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2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2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2]
諸來 佛 주001)
제래불(諸來佛):
모든 오신 부처님.
人天衆 주002)
인천중(人天衆):
사람과 하늘의 신들.
려 니샤 各各 주003)
:
한. 같은. [一](평성, 관형사).
珠塔 施야 未來 住待라 주004)
주대(住待)라:
여기 ‘대(待)’ 자는 저경(底經)에도 같은 글자(住待)인 바, 이는 잘못된 것으로 보임. 영인본을 보면, ‘待(:)’로 동국정운음까지 달았는데, 이는 문맥으로 보아 ‘주지(住持)’임이 옳은 것으로 보임. ‘주지(住持)-’는 ‘잃지 않고 잘 간직함. 가르침을 보전함.’의 뜻임.
諸佛이 施야시 다 普賢맛디샤 주005)
맛디샤:
맡기셔. 맛디-[任]+시+아/어. 이 동사는 본디 ‘-(평성)[任]+이(사동접미사)’로 파생된 것임.
守護야 如來 涅槃 기드려 주006)
기드려:
기다려. 기드리-[待]+아/어.
祇桓 中에 보내야 주007)
보내야:
보내어. 보내-[送]+아/어.
戒壇 北에 뒷다가 주008)
뒷다가:
두었다가. 뒷-[置]+다가(전환의 연결어미).
舍利 주009)
사리(舍利):
śarīra의 음역. 특히 부처님의 유골(遺骨)을 이름.
 주010)
:
사르거든. -[燒]+(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조건의 연결어미).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에는 ‘/든’이 있는데 항상 과거 시상의 선어말어미 ‘-거/어-’와 ‘-아/어-’에 연결되어 사용됨. 중세국어시기에는 이미 하나의 어말어미와 같이 사용됨.
普賢을 야 주011)
보현(普賢)을 야:
보현보살을 시켜, 보현보살로 하여금.
守護야 二十 年을 住얫다가 주012)
주(住)얫다가:
머물렀다가. 住-+아/어/야#잇/이시-+다가.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화함. 이를 통해 ‘-’가 기원적으로는 ‘*-’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함.
그 後에 文殊 주013)
문수(文殊):
문수보살(文殊菩薩). → 〈49ㄱ〉보현.
 付囑야 塔 여러 四牙 가졧다가 주014)
가졧다가:
가졌다가. 가지-[持]+아/어/야#잇+다가.
正法 末時예 니르러 閻浮 諸國에 傳持야 佛法을 住持다가 一千

월인석보 25:52ㄱ

一百 年 後예 니르러 이 四牙로 百億 世界 形像애 印야 다 光明이 이셔 希有心 주015)
희유심(希有心):
아주 드문 마음.
내에 고 주016)
내에 고:
내게 하고. 내-[生]+게/에(보조적 연결어미)+-+고. ‘ㅣ’ 모음 아래에서 ‘게’의 ‘ㄱ’이 약화되어 ‘에’로 교체.
後에 四洲 주017)
사주(四洲):
수미산 사방에 있는 4대주.
六欲天 주018)
육욕천(六欲天):
3계(界) 중, 욕계(欲界)에 딸린 여섯 하늘의 세계. 이 하늘 사람들은 욕락(欲樂)이 있으므로 욕천(欲天)이라고도 함.
니르리 주019)
니르리:
이르게. 이르도록. 니르리[至](평-거-거, 부사).
化益 주020)
화익(化益):
교화(敎化)의 이익이 됨.
 流通다가 後에 文殊師利彌勒佛 주021)
미륵불(彌勒佛):
미륵(彌勒). Maitreya. 대승의 보살. 인도 바라내국의 바라문 집에 태어나 석존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그 하늘에서 천인들을 교화하며, 석존 입멸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나타나, 화림원(華林園)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서 성도하여 3회의 설법으로 석존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함.
