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1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1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1]
즉재 주001)
즉재:
즉시. 곧. 즉재[卽]/즉자히. 이 어형이 같은 시기에 씌었는데, 전자는 후자에서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되어 2음절로 준 것으로 봄.
函을 여러 여러 가짓 奇特 주002)
기특(奇特):
기이하고 특이한. 奇特-+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이 보니 큰

월인석보 25:42ㄴ

주003)
비니(毗尼):
비내야(비내야, Vinaya). 조복(調伏), 선치(善治), 멸(滅), 율(律)이라 번역. 부처님이 제자를 위하여 마련한 계율의 총칭.
修多羅藏 주004)
수다라장(修多羅藏):
3장(藏)의 하나인 경장(經藏).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을 엮은 경전의 총칭.
迦葉遺敎 주005)
유교(遺敎):
석존이 설하여 남기신 가르침.
ㅣ 다 그 가온 이시며 주006)
이시며:
있으며. 이시/잇-[在]+며.
僧伽梨 조쳐 주007)
조쳐:
아울러. 겸하여. 조치-[兼]+아/어.
보니 뎌 부톄 주008)
부톄:
부처님이. 부처님이. 부텨[佛]+이/ㅣ(주격조사).
손 주009)
손:
손수. 손[自](부사). 이는 ‘ㅿ’의 소실 이후 ‘손조’로 쓰이다가 현대어 ‘손수’로 바뀜.
遺書 주010)
유서(遺書):
사후에 실행해야 할 일을 미리 적어 놓은 문서.
 쓰샤 樹神의게 付囑샤 내게 付囑게 시니 迦葉佛書 주011)
가섭불서(迦葉佛書):
가섭불의 유서.
에 닐오 내 처 주012)
처:
처음. 처[初, 始](거-평, 명사, 부사) 품사나 방점이 같이 씌었음.
成道 주013)
성도(成道):
깨달음을 여는 것. 부처님이 되는 것.
야 大梵天王이 내게 施니 뎌 시 주014)
시:
실은. 실[絲]+/은(보조사).
化出디 주015)
화출(化出)디:
변화해서 난 것이지. 化出-+디(연결어미). 긍정의 대상임을 강조하고 그 반대의 사태를 부정하는 어미로 ‘-디’는 ‘ㅸ’의 소실로 ‘-디위, -디외, -디웨’ 등으로 혼란된 표기를 보임.
고티 주016)
고티:
고치. 누에고치. 고티[繭].
주017)
:
켠.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은. -[紡]+ㄴ(관형사형 연결어미).
거시 아니라 梵天王經絲 주018)
경사(經絲):
날실. 피륙 등의 세로로 놓인 실.
 施고≪經絲 시리라≫堅窂地神王 주019)
견로지신왕(堅窂地神王):
‘견로’라는 이름의 지신.
 緯絲 施니

