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9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9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9]
西印度ㅅ 사 甚히 盛야 뎌리 주001)
뎌리:
절이. 절[寺]+이(주격조사).
十三萬이 잇고 僧이 六十萬이 잇고  菩薩衆이  그지업시 잇고 經이 十三萬 주002)
장(藏):
여기서는 장서(藏書) 또는 창고의 뜻으로 쓰임.
이 잇고 金縷字經 주003)
금루자경(金縷字經):
금실 글자로 된 경.
이 八萬이 잇고 金銀七寶像이 크니 주004)
크니:
큰 것은. 크-[大]+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노 주005)
노:
높이. 높-+/의(명사 파생 접미사). ‘노(명사, 평-거)’의 마지막 음절의 성조가 ‘거성’인 것으로 보아 ‘이/ㅣ/Ø(주격조사)’ 중 영(零, zero)형태의 주격이 실현된 형태일 가능성도 있음.
一百 자히오 주006)
자히오:
자이고. 척이고. 자ㅎ[尺](ㅎ말음체언)+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져그니 주007)
져그니:
작은 것은. 젹-[小]+은(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丈六 주008)
장육(丈六):
1장 6척. 장(丈)은 길이의 단위로 1장이 10척(尺)임.
이라 모도 주009)
모다:
모여. 몯-[會]+아/어(연결어미). ‘모도-[會]’는 ‘모으다’로 쓰였음.
주010)
모도아:
모아. 모도-[會]+아/어(연결어미).
一百三十萬이 잇고 녀나 주011)
녀나:
다른. 남은. 그 밖의. 녀나(거-평-거, 관형사).
져그니

월인석보 25:48ㄴ

 數 주012)
몯:
못. 몯[不](상성, 부정 부사).
니 주013)
니:
이루. 니(평-평, 부사). 이는 동사 ‘니-[云]’의 어간이 그대로 부사로 전성된 것임.
혜리니 주014)
혜리니:
헤아리니. 세리니. 혜-[量]+리+니.
經像 주015)
경상(經像):
경전과 불상.
 다 忉利天王 주016)
도리천왕(忉利天王):
제석천(帝釋天)을 가리킴.
工匠 주017)
공장(工匠):
물건을 만드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
이 相 초 주018)
초:
갖추어. 초(평-거, 부사). -[具]+호/후(부사 파생접미사).
니 주019)
니:
만드니. -[造]+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이 因緣으로 그 衣塔 주020)
의탑(衣塔):
부처님 옷을 공양하려 한 탑.
히 뎌 山애 가 住리라 像法 末時 주021)
상법말시(像法末時):
상법(像法) 시대 말기(末期). → 〈39ㄴ〉말법.
一千七百 예 니르러 주022)
니르러:
이르러. 니를-[至]+어/아(연결어미).
내 이 閻浮提 주023)
염부제(閻浮提):
Jambu-dvīpa. 수미산 남쪽에 있는 대륙. 4대주(大洲)의 하나. 수미산을 중심으로 인간세계를 동서남북의 4주로 나누는데, 염부제는 남주로 인도는 여기에 속한다고 함. 후세에는 인간세상을 일컫게 됨.
와  四天下해 惡比丘ㅣ 만야 주024)
만야:
많아. 만-[多]+아/어(연결어미).
伽藍 지 주025)
지:
짓되. 짓-(ㅅ불규칙)[作]+오(연결어미). → 〈5ㄱ〉지.
禪慧 주026)
선혜(禪慧):
선정(禪定)과 지혜(智慧).
닷디 주027)
닷디:
닦지. -[修]+디(보조적 연결어미). 어간의 ‘ㅺ’에서 ‘ㄱ’은 자음어미 앞에서 줄고(닷게, 닷), 모음어미 앞에서는 제대로 활용됨(닷가, 닷니, 닷며).
아니며  經을 닑디 주028)
닑디:
읽지. 닑-[讀]+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文字 모며 주029)
모며:
모르며. 모르-[無知]+며(연결어미).
비록 알리 주030)
알리:
알 사람이. 알-[知]+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이셔도 一千에 둘히 이시리니 뎌 惡世예 니르러文殊師利야 주031)
야:
(문수사리로) 하여금. 더불어. 야(거-거, 부사).
衣函塔 주032)
의함탑(衣函塔):
옷을 담은 함을 넣어둔 탑.
等을 바다 諸國에 두루 녀 주033)
녀:
다녀, -[走]+니-[行]+아/어(연결어미). ‘니-’의 ‘ㄷ’이 ‘ㄴ’에 비음동화된 ‘니-’도 나타남.
