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5와 다른 내용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5와 다른 내용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5와 다른 내용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5와 다른 내용]
내  梵王려 닐오 네 僧伽梨 내 頂上애 잇논 주001)
잇논:
있는. 잇/이시-[在]+(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들 주002)
들:
뜻을. [意]+을(목적격조사).
아다 주003)
아다:
아느냐? 알-[知]+(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다(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으)ㄴ다’는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의문법 어미. 중세국어 의문문은 판정의문이냐 설명의문이냐에 따라 의문어미가 나뉘는데 ‘-ㄴ다’는 판정의문과 설명의문의 구분이 없이 사용됨.
모다 주004)
모다:
모르느냐? 모르-+(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다(2인칭의 의문법 종결어미).
對答호 모노다 주005)
모노다:
모릅니다. 모-+(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내 닐오 이 未來옛 모딘 주006)
모딘:
모진. 모딜-[惡]+ㄴ(관형사형 연결어미).
比丘 比丘尼히 내 주007)
내:
나에게. 나+ㅣ+/의/ㅣ+긔/. 이는 관형격조사가 이중으로 쓰인 것인데, ‘내’는 소유주이고, ‘내’는 관형절에서의 의미상 주어로 쓰임. 여기서 이 대목은 ‘나의(내가) 해탈(解脫)할 때 입었던 법복을’ 정도로 풀이되는 것으로 봄.
解脫 法服 주008)
법복(法服):
가사(袈裟). 법의(法衣). 스님들이 입는 옷.
 恭敬 아니 릴 頂上애 두어 天魔 주009)
천마(天魔):
천자마(天子魔). 타화재천마(他化在天魔). 사람이 착한 일을 하려고 할 때, 방해하는 타화재천(욕계 꼭대기에 있는 제6천)의 마왕을 이름.
外道 것거 주010)
것거:
꺾어. -[折]+아/어(연결어미). 어간 ‘-’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종성의 ‘ㄱ’이 탈락되고, 모음어미 앞에서는 그대로 활용됨(것거, 것근, 것글).
降伏요려 주011)
항복(降伏)요려:
降伏-+이(사동접미사)+오려(의도의 연결어미).
논 젼라 내 河애 드러 주012)
드러:
들어가. 들-[入]+아/어(연결어미).
沐浴고 두 牧女 주013)
목녀(牧女):
소를 치는 여자.
졋粥 주014)
졋죽(-粥):
젖죽. 우유로 된 죽. 졎[乳]+죽(粥). ‘졋’은 ‘졎’의 8종성표기임.
바 주015)
바:
받을. 받-[受]+(/으)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저긔 주016)
저긔:
때에. 적에. 적+/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월인석보 25:38ㄱ

≪菩薩이 道樹 주017)
도수(道樹):
각수(覺樹).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연 바, 그 나무를 이렇게 이름.
에 가 제 天人 주018)
천인(天人):
천중(天衆). 욕계, 색계의 천계(天界)에 살고 있는 모든 유정(有情)의 신들.
善生村 주019)
선생촌주(善生村主):
‘선생촌’은 마을 이름. ‘선생촌주’는 선생촌 마을의 우두머리.
의 두 려 주020)
려:
달에게. +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닐오 주021)
네:
네가. 너+이/ㅣ(주격조사). → 〈8ㄴ〉네.
주022)
:
가장. 맨. [最](상성, 부사).
처믜 주023)
처믜:
처음에. 처+/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바 주024)
바:
밥을. 밥+(목적격조사).
施라 주025)
시(施)라:
보시하라. 施-+(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라(명령법 종결어미).
그제 두 리  일후믄 難陁ㅣ오 두 일후믄 婆羅ㅣ러니 주026)
바라(婆羅)ㅣ러니:
바라이더니. 바라이었으니. 婆羅+이/ㅣ(서술격조사)+더+니.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져즈로 주027)
져즈로:
(소) 젖으로. 졎[乳]+로/으로(부사격조사).
쑤더니 주028)
쑤더니:
쑤더니. 쑤-[煮]+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그 가마 우희 種種 瑞相 주029)
서상(瑞相):
상서로운 징조. 길조(吉兆).
이 現커 바리예 주030)
바리예:
바리에. 바리+에/애/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다마 주031)
다마:
담아. 담-[盛]+아/어.
菩薩 받 주032)
받:
받잡거늘.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
좌시고 주033)
좌시고:
자시고. 잡수시고. 좌시-[食]+고.
바리 주034)
바리:
바리를. 바리[鉢]+(목적격 조사).
尼連河 주035)
니련하(尼連河)애:
니련선하(尼連禪河). Nairaṅjana․natī. 중인도 마갈타국 가야성의 동쪽으로 흐르는 강으로 간지스강의 한 지류임.
