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법장결집
  • 법장결집 3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장결집 3


[법장결집 3]
迦葉

월인석보 25:5ㄱ

혜여 주001)
혜여:
헤아리어. 생각하여. 혜-[量]+아/어. 어간의 부모음 ‘ㅣ’로 말미암아 어미 ‘어’가 ‘여’로 순행 동화되었음.
닐오 여슷 주002)
여슷:
여섯. 여슷[六].
突吉羅罪 주003)
돌길라죄(突吉羅罪):
duṣkṛta. 계율(戒律)의 죄명으로 몸과 입으로 지은 나쁜 죄업을 말함.
 犯니【突은 모딜 주004)
모딜:
모진. 모질. 모딜-[酷]+(/으)ㄹ(관형사형 연결어미).
씨오 주005)
씨오:
것이고. (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고/오. ‘+-이’가 축약되어 ‘시’로 표기되는데, 여기서 ‘씨’가 된 것은 앞의 ‘모딜’의 ‘관형사형어미 ㅭ’의 ‘ㆆ’이 피수식어 ‘’의 ‘ㅅ’을 각자병서로 바꾸고 ‘ㆆ’은 탈락된 것으로 봄. 또 의존명사 ‘’는 관형사형어미 ‘-ㄴ’과 ‘-ㄹ’ 중에서 ‘-ㄹ’ 뒤에서만 사용되는 특징을 가짐.
吉羅 지 주006)
지:
지을. 짓-[作](ㅅ불규칙)+(/으)ㄹ. ‘-’은 ‘짓-’의 이형태임. 이 ‘짓-[作]’의 종성 ‘ㅅ’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짓게, 짓고, 짓디...’와 같이 활용하여 변동이 없으나,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을 취하는 ‘-ㄴ, -ㄹ, -며, -시’ 등 어미 앞에서 ‘ㅅ’은 ‘ㅿ’으로 변동된다. 이와 같은 교체 현상은 모든 어간에 규칙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 ‘ㅅ’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불규칙활용으로 간주하는 것이며, 둘째는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ㅅ’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음절 끝소리 규칙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전자를 취하기로 하여 ‘ㅅ’불규칙으로 설명함.
씨라】
僧中에 다 懺悔라 阿難즉재 주007)
즉재:
즉시. 곧. 즉재[卽]/즉자히. 이 어형이 같은 시기에 씌었는데, 전자는 후자에서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되어 2음절로 준 것으로 봄.
러 合掌야 올 엇게 주008)
엇게:
어깨. 엇게[肩].
메왓고 주009)
메왓고:
한 쪽 어깨를 벗고. 메왓-/메-+고/오. 이는 ‘메[擔]-+밧-[脫]’ 비통사적 합성어로 이형태인 ‘메’은 ‘ㅸ’ 소실로 곧 쓰이지 않게 됨.
밧고 주010)
밧고:
벗고. ‘밧-[脫]’과 ‘벗-[免]’은 전자가 구체적인 뜻에, 후자는 추상적인 뜻에서 쓰였음.
懺悔야 迦葉이 僧中에 니러 손자바 나가라 야 닐오 주011)
네:
네가. 당시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다음과 같이 성조로 구별되었음. 주격은 ·내(거성) :네(상성) :제(상성) ·뉘(거성), 관형격은 내(평성), 네(평성), 제(평성) :뉘(상성)이다.
주012)
누(漏):
āsrava. 번뇌의 다른 이름.
 다아 

