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①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9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9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9]
章服儀예 닐오 南山 주001)
남산(南山):
여기서는 남산대사(南山大師)인 도선(道宣) 스님을 이름.
이 무루 요예 주002)
요예:
요사이, 요새, 요즘. 요+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西域 쥬 보니 衣葉 호니 주003)
호니:
혼 사람. 호-+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zero주격). 의존명사 ‘이’ 다음에 주격조사의 형태는 드러나지 않음.
만토소니 주004)
만토소니:
많으니. 만-+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니. ‘-돗-’과 매개모음 ‘’가 연결되면 ‘만토니’가 되어야 하는데 여기서는 ‘-돗-’의 ‘오’에 원순모음화 되어 ‘도소니’로 나타남.
엇뎨오 주005)
엇뎨오:
어찌된 것인가? 엇뎨+고/오(의문법 종결어미). 설명의 의문보조사 ‘고’가 ‘ㅣ’ 모음 뒤에서 ‘ㅇ〔ɦ〕(유성후두마찰음)’으로 ‘ㄱ’이 약화된 표기임.
對答호 이 부텨 滅度신 後에 二百年만야 주006)
이백년(二百年)만야:
2백년 정도 되어. ‘-만다’(접미사).
北天竺 주007)
북천축(北天竺):
북부 인도를 이름. 천축은 인도를 가리키는 말임.
쥬 外道 주008)
외도(外道):
인도에서 불교 이외의 다른 종교를 가리켜 이르는 말. 또는 그런 종교를 믿는 사람을 뜻하기도 함.
 주009)
:
한데. 한곳에. 함께. ‘[一]+[所]’의 합성어임.
住야 잇더니 外道여 주010)
여:
꺼리어. 시새워. -[忌]+아/어.
니 카 주011)
카:
날카로운. 캅-[銳](ㅂ불규칙)+(/으)ㄴ. → 〈21ㄴ〉가.
갈로 주012)
갈로:
칼로. 갈ㅎ(ㅎ말음체언)+로(도구의 부사격조사).
衣葉 中에 녀허 주013)
녀허:
넣어. 넣고. 녛-[入]+어. 중세국어에서의 연결어미 ‘-아/어’는 현대국어 ‘-아/어’보다 그 활용영역이 넓다. 현대국어에서는 선행동작을 완료하고 후행동작을 이어줄 경우 연결어미 ‘-고’가 나타나는데 중세국어에서는 이런 경우에 연결어미 ‘-아/어’가 나타나는 일이 많다. 따라서 ‘녀허’ 역시 현대어로 옮김에는 ‘넣고’로도 풀이함.
王손 주014)
왕(王)손:
왕에게. 여격조사는 일반적으로 관형격조사 ‘/의, ㅅ’과 ‘그, 거긔’ 및 ‘손’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원칙적으로 ‘손/의손’로 나타나야 하지만 ‘王손’처럼 ‘손’만으로도 여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다음과 같이, ‘阿闍世王ㄱ 손 가니〈석상 24:6ㄱ〉’ ‘-ㄱ손’로 쓰인 것도 있음.
 주015)
:
함께. 동시에. 본래는 ‘[一]+[時]+/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과 같이 두 단어가 합성된 부사임. ‘’는 첫음절 종성 ‘ㄴ’이 둘째 음절 첫소리 순음 ‘ㅂ’에 동화되어 후대 문헌에는 ‘’〈속삼강 충2〉, ‘’〈번역노 상:24〉로 표기되었음.
外道ㅣ 닐오 沙門 주016)
사문(沙門):
śaramaṇa. 외도나 불교도를 불문하고, 가족을 버리고 수도 생활하는 이를 가리킴. 후세에는 불문에 출가한 이를 말함. 비구와 같은 뜻임.
釋子 주017)
석자(釋子):
석가모니의 제자. 불자. 스님을 이름.
카 갈 가져 王 害호려 다 고 어더 내야 나랏 比丘를 다 주기더니 耶舍 주018)
야사(耶舍):
Yaśas. 야수타(耶輸陀)·야사타(耶舍陀)의 음역. 중인도 바라내국 장자. 선각의 아들. 인생의 무상함을 통감하고, 염세하는 마음을 내어 집을 떠나 세존에게 와서 교화를 받고 불제자가 된다. 그의 부모와 아내는 야사의 출가함을 슬피 여겨 세존이 있는 데까지 따라 왔다가 부처님의 교화를 받고 불문에 귀의, 부처님 성도하신 후의 첫 우바새가 됨.