人民

월인석보 25:49ㄱ

敎化야 衣塔을 짓게 고 神通力으로 大千에 너비 주034)
너비:
널리. 넓게. 너비(평-거, 부사).
니펴 주035)
니펴:
입혀. 입히-[被]+아/어(연결어미).
뎌 惡比丘 等이 모딘 주036)
모딘:
악한. 모진. 모딜-[惡]+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일 고 주037)
텨:
쳐. 티-[打]+아/어(연결어미). ‘ㄷ, ㅌ’의 구개음화 현상은, 문헌상으로 17세기와 18세기의 교체기에 완성된 것으로 봄.
됴 주038)
됴:
좋은. 둏-[好]+/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일 닷가 三藏 닑게 주039)
닑게:
일게. 닑-[讀]+게(보조적 연결어미).
야 法이 오래 住케 야 욜 주040)
욜:
하게 할. -+오/우+ㄹ(관형사형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오/우-’는 관형사절에 나타나는 것으로 의도법의 ‘-오/우-’와는 다른 것임.
일 다 고 도로 衣塔 가져 믿고대 주041)
믿고대:
본 고장에. 본처(本處)에. 원래 있던 곳에. 믿[本]#곧[處]+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뒷다가 주042)
뒷다가:
두었다가. 두-[置]#잇/이시-[有]+다가(전환의 연결어미).
彌勒 주043)
:
내릴. 리-[下]+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제 다라 文殊師利 塔 가져 彌勒佛付囑게 주044)
부촉(付囑)게:
부촉하게. 付囑-+게. 어근 말음의 무성음과 어미의 두음 무성자음 사이에서 ‘’가 줆.
노니 이 便安히 두논 주045)
두논:
두는. 두-[置]+(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오/우-’는 관형사절에 나타나는 것으로 의도법의 ‘-오/우-’와는 다른 것임.
히니 서르 주046)
서르:
서로. 서르(평-평, 부사).
付囑호미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西印度人甚弘熾盛 寺有十三萬 僧有六十萬 及菩薩眾亦有無量 經有十三萬藏 金縷字經有八萬藏 金銀七寶像大者高百尺 小者丈六 合有一百三十萬軀 自餘小者 數不可量 此之經像皆是忉利天王工匠具相造之 以是因緣故 其衣塔等往彼山住 至像法末時一千七百年 我此閻浮提及諸四天下多惡比丘 起造伽藍不修禪慧亦不讀經不識文字 縱有識者千有一二至彼惡世 令文殊師利 擎持衣函塔等遍歷 諸國教化人民令造衣塔 以神通力普被大千 令彼惡比丘等改惡修善 習讀三藏令法久住 所作既已 還將衣塔置于本處 至彌勒下時 令文殊師利將塔付彌勒佛 是爲安置處 所以相付囑也.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9]
서인도의 사람은 심히 성하여 절이 13만이 있고 승이 60만이 있고 또 보살 대중이 또 그지없이 있고 경이 13만 고장(庫藏)이 있고 금루자경이 8만 고장이 있고 금은 칠보의 불상이 큰 것은 높이 1백 자이고 작은 것은 1장 6척이라, 모아(모으면) 130만 〈상(像)〉이 있고 다른(나머지) 작은 것은 수를 이루 헤아리지 못할 것이니, 이 경과 불상은 모두 도리천왕의 공장이 상 모양을 갖춰 만드니 이 인연으로 그 의탑들이 저 산에 가 〈세워져〉 있을 것이다. 상법 말시에 1천 7백 해에 이르러 내가 이 염부제와 또 사천하들이 나쁜 비구가 많아 가람을 짓되 선혜를 닦지 않으며 또 경을 읽지 않으며 문자를 모르며 비록 아는 사람이 있어도 1천 명 중에 한두 명이 있을 것이니 저 악세에 이르러 문수사리로 하여금 의함탑 등을 받아 제국에 두루 다녀 인민을 교화하여 의탑을 짓게 하고 신통력으로 대천 세계에 넓게 입혀 더 나쁜 비구 등이 사악한 짓을 고치고 좋은 일을 닦고 삼장을 읽게 하여 법이 오래 머물게 하여 할 일을 다 하고 도로 의탑을 가지고 본래 장소에 두었다가 미륵이 내려올 때 이르러 문수사리에게 탑을 가지고 미륵불께 부촉하니 이 편안히 둔 곳이니 서로 부촉함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뎌리:절이. 절[寺]+이(주격조사).
주002)
장(藏):여기서는 장서(藏書) 또는 창고의 뜻으로 쓰임.
주003)
금루자경(金縷字經):금실 글자로 된 경.