더뎌시 주036)
더뎌시:
던지시거늘. 더디-[投]+어+시+. 연결어미 ‘-어’이 주체높임의 선어말어미와 ‘-시-’와 결합하면 ‘시어’이 아니라 ‘어시’이 됨.
天帝釋 주037)
천제석(天帝釋):
제석천(帝釋天). 제석(帝釋). 범천(梵天)과 함께 불법을 수호하는 신.
이 天上애 가져다가 塔 일어 주038)
일어:
이루어. 만들어. 일-[成]+아/어.
두고 주039)
두고:
두고. 두-[置]++고.
供養니라 주040)
공양(供養)니라:
공양하느니라. 공양하였다. 공양-+++니+라.
如來ㅅ 모미 마 無量 阿僧祇劫에 飮食을 受티 아니커신 주041)
아니커신:
아니하시건. 아니하신. 아니-+거/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함.

월인석보 25:38ㄴ

마 주042)
마:
마는. 마(평-거, 보조사). 이는 앞의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에 대한 의문이나 그와 어긋나는 상황 따위를 나타냄.
聲聞 주043)
성문(聲聞):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하는 이. 자신의 깨달음만을 생각하는 성자.
 爲샤 니샤 두 牧牛女 주044)
목우녀(牧牛女):
소를 치는 여자.
의 졋粥을 몬져 주045)
몬져:
먼저. 몬져[先](평-평, 부사). 이는 동음어로 명사로도 쓰였음. ‘嘉祥이 몬졔시니’〈용가 7장〉, ‘先은 몬졔오’〈월석 서:15〉.
바도라 주046)
바도라:
받았노라. 받-[受]+오/우+라(평서법 종결어미).
시니라 牧牛 주047)
쇼:
소. 쇼[牛](거성). 이는 치음 아래 이중모음의 단모음화로 현대어의 ‘소’로 변천되었음.
칠씨라 주048)
칠 씨라:
치는 것이다. 치-[養]+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 +다/라(설명법 종결어미). 관형사형어미 ‘-ㅭ’은 미래의 의미를 지니지만 여기서는 시제 중립적으로 사용됨. 의존명사 ‘’는 관형사어미 ‘-ㄴ’에 의해 수식받는 일이 없고 항상 ‘-ㄹ’에 의해 수식받음.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太子又告梵王 汝知僧伽梨在我頂上意不 答言不知 太子言 此爲未來諸惡比丘比丘尼等 不敬我解脫法服故 以衣在頂上住 爲摧伏天魔外道故 我入河浴 受二牧女乳糜時 〔역자 주〕(‘38ㄱ’ 저경(미상)을 건너 뛰어 ‘38ㄴ 3행’에 이어짐) 〔저경〕 (미상)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5와 다른 내용]
내가 또 범왕에게 이르기를 ‘네의 승가리가 나의 정수리 위에 있는 뜻을 아느냐? 모르느냐?’ 대답하되 ‘모릅니다.’ 내가 이르되 ‘너는 미래의 모진 비구 비구들이 내가 해탈할 때 입었던 법복을 공경하지 않으므로 정수리 위에 두어 천마의 외도를 꺾어 항복시키려 하는 까닭이다.’ 내가 강에 들어가 목욕하고 두 목녀의 우유로 쑨 죽을 받을 때에 ≪보살도수에 가실 때 천인이 선생촌주의 두 딸에게 이르기를 ‘네가 맨 처음에 밥을 보시하라.’ 그때 두 딸이, 한 명은 난타이고 다른 한 명은 바라였는데 〈소〉젖으로 죽을 쑤더니, 그 가마 위에 갖가지 서상이 나타나거늘 바리에 담아 보살께 받잡거늘 〈보살이 죽을〉 자시고 바리를 이련하에 던지시니 천제석이 천상에 가져다가 탑을 만들어 두고 공양하였다. ◯ 여래의 몸이 이미 무량 아승기겁에 음식을 받지 아니하신 마는 성문들 위하시어 이르시되 ‘두 목우녀의 우유로 쑨 죽을 먼저 받았노라.’ 하셨다. ‘목우’는 소를 치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잇논:있는. 잇/이시-[在]+(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2)
들:뜻을. [意]+을(목적격조사).
주003)
아다:아느냐? 알-[知]+(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다(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으)ㄴ다’는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의문법 어미. 중세국어 의문문은 판정의문이냐 설명의문이냐에 따라 의문어미가 나뉘는데 ‘-ㄴ다’는 판정의문과 설명의문의 구분이 없이 사용됨.
주004)
모다:모르느냐? 모르-+(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다(2인칭의 의문법 종결어미).
주005)
모노다:모릅니다. 모-+(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06)
모딘:모진. 모딜-[惡]+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7)
내:나에게. 나+ㅣ+/의/ㅣ+긔/. 이는 관형격조사가 이중으로 쓰인 것인데, ‘내’는 소유주이고, ‘내’는 관형절에서의 의미상 주어로 쓰임. 여기서 이 대목은 ‘나의(내가) 해탈(解脫)할 때 입었던 법복을’ 정도로 풀이되는 것으로 봄.