阿羅漢
絶命

월인석보 25:23ㄴ

주019)
절명난(絶命難):
목숨을 잃을 만큼 어려운 처지.
 爲야比丘 주020)
비구(比丘):
비구들을. 비구들에게. 비구+ㅎ(복수접미사)+(목적격조사). 타동사의 목적어자리에만 목적격조사가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須達 아 얼유려 터니(수달의 아들을 딸에게 결혼시키려 하더니)’처럼 여격의 자리에도 목적격조사가 나타나는 일이 있는데 ‘比丘’의 ‘’도 이런 기능으로 사용됨.
주021)
권(權):
실(實)의 반대. 방편(수단)의 다른 이름.
으로 마고 호라 니 뎌 方애셔 이 因야 으로 디 주022)
디:
만든 것이지. -+디(연결어미). ‘ㅸ’이 소멸된 후에 ‘디’는 ‘디위, 디외, 디웨’ 등으로 표기에 혼란을 보이는데, 이 현상은 이중모음의 문제와 관련된다. 15세기 w계 이중모음에는 ‘ㅘ〔wa〕’와 ‘ㅝ〔wə〕’가 두 형태가 존재했다. 그러나 15세기 중엽의 ‘〔βi〕’가 〔ɦwi〕로 변하여 〔wi〕가 생겼으나, 이 이중모음을 표기할 만한 적당한 문자가 없어서(‘ㅟ’는 하향이중모음 〔uy〕) 표기에 혼란을 보인 것으로 봄.
부텨 샨 이리 아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又問 比見西域僧來 多縫衣葉者何 答曰 此佛滅後 將二百年 北天竺僧與外道同住 外道嫉之 密以利刀內衣葉中 同往王所 外道告王 沙門釋子內藏利刀 將欲害王 因卽檢獲 由此普誅一國比丘 時有耶舍阿羅漢 (令諸比丘權且縫合) 爲絶命難 此乃北方因事權制 非佛所開 >(이상, 율상감통전, 〈대정신수대장경〉 제45 제종부 2, 881쪽 상)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9]
『장복의』에 이르기를 남산이 묻되 ‘요즘 서역 중을 보니 의엽 혼(꿰맨) 사람이 많으니 어찌된 것인가?’ 대답하되 ‘이는 부처님이 멸도하신 후에 2백년만하여 북천축 중이 외도와 함께 머물렀는데 외도가 〈북천축 중을〉 시샘하여 몰래 날카로운 칼을 〈북천축 중의〉 의엽 중에 넣고 왕에게 함께 가서 외도가 말하기를 “사문 석자가 날카로운 칼을 가지고 왕을 해하려 합니다.” 하고, 〈칼을〉 얻어내니 〈왕이〉 나라의 비구를 다 죽였다. 야사 아라한이 절명난을 위하여 비구들에게 방편으로 〈의엽을〉 막고 꿰매라 하니 저 서방에서 이때문에 방편으로 만든 것이지 부처님이 하신 일이 아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남산(南山):여기서는 남산대사(南山大師)인 도선(道宣) 스님을 이름.
주002)
요예:요사이, 요새, 요즘. 요+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03)
호니:혼 사람. 호-+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zero주격). 의존명사 ‘이’ 다음에 주격조사의 형태는 드러나지 않음.
주004)
만토소니:많으니. 만-+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니. ‘-돗-’과 매개모음 ‘’가 연결되면 ‘만토니’가 되어야 하는데 여기서는 ‘-돗-’의 ‘오’에 원순모음화 되어 ‘도소니’로 나타남.
주005)
엇뎨오:어찌된 것인가? 엇뎨+고/오(의문법 종결어미). 설명의 의문보조사 ‘고’가 ‘ㅣ’ 모음 뒤에서 ‘ㅇ〔ɦ〕(유성후두마찰음)’으로 ‘ㄱ’이 약화된 표기임.
주006)
이백년(二百年)만야:2백년 정도 되어. ‘-만다’(접미사).
