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5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5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5]
세 比丘ㅣ 다 와

월인석보 25:54ㄱ

내게 절고 녁 주001)
녁:
한녘. 한쪽. 한편. [一]+녁[方]. 이는 합성과정에서 같은 ‘ㄴ+ㄴ’의 겹침으로 ‘’의 ‘ㄴ’ 종성이 줄었음.
面에 住야 즉재 내게 닐오 拘留孫佛般涅槃 주002)
반열반(般涅槃):
완전한 열반. 부처님이 입적(入寂)함.
時예 나 安陁會 주003)
안타회(安陁會):
antaravāsa. 번역하여 내의(內衣), 중숙의(中宿衣), 하의(下衣)라 함. 5조 가사로 스님들이 속에 입는 옷.
尼師檀 주004)
니사단(尼師壇):
niṣīdana. 니사단나(尼師但那). 번역하여 좌구(坐具)라 함. 비구가 앉거나 누울 적에 땅에 펴서 몸을 보호하며, 또 와구(臥具) 위에 펴서 와구를 보호하는 네모 진 깔개.
鉢袋 주005)
발대(鉢袋):
식기를 넣는 주머니.
맛디샤 주006)
맛디샤:
맡기셔. -[任]+이(사동접미사)+시+아/어.
나 이 塔中에 住호 婁至佛 주007)
누지불(婁至佛):
현겁(賢劫) 세상에 나오는 천(千) 불 가운데 최후의 부처님.
니르러 주008)
니르러:
이르러야. 니를-[至]+어/아+(강세의 보조사).
처 涅槃애 들라 시니다 迦葉佛이  내게 四 주009)
아(牙):
어금니.
 付囑시니 牟尼佛 주010)
모니불(牟尼佛):
석가모니불.
도 내게 죠고맛 爪髮 주011)
조발(爪髮):
손톱과 머리카락.
 施샤 塔中에 조쳐 주012)
조쳐:
아울러. 겸하여. 조치-[兼](평-거)+아/어(연결어미).
뒷다가 주013)
뒷다가:
두고 있다가. 두-[置]#잇/이시+(객체높임 선어말어미)+다가(전환의 연결어미). 이 ‘뒷-’은 비통사적 합성어임.
世尊 涅槃 後에 塔中으로셔 내야 주014)
내야:
내어. 내-[出]+아/어.
閻浮提大千界 주015)
대천계(大千界):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 〈3ㄴ〉삼천대천세계.
니르리 주016)
니르리: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곧고대 주017)
곧고대:
곳곳에. 곧[處]+곧[處]+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衣塔 流布 주018)
유포(流布):
세상에 널리 퍼뜨림.
야 後ㅅ 遺法 주019)
유법(遺法):
석존이 설하여 남기신 가르침.

월인석보 25:54ㄴ

鎭호리다 주020)
진(鎭)호리다:
지키겠습니다. 鎭-+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진(鎭)’의 새김은 ①진압할 진. ②지킬 진. ③메울 진임.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彼三比丘俱來 禮佛在一面住 卽白拘留孫佛般涅槃時 付我安陀會尼師檀及鉢袋 令我住此塔中 乃至婁至佛 令我始入涅槃 迦葉佛又付我四牙 牟尼佛施我少爪髮 並置塔中 世尊涅槃後從塔中出於此閻浮提乃至大千界 處處流布衣塔鎮後遺法也 (이상, 법원주림, 권35, 〈대정신수대장경〉 제53 사휘부 상, 561쪽 하~562쪽 하)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5]
저 세 비구가 모두 와 내게 절하고 한쪽 면에 머물러 즉시 내게 이르기를, “구류손불이 반열반 시에 나에게 안타회니사단발대를 맡기셔서 나에게 이 탑 중에 머무르게 하되, 누지불에 이르러야 처음 열반에 들라 하셨습니다. 가섭불이 또 내게 네 개의 어금니를 부촉하시니, 석가모니불도 나에게 조그만 조발을 보시하시어 탑 중에 아울러 두고 있다가 세존 열반 후에 탑 중에서 꺼내어 이 염부제와 삼천대천세계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의탑을 유포하여 후세에 유법을 지키겠습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녁:한녘. 한쪽. 한편. [一]+녁[方]. 이는 합성과정에서 같은 ‘ㄴ+ㄴ’의 겹침으로 ‘’의 ‘ㄴ’ 종성이 줄었음.
주002)
반열반(般涅槃):완전한 열반. 부처님이 입적(入寂)함.
주003)
안타회(安陁會):antaravāsa. 번역하여 내의(內衣), 중숙의(中宿衣), 하의(下衣)라 함. 5조 가사로 스님들이 속에 입는 옷.
주004)
니사단(尼師壇):niṣīdana. 니사단나(尼師但那). 번역하여 좌구(坐具)라 함. 비구가 앉거나 누울 적에 땅에 펴서 몸을 보호하며, 또 와구(臥具) 위에 펴서 와구를 보호하는 네모 진 깔개.
주005)
발대(鉢袋):식기를 넣는 주머니.
주006)
맛디샤:맡기셔. -[任]+이(사동접미사)+시+아/어.
주007)
누지불(婁至佛):현겁(賢劫) 세상에 나오는 천(千) 불 가운데 최후의 부처님.
주008)
니르러:이르러야. 니를-[至]+어/아+(강세의 보조사).
주009)
아(牙):어금니.
주010)
모니불(牟尼佛):석가모니불.
주011)
조발(爪髮):손톱과 머리카락.
주012)
조쳐:아울러. 겸하여. 조치-[兼](평-거)+아/어(연결어미).
주013)
뒷다가:두고 있다가. 두-[置]#잇/이시+(객체높임 선어말어미)+다가(전환의 연결어미). 이 ‘뒷-’은 비통사적 합성어임.
주014)
내야:내어. 내-[出]+아/어.
주015)
대천계(大千界):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 〈3ㄴ〉삼천대천세계.
주016)
니르리: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주017)
곧고대:곳곳에. 곧[處]+곧[處]+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18)
유포(流布):세상에 널리 퍼뜨림.
주019)
유법(遺法):석존이 설하여 남기신 가르침.
주020)
진(鎭)호리다:지키겠습니다. 鎭-+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진(鎭)’의 새김은 ①진압할 진. ②지킬 진. ③메울 진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