월인석보 25:5ㄴ

리니 殘結 주013)
잔결(殘結):
남은 번뇌.
업디옷 주014)
업디옷:
없어지지. 없-[無]+디+곳/옷(강세의 보조사).
몯면 네 오디 말라 고 손 주015)
손:
손수. 손[自](부사). 이는 ‘ㅿ’의 소실 이후 ‘손조’로 쓰이다가 현대어 ‘손수’로 바뀜.
門 닫고 羅漢콰 주016)
나한(羅漢)콰:
나한들과. (복수접미사)+과/와. ‘’은 ㅎ종성체언과 같이 모음 어미 앞에서는 연철되고, 자음어미 ‘ㄱ, ㄷ’과는 합음되어 격음으로 표기됨.
모다 주017)
모다:
모여. 몯-[會]+아/어(보조적 연결어미). ‘모도-[會]’는 ‘모으다’로 쓰였음.
議論호 주018)
뉘:
누가. 누[誰]+이/ㅣ(주격조사). 현대어 ‘누/누구’ ‘누구’는 여기 ‘누’는 ‘뉘’ 주격형, ‘눌’ 목적격형, ‘누고’는 의문형으로 쓰였으나, 이 중의 ‘누고’는 중세어 말기에 ‘누구’(석봉 천자문)는 대명사로 굳어지게 됨.
能히 毘尼法藏 주019)
비니장(毘尼藏):
vinaya-piṭaka. 비나야장(毘奈耶藏). 부처님이 말씀한 계율의 경전을 모두 이름.
 結集려뇨 주020)
려뇨:
하려냐? 하려는가?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거/어+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長老 주021)
장로(長老):
지혜와 덕이 높고 법랍(法臘, 스님이 된 해부터 세는 나이)이 많은 비구를 이름.
阿泥盧豆 주022)
아니로두(阿泥盧豆):
아누루타(阿㝹樓馱), 아나율(阿那律) 등 여러 가지로 음역됨. 부처님 10대 제자로 천안(天眼) 제1이라 함. 어느 날 부처님 앞에서 자다가 부처님의 꾸중을 듣고 밤새도록 자지 않으면서 수도에 정진하다 눈이 먹고, 그 뒤 천안통(天眼通)을 얻음.
닐오 주023)
닐오:
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 舍利弗 주024)
사리불(舍利弗):
Śāriputra. 부처님 10대 제자 중 지혜 제일이라 함. 최로자(鷲鷺子), 신자(身子)라고 번역. 본시 외도의 스승을 섬기다가 마승비구로 인하여 석존께 귀의하여 자기 수행에 정진해서 교단의 중요한 인물이 됨. 부처님보다 먼저 입적함.
이 第二佛이며 憍梵波提 주025)
교범파제(憍梵波提):
Gavāṃpati. 부처님 제자로 해율(解律) 제일.
보라며 주026)
보라며:
보드라우며. 보랍-[嫩](ㅂ불규칙)+(/으)며(대등의 연결어미). 여기 종성 ‘ㅂ’이 다음에 이어지는 음운환경에 따라 ‘ㅂ/ㅸ’으로 교체되는바,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ㅂ’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모음어미 앞에서 ‘ㅸ’ 로 변동되는 것을 이형태로 설명하는 것이고, 둘째는 ‘ㅸ’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잡고, 자음어미 앞에서 ‘ㅂ’으로 교체되는 것을 끝소리규칙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여 ㅂ불규칙으로 처리함.

월인석보 25:6ㄱ

주027)
화아(和雅):
그윽하고 품위가 있음.
며 겨 주028)
겨:
한가로이. 겨-/겨-[閑](ㅂ불규칙)+(/으)며. ‘겨르-’와 같이 2음절 모음이 당시에도 ‘으’로 쓰인 것이(〈법화 1:77〉 등) 많이 있는데, 이는 모음조화 현상으로 본다면 오히려 이것이 맞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겨-’도 표제어로 실어야 할 것임. → 〈5ㄴ〉보라며.
사라 便安히 寂야 주029)
적(寂)야:
편안하여. 고요하여. 寂-+아/어/야. ‘-야’는 연결어미 ‘아/어’의 형태론적 이형태로 ‘-’ 동사의 경우에만 통합됨.
다 能히 毘尼藏 주030)
비니장(毘尼藏):
비나야장(毘奈耶藏). vinaya-pitaka. 3장의 하나. 부처님이 이르신 계율의 총칭, 곧 율장(律藏)이라고 함.
 아니 이제 天上 尸利沙樹園 주031)
시리사수원(尸利沙樹園):
천상계에 있는 동산 이름.
잇니 주032)
잇니:
있으니. 잇-/이시-/시-[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
라 고 下座 주033)
하좌(下座):
아랫자리.
比丘 주034)
비구(比丘):
bhikṣu. 남자로 출가하여 걸식으로 생활하는 스님으로 250계를 받아 지닌 이.
브려 주035)
브려:
부리어. 브리-[使]+아/어.
迦葉들 주036)
들:
뜻을. [意]+//을/를(목적격조사).
닐오 漏盡 주037)
누진(漏盡):
번뇌를 끊어 없애어 빛, 향기 따위에 물들지 않음.
羅漢이 다 閻浮提 주038)
염부제(閻浮提):
Jambu-dvipa. 수미(須彌) 4주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으며 7금산과 대 철위산 중간, 짠물바다에 있는 대주(大洲)의 이름.
모다 주039)
모다:
모여. 몯-[會]+아/어.
잇니 내 큰 法

월인석보 25:6ㄴ

노니 주040)
노니:
하니. -+노(+오/우)+니. 여기 ‘-노-’는 주어 ‘내’에 호응된 것임.
이제 리 주041)
리:
빨리. -[速]+이(부사 파생접미사).
오고라 주042)
오고라:
오구료. 와 주오. 오-[來]+고라(명령법 종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大迦葉即數之云 犯六突吉羅罪 盡應僧中懺悔 阿難即隨敎 長跪合手 偏袒右肩脫革屣懺悔 迦葉於僧中起 牽手出之 語言 汝宜盡漏 若殘結未亡 汝勿來也 便自閉門 與諸羅漢共議 誰能結集毘尼法藏者 長老阿泥盧豆舍利弗是第二佛 憍梵波提柔軟和雅 閑居燕寂皆能知毘尼藏 今在天上尸利沙樹園 使下座比丘往傳 迦葉意云 漏盡羅漢皆會閻浮提 僧有大法事 今可疾來