월인석보 25:43ㄱ

緯絲 주020)
위사(緯絲):
씨실. 피륙을 짤 때에 가로 건너 짜는 실.
시시리라 주021)
시시리라:
씨실이다. 시실[緯絲]+이/ㅣ+라.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수다라장가섭의 유교가 모두 그 가운데 있으며 승가리를 아울러(함께) 보니 저 부처님이 손수 유서를 쓰이어 수신에게 부촉하시어 내게 부촉하게 하시니, 가섭불의 유서에 이르되 “내가 처음 성도하니 대범천왕이 내게 보시하니 저 실은 변화해서 난 것이지 누에고치에서 뽑은 것이 아니다.” 범천왕은 경사를 보시하고≪‘경사’는 날실이다.≫견로지신왕(堅牢地神王)은 위사를 보시하니≪위사는 씨실이다.≫ 뎌 두 施主ㅣ 어우러 주022)
어우러:
어울러. 함께. 어울-[合]+어.
 法衣를 일워 주023)
일워:
만들어. 일우/일오-[成]+아/어.
주024)
내:
나의. 나+/의/ㅣ(관형격조사). → 〈8ㄴ〉네.
게 施야 내 成道 後로 녜 주025)
녜:
늘. 항상. 녜(常例)(평-거, 부사).
오 주026)
오:
옷을. 옷[衣]+(목적격조사).
니버 간도 주027)
간도:
잠깐도. 조금도. 간/잠+도(역시의 보조사).
損失 주028)
손실(損失):
덜리어 잃거나 손해를 봄.
티 아니야 이제 悉達손 付囑노니 成佛야 주029)
성불(成佛)야:
성불하면. 成佛-+아(조건의 연결어미).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에는 ‘/든’이 있는데 항상 과거 시상의 선어말어미 ‘-거/어-’와 ‘-아/어-’에 연결되어 사용됨. 중세국어시기에는 이미 하나의 어말어미와 같이 사용됨.
내 僧伽梨 가져 祇桓 中에 두고 毗尼 주030)
비니(毗尼):
vinaya의 음역. 경(經), 율(律), 논(論) 중의 율. 계율. 비니장(毘尼藏)과 같음. 교단의 규율. 또는 이를 설한 경전의 총칭.
轉 저기어든 주031)
저기어든:
때면. 적[時]+이(서술격조사)+어든(조건의 연결어미).
날 爲야 니브라 주032)
니브라:
입어라. 닙-[着]+으라(명령법 종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我即開函具見諸奇特事 有大毘尼及修多羅藏 迦葉遺教並在此中 并見僧伽梨彼佛手迹遺書 付囑樹神令付與我 迦葉佛書云 我初成道時大梵天王施我彼絲 是化出之非是繰繭 梵天王施經絲 堅牢地神王施緯絲 由彼二施主共成一法衣 由是義故 今持施我 我自成道已來常披此衣未曾損失 今付悉達 若得成佛 取我僧伽梨安置祇桓中 若轉毘尼時當爲我著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1]
내가 즉시 함을 열어 여러 가지의 기이한 일을 보니 큰 비니와 수다라장가섭의 유교가 모두 그 가운데 있으며 승가리를 아울러(함께) 보니 저 부처님이 손수 유서를 쓰이어 수신에게 부촉하시어 내게 부촉하게 하시니, 가섭불의 유서에 이르되 “내가 처음 성도하니 대범천왕이 내게 보시하니 저 실은 변화해서 난 것이지 누에고치에서 뽑은 것이 아니다.” 범천왕은 경사를 보시하고≪‘경사’는 날실이다.≫견로지신왕(堅牢地神王)은 위사를 보시하니≪위사는 씨실이다.≫ 저 두 시주자가 함께 한 법의를 만들어 내게 보시하니, 내가 성도한 후로 늘 이 옷을 입고 잠깐도 손실치 않아 이제 실달에게 부촉하니 성불하면 나의 승가리를 가져 기환(기원) 중에 두고 계율을 전할(굴릴) 때면 나를 위하여 입으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즉재:즉시. 곧. 즉재[卽]/즉자히. 이 어형이 같은 시기에 씌었는데, 전자는 후자에서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되어 2음절로 준 것으로 봄.
주002)
기특(奇特):기이하고 특이한. 奇特-+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3)
비니(毗尼):비내야(비내야, Vinaya). 조복(調伏), 선치(善治), 멸(滅), 율(律)이라 번역. 부처님이 제자를 위하여 마련한 계율의 총칭.
주004)
수다라장(修多羅藏):3장(藏)의 하나인 경장(經藏).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을 엮은 경전의 총칭.
주005)
유교(遺敎):석존이 설하여 남기신 가르침.
주006)
이시며:있으며. 이시/잇-[在]+며.
주007)
조쳐:아울러. 겸하여. 조치-[兼]+아/어.
주008)
부톄:부처님이. 부처님이. 부텨[佛]+이/ㅣ(주격조사).
주009)
손:손수. 손[自](부사). 이는 ‘ㅿ’의 소실 이후 ‘손조’로 쓰이다가 현대어 ‘손수’로 바뀜.
주010)
유서(遺書):사후에 실행해야 할 일을 미리 적어 놓은 문서.
주011)
가섭불서(迦葉佛書):가섭불의 유서.
주012)
처:처음. 처[初, 始](거-평, 명사, 부사) 품사나 방점이 같이 씌었음.
주013)
성도(成道):깨달음을 여는 것. 부처님이 되는 것.
주014)
시:실은. 실[絲]+/은(보조사).
주015)
화출(化出)디:변화해서 난 것이지. 化出-+디(연결어미). 긍정의 대상임을 강조하고 그 반대의 사태를 부정하는 어미로 ‘-디’는 ‘ㅸ’의 소실로 ‘-디위, -디외, -디웨’ 등으로 혼란된 표기를 보임.
주016)
고티:고치. 누에고치. 고티[繭].
주017)
:켠.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은. -[紡]+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8)
경사(經絲):날실. 피륙 등의 세로로 놓인 실.
주019)
견로지신왕(堅窂地神王):‘견로’라는 이름의 지신.
주020)
위사(緯絲):씨실. 피륙을 짤 때에 가로 건너 짜는 실.
주021)
시시리라:씨실이다. 시실[緯絲]+이/ㅣ+라.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주022)
어우러:어울러. 함께. 어울-[合]+어.
주023)
일워:만들어. 일우/일오-[成]+아/어.
주024)
내:나의. 나+/의/ㅣ(관형격조사). → 〈8ㄴ〉네.
주025)
녜:늘. 항상. 녜(常例)(평-거, 부사).
주026)
오:옷을. 옷[衣]+(목적격조사).
주027)
간도:잠깐도. 조금도. 간/잠+도(역시의 보조사).
주028)
손실(損失):덜리어 잃거나 손해를 봄.
주029)
성불(成佛)야:성불하면. 成佛-+아(조건의 연결어미).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에는 ‘/든’이 있는데 항상 과거 시상의 선어말어미 ‘-거/어-’와 ‘-아/어-’에 연결되어 사용됨. 중세국어시기에는 이미 하나의 어말어미와 같이 사용됨.
주030)
비니(毗尼):vinaya의 음역. 경(經), 율(律), 논(論) 중의 율. 계율. 비니장(毘尼藏)과 같음. 교단의 규율. 또는 이를 설한 경전의 총칭.
주031)
저기어든:때면. 적[時]+이(서술격조사)+어든(조건의 연결어미).
주032)
니브라:입어라. 닙-[着]+으라(명령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