주008)
법복(法服):가사(袈裟). 법의(法衣). 스님들이 입는 옷.
주009)
천마(天魔):천자마(天子魔). 타화재천마(他化在天魔). 사람이 착한 일을 하려고 할 때, 방해하는 타화재천(욕계 꼭대기에 있는 제6천)의 마왕을 이름.
주010)
것거:꺾어. -[折]+아/어(연결어미). 어간 ‘-’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종성의 ‘ㄱ’이 탈락되고, 모음어미 앞에서는 그대로 활용됨(것거, 것근, 것글).
주011)
항복(降伏)요려:降伏-+이(사동접미사)+오려(의도의 연결어미).
주012)
드러:들어가. 들-[入]+아/어(연결어미).
주013)
목녀(牧女):소를 치는 여자.
주014)
졋죽(-粥):젖죽. 우유로 된 죽. 졎[乳]+죽(粥). ‘졋’은 ‘졎’의 8종성표기임.
주015)
바:받을. 받-[受]+(/으)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6)
저긔:때에. 적에. 적+/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주017)
도수(道樹):각수(覺樹).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연 바, 그 나무를 이렇게 이름.
주018)
천인(天人):천중(天衆). 욕계, 색계의 천계(天界)에 살고 있는 모든 유정(有情)의 신들.
주019)
선생촌주(善生村主):‘선생촌’은 마을 이름. ‘선생촌주’는 선생촌 마을의 우두머리.
주020)
려:달에게. +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주021)
네:네가. 너+이/ㅣ(주격조사). → 〈8ㄴ〉네.
주022)
:가장. 맨. [最](상성, 부사).
주023)
처믜:처음에. 처+/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주024)
바:밥을. 밥+(목적격조사).
주025)
시(施)라:보시하라. 施-+(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라(명령법 종결어미).
주026)
바라(婆羅)ㅣ러니:바라이더니. 바라이었으니. 婆羅+이/ㅣ(서술격조사)+더+니.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주027)
져즈로:(소) 젖으로. 졎[乳]+로/으로(부사격조사).
주028)
쑤더니:쑤더니. 쑤-[煮]+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29)
서상(瑞相):상서로운 징조. 길조(吉兆).
주030)
바리예:바리에. 바리+에/애/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31)
다마:담아. 담-[盛]+아/어.
주032)
받:받잡거늘.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
주033)
좌시고:자시고. 잡수시고. 좌시-[食]+고.
주034)
바리:바리를. 바리[鉢]+(목적격 조사).
주035)
니련하(尼連河)애:니련선하(尼連禪河). Nairaṅjana․natī. 중인도 마갈타국 가야성의 동쪽으로 흐르는 강으로 간지스강의 한 지류임.
주036)
더뎌시:던지시거늘. 더디-[投]+어+시+. 연결어미 ‘-어’이 주체높임의 선어말어미와 ‘-시-’와 결합하면 ‘시어’이 아니라 ‘어시’이 됨.
주037)
천제석(天帝釋):제석천(帝釋天). 제석(帝釋). 범천(梵天)과 함께 불법을 수호하는 신.
주038)
일어:이루어. 만들어. 일-[成]+아/어.
주039)
두고:두고. 두-[置]++고.
주040)
공양(供養)니라:공양하느니라. 공양하였다. 공양-+++니+라.
주041)
아니커신:아니하시건. 아니하신. 아니-+거/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함.
주042)
마:마는. 마(평-거, 보조사). 이는 앞의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에 대한 의문이나 그와 어긋나는 상황 따위를 나타냄.
주043)
성문(聲聞):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하는 이. 자신의 깨달음만을 생각하는 성자.
주044)
목우녀(牧牛女):소를 치는 여자.
주045)
몬져:먼저. 몬져[先](평-평, 부사). 이는 동음어로 명사로도 쓰였음. ‘嘉祥이 몬졔시니’〈용가 7장〉, ‘先은 몬졔오’〈월석 서:15〉.
주046)
바도라:받았노라. 받-[受]+오/우+라(평서법 종결어미).
주047)
쇼:소. 쇼[牛](거성). 이는 치음 아래 이중모음의 단모음화로 현대어의 ‘소’로 변천되었음.
주048)
칠 씨라:치는 것이다. 치-[養]+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 +다/라(설명법 종결어미). 관형사형어미 ‘-ㅭ’은 미래의 의미를 지니지만 여기서는 시제 중립적으로 사용됨. 의존명사 ‘’는 관형사어미 ‘-ㄴ’에 의해 수식받는 일이 없고 항상 ‘-ㄹ’에 의해 수식받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