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2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2]
王이 목노하 울오 주001)
울오:
울고. 울-[泣]+고/오.
毗舍離城 주002)
비사리성(毗舍離城):
Vaiśāli. 중인도에 있던 나라. 갠지스 강을 사이하여 남쪽의 마갈타국과 상대한 나라.

월인석보 25:58ㄴ

에 가니 尊者ㅣ 恒河 주003)
항하(恒河):
갠지스 강. 인도 북동부에 있는 큰 강.
ㅅ 가온 結加趺坐 주004)
결가부좌(結加趺坐):
오른 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는 법의 한 가지.
얫거 王이 절고 주005)
게(偈):
gāthā. 게송(偈頌). 산문체로 된 경전의 1절, 또는 문장을 다 마무리한 다음에 아름다운 글로써 묘한 뜻을 읊어 놓은 운문.
 닐오 三界尊 주006)
삼계존(三界尊):
삼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분, 부처님. 여기서는 ‘삼계의 존자’의 뜻으로 ‘아난존자’를 이름.
 머리 좃노니 주007)
좃노니:
조아리니. 좃-[稽](ㅅ불규칙)+++오/우+니. → 〈5ㄱ〉지.
悲願力 주008)
비원력(悲願力):
자비에 의한 맹세의 힘.
으로 涅槃 마쇼셔 주009)
마쇼셔:
마십시오. 말-[勿]+(/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현대어에서는 어간말음이 ‘ㄹ’일 때 어미의 두음 ‘ㅅ’이 탈락되는데(마쇼셔), 중세국어에서는 매개모음 ‘/으’를 개입시켜 ‘ㄹ’을 그대로 보존함.
毗舍離王이  河ㅅ  주010)
:
가에. 끝에. 변두리에. [邊]+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등에서 ‘’으로 씌었으나, 동시대의 『석보상절』〈19:4ㄱ〉(그지업스며  업스시니), 『월인석보』〈19:38ㄴ〉( 업시 저지 시니라) 등에 ‘’으로도 씌었음.
이셔  닐오 尊者ㅣ 엇뎨 주011)
엇뎨:
어찌. 엇뎨[何](상-거, 부사). ‘엇디’(평-평)도 씌었음.
리 주012)
리:
빨리. 리[速](평-거, 부사). -[速]+이(파생접미사).
寂滅

월인석보 25:59ㄱ

주013)
적멸장(寂滅場):
여기서는 글자대로 ‘적멸에 드는 곳’으로 봄. ‘적멸도량(寂滅道場)’은 세존이 깨달음을 연 붓다가야. 고대 마갈타국 네란쟈나 강 부근. 또는 마갈타국 가야성 남쪽의 보리수 아래를 이르기도 함.
가시니고 주014)
가시니고:
가시는 것입니까? 가십니까? 가-[去]+시++ㄴ#이(의존명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願 져근덛 주015)
져근덛:
잠깐. 져근덛(평-평-거, 부사).
住샤 供養 바쇼셔 주016)
바쇼셔:
받으십시오. 받-[受]+(/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尊者ㅣ 二國王이 주017)
다:
다. 모두. 다[皆](상성, 부사).
와 勸請  보고 偈 닐오 二王이 이대 주018)
이대:
잘. 좋게. 평안히. 이대[善](평-거, 부사).
嚴住샤 주019)
엄주(嚴住)샤:
머무를 곳을 장식함.
受苦 주020)
수고(受苦):
수고로이. 이 접미사 ‘-’는 ‘--/-’ ‘--/-’의 이형태가 있는데, 체언 말음이 순수한 자음이면 ‘--/-’가, 체언 말음이 모음이나 ‘ㄹ’ 어근 아래면 ‘--/-’로 교체되며, 어미의 두음이 자음이면 ‘--/--’이, 어두의 두음이 모음이나 매개모음이면 ‘--/-’로 교체되기도 함.
슬허 마쇼셔 주021)
슬허 마쇼셔:
슬퍼하지 마십시오. 슬허-[悲]+말[勿]+(/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원래는 ‘슬허디 마쇼셔’ 또는 ‘슬허티 마쇼셔’로 나타나야 하지만 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디’가 생략된 형태도 많이 나타남. ‘킈 젹도 크도 아니고 히 지도 여위도 아니니라〈월석 1:26ㄴ〉’처럼 피부정어의 어간에 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디’ 없이 바로 보조사 ‘-도’가 연결되기도 함.
涅槃이 내 寂靜 주022)
적정(寂靜):
마음의 번뇌가 없고, 몸에 괴로움이 없는 편안한 모양. ‘열반’을 이르기도 함.
에 當니 諸有 주023)
제유(諸有):
모든 것. 모든 중생.
ㅣ 업슨

