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5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5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5]
大梵天王 주001)
대범천왕(大梵天王):
범천왕, 범왕과 같음.
이 와 닐오 주002)
내:
내가. 나[我]+이/ㅣ(주격조사) → 〈5ㄱ〉네.
보니 주003)
보니:
보니. 보-[見]+(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過去 諸佛도 三大衣 주004)
삼대의(三大衣):
승가리, 울다라승, 안타회의 세 가지 옷.
니브시면 주005)
니브시면:
입으시면. 닙-[被]+(/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면(조건의 연결어미). ‘-시-’ 앞에 오는 매개모음 ‘-/으-’는 앞 음절이 평성이면 평성, 앞 음절이 거성 또는 상성이면 거성으로 실현되는데, ‘닙-’이 평성이므로 ‘/으’도 평성으로 실현되었음.
히 주006)
히:
땅이. [地](ㅎ말음체언)+이/ㅣ(주격조사).
이긔 주007)
이긔:
이기지를. 이긔-[勝]+(보조적 연결어미). 용언 부정문에 나타나는 ‘-디’ 이외에도 ‘-/들’이 있음. ‘-디’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고 ‘-/들’은 일부 방언형에서 ‘밥을 먹들 않아’와 같은 형태로 남아있음.
몯니 世尊二大衣 주008)
이대의(二大衣):
3대의에서 승가리와 울다라승만을 이름.
아샤 주009)
아샤:
앗으시어. 빼앗으시어. 〈고치에서〉 뽑으시어. 앗-[奪](ㅅ불규칙)+(/으)시+아/어. → 〈5ㄱ〉지.
本處에 도로 노시고 주010)
노시고:
놓으시고. 놓-[置]+(/으)시+고.
施 주011)
시(施):
시주(施主)한. 보시(布施)한. 施-+(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오 니브샤 주012)
니브샤:
입으셔야. 닙-[着]+(/으)시+아/어+(강세의 보조사).
大地 便安히 住리다 주013)
주(住)리다:
머물 것입니다. 住-+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zero(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야 내 王 마 주014)
마:
말을. 말[言]+ㄹ(목적격조사).
브투니 주015)
브투니:
의지하니. 따르니. 븥-[依]+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大地 便安히 住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大梵天王來告我言 我見過去諸佛 亦披三大衣地所不能勝 世尊宜可去二大衣 還安本處 著我所施衣 大地方得安住 我遂依王言 大地乃安住爾 >(이상, 법원주림, 제35, 법복편 제30, 〈대정신수대장경〉 제53 사휘부 상, 561쪽 상·중·하)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5]
대범천왕이 와 이르기를 “내가 보니 과거 제불도 3대의를 입으시면 땅이 이기지를 못하니, 세존이 두 대의를 빼앗아 본래 있던 곳에 도로 놓으시고 내가 보시한 옷을 입으셔야 대지가 편안히 머물 것입니다.” 하니, 내가 왕의 말을 의지하니(따르니) 대지가 편안히 머물렀다(있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범천왕(大梵天王):범천왕, 범왕과 같음.
주002)
내:내가. 나[我]+이/ㅣ(주격조사) → 〈5ㄱ〉네.
주003)
보니:보니. 보-[見]+(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04)
삼대의(三大衣):승가리, 울다라승, 안타회의 세 가지 옷.
주005)
니브시면:입으시면. 닙-[被]+(/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면(조건의 연결어미). ‘-시-’ 앞에 오는 매개모음 ‘-/으-’는 앞 음절이 평성이면 평성, 앞 음절이 거성 또는 상성이면 거성으로 실현되는데, ‘닙-’이 평성이므로 ‘/으’도 평성으로 실현되었음.
주006)
히:땅이. [地](ㅎ말음체언)+이/ㅣ(주격조사).
주007)
이긔:이기지를. 이긔-[勝]+(보조적 연결어미). 용언 부정문에 나타나는 ‘-디’ 이외에도 ‘-/들’이 있음. ‘-디’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고 ‘-/들’은 일부 방언형에서 ‘밥을 먹들 않아’와 같은 형태로 남아있음.
주008)
이대의(二大衣):3대의에서 승가리와 울다라승만을 이름.
주009)
아샤:앗으시어. 빼앗으시어. 〈고치에서〉 뽑으시어. 앗-[奪](ㅅ불규칙)+(/으)시+아/어. → 〈5ㄱ〉지.
주010)
노시고:놓으시고. 놓-[置]+(/으)시+고.
주011)
시(施):시주(施主)한. 보시(布施)한. 施-+(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2)
니브샤:입으셔야. 닙-[着]+(/으)시+아/어+(강세의 보조사).
주013)
주(住)리다:머물 것입니다. 住-+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zero(서술격조사)+(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14)
마:말을. 말[言]+ㄹ(목적격조사).
주015)
브투니:의지하니. 따르니. 븥-[依]+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