주004)
크니:큰 것은. 크-[大]+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주005)
노:높이. 높-+/의(명사 파생 접미사). ‘노(명사, 평-거)’의 마지막 음절의 성조가 ‘거성’인 것으로 보아 ‘이/ㅣ/Ø(주격조사)’ 중 영(零, zero)형태의 주격이 실현된 형태일 가능성도 있음.
주006)
자히오:자이고. 척이고. 자ㅎ[尺](ㅎ말음체언)+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주007)
져그니:작은 것은. 젹-[小]+은(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주008)
장육(丈六):1장 6척. 장(丈)은 길이의 단위로 1장이 10척(尺)임.
주009)
모다:모여. 몯-[會]+아/어(연결어미). ‘모도-[會]’는 ‘모으다’로 쓰였음.
주010)
모도아:모아. 모도-[會]+아/어(연결어미).
주011)
녀나:다른. 남은. 그 밖의. 녀나(거-평-거, 관형사).
주012)
몯:못. 몯[不](상성, 부정 부사).
주013)
니:이루. 니(평-평, 부사). 이는 동사 ‘니-[云]’의 어간이 그대로 부사로 전성된 것임.
주014)
혜리니:헤아리니. 세리니. 혜-[量]+리+니.
주015)
경상(經像):경전과 불상.
주016)
도리천왕(忉利天王):제석천(帝釋天)을 가리킴.
주017)
공장(工匠):물건을 만드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
주018)
초:갖추어. 초(평-거, 부사). -[具]+호/후(부사 파생접미사).
주019)
니:만드니. -[造]+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20)
의탑(衣塔):부처님 옷을 공양하려 한 탑.
주021)
상법말시(像法末時):상법(像法) 시대 말기(末期). → 〈39ㄴ〉말법.
주022)
니르러:이르러. 니를-[至]+어/아(연결어미).
주023)
염부제(閻浮提):Jambu-dvīpa. 수미산 남쪽에 있는 대륙. 4대주(大洲)의 하나. 수미산을 중심으로 인간세계를 동서남북의 4주로 나누는데, 염부제는 남주로 인도는 여기에 속한다고 함. 후세에는 인간세상을 일컫게 됨.
주024)
만야:많아. 만-[多]+아/어(연결어미).
주025)
지:짓되. 짓-(ㅅ불규칙)[作]+오(연결어미). → 〈5ㄱ〉지.
주026)
선혜(禪慧):선정(禪定)과 지혜(智慧).
주027)
닷디:닦지. -[修]+디(보조적 연결어미). 어간의 ‘ㅺ’에서 ‘ㄱ’은 자음어미 앞에서 줄고(닷게, 닷), 모음어미 앞에서는 제대로 활용됨(닷가, 닷니, 닷며).
주028)
닑디:읽지. 닑-[讀]+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9)
모며:모르며. 모르-[無知]+며(연결어미).
주030)
알리:알 사람이. 알-[知]+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주031)
야:(문수사리로) 하여금. 더불어. 야(거-거, 부사).
주032)
의함탑(衣函塔):옷을 담은 함을 넣어둔 탑.
주033)
녀:다녀, -[走]+니-[行]+아/어(연결어미). ‘니-’의 ‘ㄷ’이 ‘ㄴ’에 비음동화된 ‘니-’도 나타남.
주034)
너비:널리. 넓게. 너비(평-거, 부사).
주035)
니펴:입혀. 입히-[被]+아/어(연결어미).
주036)
모딘:악한. 모진. 모딜-[惡]+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37)
텨:쳐. 티-[打]+아/어(연결어미). ‘ㄷ, ㅌ’의 구개음화 현상은, 문헌상으로 17세기와 18세기의 교체기에 완성된 것으로 봄.
주038)
됴:좋은. 둏-[好]+/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39)
닑게:일게. 닑-[讀]+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40)
욜:하게 할. -+오/우+ㄹ(관형사형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오/우-’는 관형사절에 나타나는 것으로 의도법의 ‘-오/우-’와는 다른 것임.
주041)
믿고대:본 고장에. 본처(本處)에. 원래 있던 곳에. 믿[本]#곧[處]+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42)
뒷다가:두었다가. 두-[置]#잇/이시-[有]+다가(전환의 연결어미).
주043)
:내릴. 리-[下]+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44)
부촉(付囑)게:부촉하게. 付囑-+게. 어근 말음의 무성음과 어미의 두음 무성자음 사이에서 ‘’가 줆.
주045)
두논:두는. 두-[置]+(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오/우-’는 관형사절에 나타나는 것으로 의도법의 ‘-오/우-’와는 다른 것임.
주046)
서르:서로. 서르(평-평, 부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