월인석보 25:59ㄴ

젼다 주024)
젼다:
까닭입니다. 젼+이(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尊者ㅣ  너교 내  나라 向면 녀느 주025)
녀느:
다른. 여느. 녀느(평-평, 관형사).
나라히 주026)
나라히:
나라들이. 나라[國]+(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토리니 주027)
토리니:
타툴 것이니. 토-[爭]+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平等으로 有情 주028)
유정(有情):
sattva. 당나라 현장스님 이전은 ‘중생(衆生)’으로 번역하다가 그 이후 ‘유정’으로 번역함. 생명이 있는 모든 존재.
度脫 주029)
도탈(度脫):
생사의 바다를 건너 미계(迷界)를 벗어나 오계(悟界)에 들어감.
호리라 고 恒河 믌 가온 寂滅 주030)
적멸(寂滅):
‘열반(涅槃)’의 번역.
드로려 터니 주031)
드로려 터니:
들려 하더니. 들려 했는데. 들-[入]+오(의도법 선어말어미)+려(의도의 연결어미)+-+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王聞語已 失聲號慟哀感天地 即至毘舍離城 見阿難常河中流跏趺而坐 王乃作禮而說偈言 稽首三界尊 棄 我而至此 暫憑悲願力 且莫般涅槃 時毘舍離王亦在河側 復說偈言 尊者一何速 而歸寂滅場 願住須臾間 而受於供養 爾時阿難見二國王咸來勸請 乃說偈言 二王善嚴住 勿爲苦悲戀 涅槃當我淨 而無諸有故 阿難復念 我若偏向一國而般涅槃 諸國爭競 無有是處 應以平等度諸有情 遂於常河中流將入寂滅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2]
왕이 목 놓아 울고 비사리성에 가니, 존자가 갠지스 강의 가운데 결가부좌하고 있으니, 왕이 절하고 게를 이르되, 삼계의 존자께(아난존자께) 머리를 조아리오니 비원력으로 열반하지 마십시오. 비사리왕이 또 강 가에서 게를 이르되 “존자가 어찌 빨리 적멸의 장에 가십니까? 원컨대 잠시 머무셔서 공양을 받으십시오.” 존자가 두 국왕이 모두 와 권청하는 것을 〈존자가〉 보고, 게를 이르기를 “두 왕이 잘 엄주하시어 고통스럽게 슬퍼하지 마십시오. 열반이 나의 적정에 당하니 제유가 없는 까닭입니다.” 존자가 또 여기기를 ‘내가 한 나라로 가면 다른 나라들이 다툴 것이니, 평등함으로 일체 생명을 구제하리라.’ 하고, 갠지스 강의 물 가운데에서 적멸에 들려 했는데,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울오:울고. 울-[泣]+고/오.
주002)
비사리성(毗舍離城):Vaiśāli. 중인도에 있던 나라. 갠지스 강을 사이하여 남쪽의 마갈타국과 상대한 나라.
주003)
항하(恒河):갠지스 강. 인도 북동부에 있는 큰 강.
주004)
결가부좌(結加趺坐):오른 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는 법의 한 가지.
주005)
게(偈):gāthā. 게송(偈頌). 산문체로 된 경전의 1절, 또는 문장을 다 마무리한 다음에 아름다운 글로써 묘한 뜻을 읊어 놓은 운문.
주006)
삼계존(三界尊):삼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분, 부처님. 여기서는 ‘삼계의 존자’의 뜻으로 ‘아난존자’를 이름.
주007)
좃노니:조아리니. 좃-[稽](ㅅ불규칙)+++오/우+니. → 〈5ㄱ〉지.
주008)
비원력(悲願力):자비에 의한 맹세의 힘.
주009)
마쇼셔:마십시오. 말-[勿]+(/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현대어에서는 어간말음이 ‘ㄹ’일 때 어미의 두음 ‘ㅅ’이 탈락되는데(마쇼셔), 중세국어에서는 매개모음 ‘/으’를 개입시켜 ‘ㄹ’을 그대로 보존함.