[법장결집 3]
가섭이 헤아려 이르되, “여섯 돌길라죄(목)을 붙여서【‘돌’은 모진 것이고, ‘길라’는 짓는 것이다.】 승중에 〈대하여〉 다 참회하라.” 아난이 즉시 꿇어 합장하고 오른 어깨를 벗고 신 벗고 참회하거늘 가섭이 승중에서 일어나 손잡아 “나가라.” 하고, 이르되, “네가 번뇌를 다하여야 하리니, 남은 번뇌가 없어지지 않는다면 너는 오지 말라.” 하고, 손수 문을 닫고 나한들과 모여 의론하되, “누가 능히 비니법장을 결집할 것이냐?” 장로 아니로두가 이르되, “사리불이 제2불이고, 교범파제는 보드라우며 화아하여, 한가롭게 살아서 편안히 고요하여 다 능히 비니장을 아니, 지금 천상의 사리사수원에 있느니라.” 하고, 아랫자리의 비구를 부려 가서 가섭의 뜻을 이르되, 누진이 다한 나한이 다 염부제에 모여 있으니, 내가 큰 법사를 지금 빨리 오구료(와 주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혜여:헤아리어. 생각하여. 혜-[量]+아/어. 어간의 부모음 ‘ㅣ’로 말미암아 어미 ‘어’가 ‘여’로 순행 동화되었음.
주002)
여슷:여섯. 여슷[六].
주003)
돌길라죄(突吉羅罪):duṣkṛta. 계율(戒律)의 죄명으로 몸과 입으로 지은 나쁜 죄업을 말함.
주004)
모딜:모진. 모질. 모딜-[酷]+(/으)ㄹ(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5)
씨오:것이고. (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고/오. ‘+-이’가 축약되어 ‘시’로 표기되는데, 여기서 ‘씨’가 된 것은 앞의 ‘모딜’의 ‘관형사형어미 ㅭ’의 ‘ㆆ’이 피수식어 ‘’의 ‘ㅅ’을 각자병서로 바꾸고 ‘ㆆ’은 탈락된 것으로 봄. 또 의존명사 ‘’는 관형사형어미 ‘-ㄴ’과 ‘-ㄹ’ 중에서 ‘-ㄹ’ 뒤에서만 사용되는 특징을 가짐.
주006)
지:지을. 짓-[作](ㅅ불규칙)+(/으)ㄹ. ‘-’은 ‘짓-’의 이형태임. 이 ‘짓-[作]’의 종성 ‘ㅅ’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짓게, 짓고, 짓디...’와 같이 활용하여 변동이 없으나,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을 취하는 ‘-ㄴ, -ㄹ, -며, -시’ 등 어미 앞에서 ‘ㅅ’은 ‘ㅿ’으로 변동된다. 이와 같은 교체 현상은 모든 어간에 규칙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 ‘ㅅ’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불규칙활용으로 간주하는 것이며, 둘째는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ㅅ’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음절 끝소리 규칙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전자를 취하기로 하여 ‘ㅅ’불규칙으로 설명함.
주007)
즉재:즉시. 곧. 즉재[卽]/즉자히. 이 어형이 같은 시기에 씌었는데, 전자는 후자에서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되어 2음절로 준 것으로 봄.
주008)
엇게:어깨. 엇게[肩].
주009)
메왓고:한 쪽 어깨를 벗고. 메왓-/메-+고/오. 이는 ‘메[擔]-+밧-[脫]’ 비통사적 합성어로 이형태인 ‘메’은 ‘ㅸ’ 소실로 곧 쓰이지 않게 됨.
주010)
밧고:벗고. ‘밧-[脫]’과 ‘벗-[免]’은 전자가 구체적인 뜻에, 후자는 추상적인 뜻에서 쓰였음.
주011)
네:네가. 당시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다음과 같이 성조로 구별되었음. 주격은 ·내(거성) :네(상성) :제(상성) ·뉘(거성), 관형격은 내(평성), 네(평성), 제(평성) :뉘(상성)이다.
주012)
누(漏):āsrava. 번뇌의 다른 이름.
주013)
잔결(殘結):남은 번뇌.
주014)
업디옷:없어지지. 없-[無]+디+곳/옷(강세의 보조사).
주015)
손:손수. 손[自](부사). 이는 ‘ㅿ’의 소실 이후 ‘손조’로 쓰이다가 현대어 ‘손수’로 바뀜.
주016)
나한(羅漢)콰:나한들과. (복수접미사)+과/와. ‘’은 ㅎ종성체언과 같이 모음 어미 앞에서는 연철되고, 자음어미 ‘ㄱ, ㄷ’과는 합음되어 격음으로 표기됨.
주017)