주007)
북천축(北天竺):북부 인도를 이름. 천축은 인도를 가리키는 말임.
주008)
외도(外道):인도에서 불교 이외의 다른 종교를 가리켜 이르는 말. 또는 그런 종교를 믿는 사람을 뜻하기도 함.
주009)
:한데. 한곳에. 함께. ‘[一]+[所]’의 합성어임.
주010)
여:꺼리어. 시새워. -[忌]+아/어.
주011)
카:날카로운. 캅-[銳](ㅂ불규칙)+(/으)ㄴ. → 〈21ㄴ〉가.
주012)
갈로:칼로. 갈ㅎ(ㅎ말음체언)+로(도구의 부사격조사).
주013)
녀허:넣어. 넣고. 녛-[入]+어. 중세국어에서의 연결어미 ‘-아/어’는 현대국어 ‘-아/어’보다 그 활용영역이 넓다. 현대국어에서는 선행동작을 완료하고 후행동작을 이어줄 경우 연결어미 ‘-고’가 나타나는데 중세국어에서는 이런 경우에 연결어미 ‘-아/어’가 나타나는 일이 많다. 따라서 ‘녀허’ 역시 현대어로 옮김에는 ‘넣고’로도 풀이함.
주014)
왕(王)손:왕에게. 여격조사는 일반적으로 관형격조사 ‘/의, ㅅ’과 ‘그, 거긔’ 및 ‘손’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원칙적으로 ‘손/의손’로 나타나야 하지만 ‘王손’처럼 ‘손’만으로도 여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다음과 같이, ‘阿闍世王ㄱ 손 가니〈석상 24:6ㄱ〉’ ‘-ㄱ손’로 쓰인 것도 있음.
주015)
:함께. 동시에. 본래는 ‘[一]+[時]+/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과 같이 두 단어가 합성된 부사임. ‘’는 첫음절 종성 ‘ㄴ’이 둘째 음절 첫소리 순음 ‘ㅂ’에 동화되어 후대 문헌에는 ‘’〈속삼강 충2〉, ‘’〈번역노 상:24〉로 표기되었음.
주016)
사문(沙門):śaramaṇa. 외도나 불교도를 불문하고, 가족을 버리고 수도 생활하는 이를 가리킴. 후세에는 불문에 출가한 이를 말함. 비구와 같은 뜻임.
주017)
석자(釋子):석가모니의 제자. 불자. 스님을 이름.
주018)
야사(耶舍):Yaśas. 야수타(耶輸陀)·야사타(耶舍陀)의 음역. 중인도 바라내국 장자. 선각의 아들. 인생의 무상함을 통감하고, 염세하는 마음을 내어 집을 떠나 세존에게 와서 교화를 받고 불제자가 된다. 그의 부모와 아내는 야사의 출가함을 슬피 여겨 세존이 있는 데까지 따라 왔다가 부처님의 교화를 받고 불문에 귀의, 부처님 성도하신 후의 첫 우바새가 됨.
주019)
절명난(絶命難):목숨을 잃을 만큼 어려운 처지.
주020)
비구(比丘):비구들을. 비구들에게. 비구+ㅎ(복수접미사)+(목적격조사). 타동사의 목적어자리에만 목적격조사가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須達 아 얼유려 터니(수달의 아들을 딸에게 결혼시키려 하더니)’처럼 여격의 자리에도 목적격조사가 나타나는 일이 있는데 ‘比丘’의 ‘’도 이런 기능으로 사용됨.
주021)
권(權):실(實)의 반대. 방편(수단)의 다른 이름.
주022)
디:만든 것이지. -+디(연결어미). ‘ㅸ’이 소멸된 후에 ‘디’는 ‘디위, 디외, 디웨’ 등으로 표기에 혼란을 보이는데, 이 현상은 이중모음의 문제와 관련된다. 15세기 w계 이중모음에는 ‘ㅘ〔wa〕’와 ‘ㅝ〔wə〕’가 두 형태가 존재했다. 그러나 15세기 중엽의 ‘〔βi〕’가 〔ɦwi〕로 변하여 〔wi〕가 생겼으나, 이 이중모음을 표기할 만한 적당한 문자가 없어서(‘ㅟ’는 하향이중모음 〔uy〕) 표기에 혼란을 보인 것으로 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