주010)
:가에. 끝에. 변두리에. [邊]+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등에서 ‘’으로 씌었으나, 동시대의 『석보상절』〈19:4ㄱ〉(그지업스며  업스시니), 『월인석보』〈19:38ㄴ〉( 업시 저지 시니라) 등에 ‘’으로도 씌었음.
주011)
엇뎨:어찌. 엇뎨[何](상-거, 부사). ‘엇디’(평-평)도 씌었음.
주012)
리:빨리. 리[速](평-거, 부사). -[速]+이(파생접미사).
주013)
적멸장(寂滅場):여기서는 글자대로 ‘적멸에 드는 곳’으로 봄. ‘적멸도량(寂滅道場)’은 세존이 깨달음을 연 붓다가야. 고대 마갈타국 네란쟈나 강 부근. 또는 마갈타국 가야성 남쪽의 보리수 아래를 이르기도 함.
주014)
가시니고:가시는 것입니까? 가십니까? 가-[去]+시++ㄴ#이(의존명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주015)
져근덛:잠깐. 져근덛(평-평-거, 부사).
주016)
바쇼셔:받으십시오. 받-[受]+(/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주017)
다:다. 모두. 다[皆](상성, 부사).
주018)
이대:잘. 좋게. 평안히. 이대[善](평-거, 부사).
주019)
엄주(嚴住)샤:머무를 곳을 장식함.
주020)
수고(受苦):수고로이. 이 접미사 ‘-’는 ‘--/-’ ‘--/-’의 이형태가 있는데, 체언 말음이 순수한 자음이면 ‘--/-’가, 체언 말음이 모음이나 ‘ㄹ’ 어근 아래면 ‘--/-’로 교체되며, 어미의 두음이 자음이면 ‘--/--’이, 어두의 두음이 모음이나 매개모음이면 ‘--/-’로 교체되기도 함.
주021)
슬허 마쇼셔:슬퍼하지 마십시오. 슬허-[悲]+말[勿]+(/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원래는 ‘슬허디 마쇼셔’ 또는 ‘슬허티 마쇼셔’로 나타나야 하지만 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디’가 생략된 형태도 많이 나타남. ‘킈 젹도 크도 아니고 히 지도 여위도 아니니라〈월석 1:26ㄴ〉’처럼 피부정어의 어간에 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디’ 없이 바로 보조사 ‘-도’가 연결되기도 함.
주022)
적정(寂靜):마음의 번뇌가 없고, 몸에 괴로움이 없는 편안한 모양. ‘열반’을 이르기도 함.
주023)
제유(諸有):모든 것. 모든 중생.
주024)
젼다:까닭입니다. 젼+이(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25)
녀느:다른. 여느. 녀느(평-평, 관형사).
주026)
나라히:나라들이. 나라[國]+(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주027)
토리니:타툴 것이니. 토-[爭]+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28)
유정(有情):sattva. 당나라 현장스님 이전은 ‘중생(衆生)’으로 번역하다가 그 이후 ‘유정’으로 번역함. 생명이 있는 모든 존재.
주029)
도탈(度脫):생사의 바다를 건너 미계(迷界)를 벗어나 오계(悟界)에 들어감.
주030)
적멸(寂滅):‘열반(涅槃)’의 번역.
주031)
드로려 터니:들려 하더니. 들려 했는데. 들-[入]+오(의도법 선어말어미)+려(의도의 연결어미)+-+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