모다:모여. 몯-[會]+아/어(보조적 연결어미). ‘모도-[會]’는 ‘모으다’로 쓰였음.
주018)
뉘:누가. 누[誰]+이/ㅣ(주격조사). 현대어 ‘누/누구’ ‘누구’는 여기 ‘누’는 ‘뉘’ 주격형, ‘눌’ 목적격형, ‘누고’는 의문형으로 쓰였으나, 이 중의 ‘누고’는 중세어 말기에 ‘누구’(석봉 천자문)는 대명사로 굳어지게 됨.
주019)
비니장(毘尼藏):vinaya-piṭaka. 비나야장(毘奈耶藏). 부처님이 말씀한 계율의 경전을 모두 이름.
주020)
려뇨:하려냐? 하려는가?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거/어+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주021)
장로(長老):지혜와 덕이 높고 법랍(法臘, 스님이 된 해부터 세는 나이)이 많은 비구를 이름.
주022)
아니로두(阿泥盧豆):아누루타(阿㝹樓馱), 아나율(阿那律) 등 여러 가지로 음역됨. 부처님 10대 제자로 천안(天眼) 제1이라 함. 어느 날 부처님 앞에서 자다가 부처님의 꾸중을 듣고 밤새도록 자지 않으면서 수도에 정진하다 눈이 먹고, 그 뒤 천안통(天眼通)을 얻음.
주023)
닐오: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24)
사리불(舍利弗):Śāriputra. 부처님 10대 제자 중 지혜 제일이라 함. 최로자(鷲鷺子), 신자(身子)라고 번역. 본시 외도의 스승을 섬기다가 마승비구로 인하여 석존께 귀의하여 자기 수행에 정진해서 교단의 중요한 인물이 됨. 부처님보다 먼저 입적함.
주025)
교범파제(憍梵波提):Gavāṃpati. 부처님 제자로 해율(解律) 제일.
주026)
보라며:보드라우며. 보랍-[嫩](ㅂ불규칙)+(/으)며(대등의 연결어미). 여기 종성 ‘ㅂ’이 다음에 이어지는 음운환경에 따라 ‘ㅂ/ㅸ’으로 교체되는바,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ㅂ’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모음어미 앞에서 ‘ㅸ’ 로 변동되는 것을 이형태로 설명하는 것이고, 둘째는 ‘ㅸ’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잡고, 자음어미 앞에서 ‘ㅂ’으로 교체되는 것을 끝소리규칙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여 ㅂ불규칙으로 처리함.
주027)
화아(和雅):그윽하고 품위가 있음.
주028)
겨:한가로이. 겨-/겨-[閑](ㅂ불규칙)+(/으)며. ‘겨르-’와 같이 2음절 모음이 당시에도 ‘으’로 쓰인 것이(〈법화 1:77〉 등) 많이 있는데, 이는 모음조화 현상으로 본다면 오히려 이것이 맞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겨-’도 표제어로 실어야 할 것임. → 〈5ㄴ〉보라며.
주029)
적(寂)야:편안하여. 고요하여. 寂-+아/어/야. ‘-야’는 연결어미 ‘아/어’의 형태론적 이형태로 ‘-’ 동사의 경우에만 통합됨.
주030)
비니장(毘尼藏):비나야장(毘奈耶藏). vinaya-pitaka. 3장의 하나. 부처님이 이르신 계율의 총칭, 곧 율장(律藏)이라고 함.
주031)
시리사수원(尸利沙樹園):천상계에 있는 동산 이름.
주032)
잇니:있으니. 잇-/이시-/시-[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
주033)
하좌(下座):아랫자리.
주034)
비구(比丘):bhikṣu. 남자로 출가하여 걸식으로 생활하는 스님으로 250계를 받아 지닌 이.
주035)
브려:부리어. 브리-[使]+아/어.
주036)
들:뜻을. [意]+//을/를(목적격조사).
주037)
누진(漏盡):번뇌를 끊어 없애어 빛, 향기 따위에 물들지 않음.
주038)
염부제(閻浮提):Jambu-dvipa. 수미(須彌) 4주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으며 7금산과 대 철위산 중간, 짠물바다에 있는 대주(大洲)의 이름.
주039)
모다:모여. 몯-[會]+아/어.
주040)
노니:하니. -+노(+오/우)+니. 여기 ‘-노-’는 주어 ‘내’에 호응된 것임.
주041)
리:빨리. -[速]+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42)
오고라:오구료. 와 주오. 오-[來]+고라(명령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