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2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2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2]
이제 이 오留노니 주001)
유(留)노니:
머무르니. 남기니. 留-++오/우+니.
주002)
너:
너. 너[汝](평성, 대명사). 동음어로 ‘너[四](평성, 관형사)’도 쓰였음.
涅槃 後 一百年에 智慧 업슨 주003)
업슨:
없는. 없-+은(관형사형 연결어미).
比丘ㅣ 毗尼藏 주004)
비니장(毗尼藏):
vinaya-piṭaka. 3장의 하나. 비나야장(毘奈耶藏). 부처님 설한 계율의 총칭.
호아 주005)
호아:
나누어. 호-[分]+아/어.
五部 라 주006)
라:
만들면. -[作]+아(조건의 연결어미).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에는 ‘/든’이 있는데 항상 과거 시상의 선어말어미 ‘-거/어-’와 ‘-아/어-’에 연결되어 사용됨. 중세국어 시기에는 이미 하나의 어말어미와 같이 사용됨.
百年을 從야 後에 네

월인석보 25:43ㄴ

修多羅 주007)
수다라(修多羅):
3장의 하나인 경장(經藏).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을 엮은 경전(經典)을 통틀어 이름.
호아 주008)
호아:
나누어. 호-[分]+아/어.
無量部 주009)
무량부(無量部):
수많은 부수(部數).
외야 주010)
외야:
되어. 외-[爲]+아/어/야. 이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실사(實辭)로는 ‘軍馬ㅣ 니다’〈용가 98〉가 유일하며, 접미사 ‘- 다(평-평-거)’는 『석보상절』, 『월인석보』에 씌었음.
토 주011)
토:
다투는. 토-[爭]+(현재시제 선어말어미)+은/ㄴ(관형사형 연결어미).
議論이 니러나 주012)
니러나:
일어나. 니러나-[起]+아/어.
法이 리 滅케 주013)
멸(滅)케:
멸하게. 滅-+게(보조적 연결어미). ‘케’는 ‘+게’가 축약된 것임.
리니 뎌 어린 주014)
어린:
어리석은. 어리-[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이 三藏 주015)
삼장(三藏):
불교 성전(聖典)을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의 셋으로 분류한 이름.
모 주016)
모:
모르는. 모-[不知]++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젼로 깁옷 닙게 타 듣고 주017)
타 (듣고):
하다 (듣고). 했다고 (듣고). -+다(설명법 종결어미). ‘타’는 ‘다’의 축약된 표기임.
곧 누웨 주기리라 너 成道 後ㅣ면 뎌 시리 주018)
시리:
실이. 실[絲]+이/ㅣ(주격조사).
諸國에 절로 나리니 누웨 주균 주019)
주균:
죽인. 죽이-[殺]+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
거시 아니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今留此衣 汝涅槃後一百年 初有無智比丘分毘尼藏遂爲五部 從百年後 分汝修多羅 當爲無量部 諍論由興令法速滅 由彼愚僧不閑三藏 聞開著繒衣卽爲殺蠶 汝若成道後 (일부 미상)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2]
이제 이 옷을 남기니 너(네가) 열반 후 1백년에 지혜 없는 비구가 비니장을 나누어 다섯 부를 만들면 백년을 따라 후에 네가 수다라를 나누어 무량한 부수가 되고 다투는 의논이 일어나 법이 빨리 멸하게 할 것이니, 저 어리석은 중이 삼장을 모르는 까닭으로 깁옷 입게 하다(했다고) 듣고 곧 누에를 죽일 것이다. 네가 성도한 후이면 저 실이 모든 나라에 저절로 날 것이니 누에 죽인 것이 아니리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유(留)노니:머무르니. 남기니. 留-++오/우+니.
주002)
너:너. 너[汝](평성, 대명사). 동음어로 ‘너[四](평성, 관형사)’도 쓰였음.
주003)
업슨:없는. 없-+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4)
비니장(毗尼藏):vinaya-piṭaka. 3장의 하나. 비나야장(毘奈耶藏). 부처님 설한 계율의 총칭.
주005)
호아:나누어. 호-[分]+아/어.
주006)
라:만들면. -[作]+아(조건의 연결어미).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에는 ‘/든’이 있는데 항상 과거 시상의 선어말어미 ‘-거/어-’와 ‘-아/어-’에 연결되어 사용됨. 중세국어 시기에는 이미 하나의 어말어미와 같이 사용됨.
주007)
수다라(修多羅):3장의 하나인 경장(經藏).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을 엮은 경전(經典)을 통틀어 이름.
주008)
호아:나누어. 호-[分]+아/어.
주009)
무량부(無量部):수많은 부수(部數).
주010)
외야:되어. 외-[爲]+아/어/야. 이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실사(實辭)로는 ‘軍馬ㅣ 니다’〈용가 98〉가 유일하며, 접미사 ‘- 다(평-평-거)’는 『석보상절』, 『월인석보』에 씌었음.
주011)
토:다투는. 토-[爭]+(현재시제 선어말어미)+은/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2)
니러나:일어나. 니러나-[起]+아/어.
주013)
멸(滅)케:멸하게. 滅-+게(보조적 연결어미). ‘케’는 ‘+게’가 축약된 것임.
주014)
어린:어리석은. 어리-[愚]+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5)
삼장(三藏):불교 성전(聖典)을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의 셋으로 분류한 이름.
주016)
모:모르는. 모-[不知]++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7)
타 (듣고):하다 (듣고). 했다고 (듣고). -+다(설명법 종결어미). ‘타’는 ‘다’의 축약된 표기임.
주018)
시리:실이. 실[絲]+이/ㅣ(주격조사).
주019)
주균:죽인. 죽이-[殺]+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