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①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15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15]
善見 주001)
선견(善見):
책 이름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의 줄임. 마갈타국 불음(佛音) 지음, 제나라 승가발다라 역. 비구와 비구니의 계율을 자세히 기록한 책.
에 닐오 大衣 七條ㅣ 너븐 주002)
너븐:
넓은. 넙-[廣]+(/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론 주003)
론:
가[邊]로는. 테두리는. [邊](상성, 명사)+(/으)로+ㄴ. 이는 ‘ㅅ불규칙용언’의 경우와 같이 모음어미 앞에서는 ‘ㅅ’이 ‘ㅿ’으로 교체되고, 자음어미 앞에서는 ‘ㅅ’ 그대로 쓰였음. → 〈22ㄱ〉지니.
여듧 가라기오 긴 론 一榤手 內예 들우면 주004)
들우면:
뚫으면. 듧-[穿](ㅂ불규칙)+(/으)면.
주005)
수(受):
마음의 감수 작용. 오온(五蘊)의 하나.
호 일티 주006)
일티:
잃지. 잃-[失]+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아니고 五條 너븐 로 네 가라기오 긴 로 一榤手 內 주007)
일걸수내(一榤手內):
한 걸수 안. ‘걸수(榤數)’는 엄지와 중지(中指)를 벌린 길이. 또는 손목에서 중지 끝까지의 길이.
들우면일티 아니고 녀나 주008)
녀나:
그 밖의. 다른. 녀나(거-평-거, 관형사).
해 주009)
해:
땅에. 곳에. (ㅎ말음체언)+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죠고맛 주010)
죠고맛:
조그마한. 죠고맛(상-평-거, 관형사).
톱만 주011)
톱만:
손톱만한, 손톱만큼. 톱[爪]+만(단독, 정도의 보조사).
들워도 주012)
들워도:
뚫어도. 듧-[穿]+아/어+도(역시의 보조사).
호 일흐리니 주013)
일흐리니:
잃을 것이니. 잃-[失]+(/으)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깁고 주014)
깁고:
깁고. 깁-[補](상성, ㅂ불규칙동사)+고(연결어미).
持라 多論 주015)
다론(多論):
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毘尼毘婆沙)의 별칭. 『십송률』의 비구계를 해설한 것.
애 오직 緣 그츠면 주016)
그츠면:
끊어지면. 긏-[斷]+(/으)면(조건의 연결어미).
를 일흐리라 善見에 袈裟옷 크거든 조리고 주017)
조리고:
줄이고. 생략하고. 조리-[略]+고(연결어미).
젹거든 보타라 주018)
보타라:
보태라. 보타-[補]+(/으)라(명령법 종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善見 大衣 七條 廣邊八指 長邊一搩手內穿不失受 五條廣邊四指 長邊一搩手內穿不失 餘處穿如小指甲許失受 補竟受持 多論但使緣斷則失受 善見袈裟若大減却 若小以物裨之 >(불제비구육물도, 〈대정신수대장경〉 제45, 900쪽 중)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15]
『선견』에 이르기를 “대의 7조는 넓은 테두리는 여덟 가락이고 긴 테두리는 일걸수 안에 들게 하면 잃지 않고(전해 받고), 5조는 넓은 테두리는 네 가락이고 긴 테두리는 일걸수 안에 뚫으면 잃지 않고(전해 받고), 여남은 곳에 조그만 손톱만큼만 뚫어져도 받음을 잃을 것이니(전해 받지 못할 것이니) 깁고(보태고) 수지하라.” 『다론』에 〈이르기를〉 “오직 연만 그친다면 받음을 잃을 것이다(전해 받지 못할 것이다).” 『선견』에 “가사가 크면 줄이고 적으면 보태라.”〈고 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선견(善見):책 이름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의 줄임. 마갈타국 불음(佛音) 지음, 제나라 승가발다라 역. 비구와 비구니의 계율을 자세히 기록한 책.
주002)
너븐:넓은. 넙-[廣]+(/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3)
론:가[邊]로는. 테두리는. [邊](상성, 명사)+(/으)로+ㄴ. 이는 ‘ㅅ불규칙용언’의 경우와 같이 모음어미 앞에서는 ‘ㅅ’이 ‘ㅿ’으로 교체되고, 자음어미 앞에서는 ‘ㅅ’ 그대로 쓰였음. → 〈22ㄱ〉지니.
주004)
들우면:뚫으면. 듧-[穿](ㅂ불규칙)+(/으)면.
주005)
수(受):마음의 감수 작용. 오온(五蘊)의 하나.
주006)
일티:잃지. 잃-[失]+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07)
일걸수내(一榤手內):한 걸수 안. ‘걸수(榤數)’는 엄지와 중지(中指)를 벌린 길이. 또는 손목에서 중지 끝까지의 길이.
주008)
녀나:그 밖의. 다른. 녀나(거-평-거, 관형사).
주009)
해:땅에. 곳에. (ㅎ말음체언)+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0)
죠고맛:조그마한. 죠고맛(상-평-거, 관형사).
주011)
톱만:손톱만한, 손톱만큼. 톱[爪]+만(단독, 정도의 보조사).
주012)
들워도:뚫어도. 듧-[穿]+아/어+도(역시의 보조사).
주013)
일흐리니:잃을 것이니. 잃-[失]+(/으)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14)
깁고:깁고. 깁-[補](상성, ㅂ불규칙동사)+고(연결어미).
주015)
다론(多論):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毘尼毘婆沙)의 별칭. 『십송률』의 비구계를 해설한 것.
주016)
그츠면:끊어지면. 긏-[斷]+(/으)면(조건의 연결어미).
주017)
조리고:줄이고. 생략하고. 조리-[略]+고(연결어미).
주018)
보타라:보태라. 보타-[補]+(/으)라(명령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