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①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5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5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5]
내 그제 六年 苦行 주001)
고행(苦行):
깨달음을 얻기 위해 또는 소망을 이루기 위해서 괴로운 수행을 함.
야 모미 시드로 주002)
시드로:
시들되. 야위되. 시들-[萎]+오.
오 주003)
오:
옷을. 옷[衣]+(목적격 조사).
 주004)
:
오히려. 아직도. 이내. [猶](평-거, 부사).
頂上애 두어 잇비 주005)
잇비:
가쁘게. 피곤하게. 수고롭게. 힘들게. 잋브-[困](평-평, 형용사)+이(부사 파생접미사). 잇비(평-거).
아니 너기다니 주006)
너기다니:
여기더니. 여기니. 너기-[念]+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과거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와 미래의 ‘-리-’ 뒤에서는 ‘-러-’로 교체되고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면 ‘-다-’로 교체됨. 현대국어에서는 1인칭 주어에 대해서는 ‘-더-’가 사용될 수 없으니 중세국어에서는 인칭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음.
오직 梵王조 주007)
조:
자주. 조[頻](평-거, 부사). 이는 형용사 ‘-[頻]+우(파생접미사)’로 이루어짐.
와 날 보고 내 가 주008)
가:
가빠하는가? 괴로운가? 힘든가? -[苦]+(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가(의문법 종결어미). 의문법어미 ‘-(/으)ㄴ가/ㄴ고’는 내적 사유 표현에서 간접의문을 나타낼 때에만 사용됨. ‘-’은 자음어미 앞에서 ‘ㄱ’이 줄어지나, 모음어미 앞에서는 ‘, , 며’와 같이 활용됨.
야 내 伽梨 주009)
가리(伽梨):
승가리(僧伽梨)의 준말.
 가져 梵天 주010)
범천(梵天):
Brahma-deva. 색계(色界) 초선천(初善天), 이 하늘은 욕계의 음욕을 여의어서 항상 깨끗하고 조용하므로 범천(맑고 깨끗한 하늘)이라 함.
올아 주011)
올아:
올라. 오-[登]+아/어(연결어미). 초기문헌에는 ‘오르-’보다 ‘오-’가 더 많이 쓰였으므로 기본형은 이것으로 삼음. → 〈10ㄱ〉올아.
가니 히   뮈오 주012)
뮈오:
흔들리고. 움직이고. 뮈-[動]+고/오(연결어미). ‘-오’는 어간 ‘ㄹ’음 아래서 ‘-고’의 ‘ㄱ’이 약화된 〔ɦ〕 표기임.
日月이 光明 업거늘 地神이  梵王려 닐오 네 오

월인석보 25:37ㄴ

가져 도로 주013)
도로:
도로. ‘도로(평평, 부사)’는 ‘돌-[回]’에서 파생된 부사로 파악되는데 동사 ‘돌-’은 상성을 가지는데 부사 ‘도로’는 성조가 달라져 이미 재구조화된 것으로 보임.
頂上애 놋라 주014)
놋라:
놓아라. 놓-[置]+(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라(종결어미). 어간의 ‘ㅎ’은 ‘ㅅ’에 동화되어 ‘ㅅ’으로 변동된 것이고, 어간말 자음이 ‘ㅈ, ㅌ, ㄷ’ 이외인 경우 선어말어미는 ‘--’이 씌었음. → 〈9ㄴ〉좃.
梵王 주015)
범왕(梵王):
색계 초선천의 왕.
이 그리니 大地 便安고 日月이 도로더라 주016)
더라:
밝더라. 밝-[明]+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我時六年苦行身體既羸 衣猶頂上不敢辭疲 唯有梵王數來見我 深起大悲愍我勞苦 將我伽梨上至梵天 地又大動日月無光 地神又告梵言 汝可持衣 還安頂上 梵王依敎 大地乃安 日月還明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5]
내가 그때 육년 고행하여 몸이 여위되 옷을 오히려 정수리에 두고도 힘들게 여기지 않으니, 오직 범왕이 자주 와 나를 보고 내가 괴로워하는가 하여 내 승가리를 가지고 범천에 올라가니, 땅이 또 매우 흔들리고 일월이 광명이 없어지니 지신이 또 범왕에게 이르기를 “네가 옷을 가지고 도로 정수리 위에 놓아라.’ 범왕이 그렇게 하니 대지가 편안하고 일월이 도로 밝더라(밝아졌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행(苦行):깨달음을 얻기 위해 또는 소망을 이루기 위해서 괴로운 수행을 함.
주002)
시드로:시들되. 야위되. 시들-[萎]+오.
주003)
오:옷을. 옷[衣]+(목적격 조사).
주004)
:오히려. 아직도. 이내. [猶](평-거, 부사).
주005)
잇비:가쁘게. 피곤하게. 수고롭게. 힘들게. 잋브-[困](평-평, 형용사)+이(부사 파생접미사). 잇비(평-거).
주006)
너기다니:여기더니. 여기니. 너기-[念]+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과거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와 미래의 ‘-리-’ 뒤에서는 ‘-러-’로 교체되고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면 ‘-다-’로 교체됨. 현대국어에서는 1인칭 주어에 대해서는 ‘-더-’가 사용될 수 없으니 중세국어에서는 인칭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음.
주007)
조:자주. 조[頻](평-거, 부사). 이는 형용사 ‘-[頻]+우(파생접미사)’로 이루어짐.
주008)
가:가빠하는가? 괴로운가? 힘든가? -[苦]+(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가(의문법 종결어미). 의문법어미 ‘-(/으)ㄴ가/ㄴ고’는 내적 사유 표현에서 간접의문을 나타낼 때에만 사용됨. ‘-’은 자음어미 앞에서 ‘ㄱ’이 줄어지나, 모음어미 앞에서는 ‘, , 며’와 같이 활용됨.
주009)
가리(伽梨):승가리(僧伽梨)의 준말.
주010)
범천(梵天):Brahma-deva. 색계(色界) 초선천(初善天), 이 하늘은 욕계의 음욕을 여의어서 항상 깨끗하고 조용하므로 범천(맑고 깨끗한 하늘)이라 함.
주011)
올아:올라. 오-[登]+아/어(연결어미). 초기문헌에는 ‘오르-’보다 ‘오-’가 더 많이 쓰였으므로 기본형은 이것으로 삼음. → 〈10ㄱ〉올아.
주012)
뮈오:흔들리고. 움직이고. 뮈-[動]+고/오(연결어미). ‘-오’는 어간 ‘ㄹ’음 아래서 ‘-고’의 ‘ㄱ’이 약화된 〔ɦ〕 표기임.
주013)
도로:도로. ‘도로(평평, 부사)’는 ‘돌-[回]’에서 파생된 부사로 파악되는데 동사 ‘돌-’은 상성을 가지는데 부사 ‘도로’는 성조가 달라져 이미 재구조화된 것으로 보임.
주014)
놋라:놓아라. 놓-[置]+(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라(종결어미). 어간의 ‘ㅎ’은 ‘ㅅ’에 동화되어 ‘ㅅ’으로 변동된 것이고, 어간말 자음이 ‘ㅈ, ㅌ, ㄷ’ 이외인 경우 선어말어미는 ‘--’이 씌었음. → 〈9ㄴ〉좃.
주015)
범왕(梵王):색계 초선천의 왕.
주016)
더라:밝더라. 밝-[明]+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