천’에 소개한 것이 있음.
주016)
하:하늘의. 하[天]+ㅅ(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 ‘ㅅ’ 앞에서 체언 말음 ‘ㅎ’은 탈락됨.
주017)
:한. [一](평성, 관형사).
주018)
우를 씨라:우는 것이다. 울-[泣]+(으)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라. 이 ‘’의 활용형은 ‘시 (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주019)
승기(僧祇):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의 줄임. 40권. 동진(東晉)의 불타발타라와 법현이 공역함. 4부율의 하나.
주020)
보라미며:보람이며. 보람[標識]+이/ㅣ(서술격조사)+며(연결어미).
주021)
:때. [垢](거성, 명사).
주022)
무들니라:묻기 때문이다. 묻-[染]+(으)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이/ㅣ(서술격조사)+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