 付囑라 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又告諸來佛及人天衆 各施一珠塔住待未來 諸佛依言施已 並付普賢守護 待如來涅槃 送至祇桓中安戒壇北 至闍維舍利竟 令普賢守護 住二十年已後付文殊 開塔取此四牙。至正法末時 令傳閻浮諸國佛法住持 乃至一千一百年後 將此四牙印百億世界形像 皆有光明生希有心 後乃至四洲六欲天等流通化益 後文殊師利將付彌勒佛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2]
또 모든 오신 부처님과 인천의 대중에게 이르시길 “각각 한 주탑을 보시하여 미래에 주지하라.” 제불이 보시하시니 모두 보현에게 맡기시고 수호하여 여래가 열반을 기다려 기환(기원정사) 중에 보내어 계단의 북쪽에 두었다가 사리를 다 사르거든 보현으로 하여금 지키고 보호하게 하여 20년을 머물게 하였다가 그 후에 문수께 부촉하여 탑을 열어 네 개의 어금니를 가졌다가 정법 말기 시대에 이르러 염부제의 모든 나라에 전하고 지켜 불법을 보존하다가 일천 일백 년 후에 이르러 이 네 개의 어금니로 백억 세계 형상에 인하여 모두 광명이 있어 희유심을 내게 하고 후에 4대주 6욕천에 이르도록 화익을 유통하다가 후에 문수사리 미륵불게 부촉하라 하시니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제래불(諸來佛):모든 오신 부처님.
주002)
인천중(人天衆):사람과 하늘의 신들.
주003)
:한. 같은. [一](평성, 관형사).
주004)
주대(住待)라:여기 ‘대(待)’ 자는 저경(底經)에도 같은 글자(住待)인 바, 이는 잘못된 것으로 보임. 영인본을 보면, ‘待(:)’로 동국정운음까지 달았는데, 이는 문맥으로 보아 ‘주지(住持)’임이 옳은 것으로 보임. ‘주지(住持)-’는 ‘잃지 않고 잘 간직함. 가르침을 보전함.’의 뜻임.
주005)
맛디샤:맡기셔. 맛디-[任]+시+아/어. 이 동사는 본디 ‘-(평성)[任]+이(사동접미사)’로 파생된 것임.
주006)
기드려:기다려. 기드리-[待]+아/어.
주007)
보내야:보내어. 보내-[送]+아/어.
주008)
뒷다가:두었다가. 뒷-[置]+다가(전환의 연결어미).
주009)
사리(舍利):śarīra의 음역. 특히 부처님의 유골(遺骨)을 이름.
주010)
:사르거든. -[燒]+(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조건의 연결어미).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에는 ‘/든’이 있는데 항상 과거 시상의 선어말어미 ‘-거/어-’와 ‘-아/어-’에 연결되어 사용됨. 중세국어시기에는 이미 하나의 어말어미와 같이 사용됨.
주011)
보현(普賢)을 야:보현보살을 시켜, 보현보살로 하여금.
주012)
주(住)얫다가:머물렀다가. 住-+아/어/야#잇/이시-+다가.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 만은 ‘야’로 변화함. 이를 통해 ‘-’가 기원적으로는 ‘*-’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함.
주013)
문수(文殊):문수보살(文殊菩薩). → 〈49ㄱ〉보현.
주014)
가졧다가:가졌다가. 가지-[持]+아/어/야#잇+다가.
주015)
희유심(希有心):아주 드문 마음.
주016)
내에 고:내게 하고. 내-[生]+게/에(보조적 연결어미)+-+고. ‘ㅣ’ 모음 아래에서 ‘게’의 ‘ㄱ’이 약화되어 ‘에’로 교체.
주017)
사주(四洲):수미산 사방에 있는 4대주.
주018)
육욕천(六欲天):3계(界) 중, 욕계(欲界)에 딸린 여섯 하늘의 세계. 이 하늘 사람들은 욕락(欲樂)이 있으므로 욕천(欲天)이라고도 함.
주019)
니르리:이르게. 이르도록. 니르리[至](평-거-거, 부사).
주020)
화익(化益):교화(敎化)의 이익이 됨.
주021)
미륵불(彌勒佛):미륵(彌勒). Maitreya. 대승의 보살. 인도 바라내국의 바라문 집에 태어나 석존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가 있으면서 그 하늘에서 천인들을 교화하며, 석존 입멸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나타나, 화림원(華林園)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서 성도하여 3회의 설법으로 석존의 교화에서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