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아난 작명 인연
  • 아난 작명 인연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난 작명 인연


[아난 작명 인연]
阿難은 歡喜라 주001)
혼:
한. 하는. -+오/우+(/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디니 如來正覺 주002)
정각(正覺):
부처님 10호의 하나. 등정각(等正覺, samyaksambudda)의 준말로 샴먁삼불타(三藐三佛陀)라 음역함. 부처님은 평등한 정리(正理)를 깨달았으므로 이같이 이름.
일우제 주003)
일우 제:
이루실 때. 일우-[成]+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연결어미)+제 (의존명사).
魔王이 너교 부텻 道理 일면 주004)
일면:
이루어지면. 되면. 일-[成]+면(가정의 연결어미).
境界 주005)
경계(境界):
(마왕이 관할하는) 경계. 영역.
뷔리로다 주006)
뷔리로다:
빌 것이로다. 뷔-[空]+리+도/로(감탄법 선어말어미)+다.
하야 十八億萬 官屬 주007)
관속(官屬):
관청의 아전과 하인의 총칭.
더블오 주008)
더블오:
더불어. 더블-[與]+고/오. ‘-오’〔ɦo〕는 ‘ㄹ’음 아래서 ‘ㄱ’ 약화 표기된 것임.
어즈리다가 주009)
어즈리다가:
어지럽히다가. 어즈리-[亂]+(객체높임 선어말어미)+다가(전환의 연결어미) ⟶ 〈9ㄴ〉좃.
몯야 降

월인석보 25:11ㄴ

伏야 이셔 너교 菩薩 주010)
보살(菩薩):
보리살타(菩提薩陀)의 준말로 성불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이를 모두 이름. 넓은 뜻으로는 일반적으로 대승불교에 귀의한 이. 우리나라에서는 우바이(優婆夷, upasika의 음역: 속가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여자)를 존칭하는 말로 씀.
은 히미 크샤 주011)
크샤:
크시어. 크-[大](거성, 형용사)+시+아/어.
이긔리로소니 주012)
이긔리로소니:
이길 것이니. 이긔-[勝](평-거, 동사)+리+돗/롯(감탄법 선어말어미)+오/우+니. ‘-리-’ 선어말어미 뒤에서 ‘-돗-’이 ‘-롯-’으로 변동됨. 또 ‘-돗/롯-’이 ‘-(/으)니-’와 연결되면 ‘-로니’가 되어야 하지만 ‘-도-’의 ‘오’에 원순동화되어 ‘-로소니’로 나타남.
아비 주013)
아비:
아버지를. 아비[父]+(목적격 조사).
어즈료리라 주014)
어즈료리라:
어지럽게 하리라. 어즈리-[亂]+오/우+리+다/라.
고 淨飯王 주015)
정반왕(淨飯王):
Suddhodana. 고대 중인도 가비라국의 왕. 석존의 아버지로 백정왕(白淨王)이라고도 함.
우희 주016)
우희:
위에. 웋[上](ㅎ말음체언)+/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가 닐오 悉達太子 주017)
실달태자(悉達太子):
Siddhārtha. 석존이 출가하기 전 태자 시절의 이름이 ‘실달’이었음.
ㅣ 어젯 바 주018)
바:
밤에. 밤[夜](거성, 명사)+/의. 밤[栗](상성, 명사)과는 방점으로 대립되었음.
주그시니라 주019)
주그시니라:
죽으시었다. 돌아가셨다. 죽-[死]+(/으)시+니+다/라.
대 주020)
대:
하니까. 한즉. -+ㄴ대(조건의 연결어미).
王이 平床애셔 주021)
평상(平床)애셔:
평상에서. ‘-에셔(거-거, 조사)’는 ‘시발’의 기능과 ‘비교’의 기능이 같이 씌었음.
러디샤 주022)
러디샤:
떨어지시어. 러디-[落](평-거-거, 동사)+시+아/어.
오래 림 주023)
림:
〈정신〉 차림. 리-[省](평-펑, 동사)+(/으)ㅁ(명사파생접미사).
몯얫다가 주024)
몯얫다가:
못하였다가. 몯-+아/어/야#잇/이시+다가. 아/어/야+〉앳/엣/얫〉앗/엇/얏.
샤 주025)
샤:
깨시어. -[覺](거성, 동사)+시+아/어.
너기샤 주026)
너기샤:
여기시되. 너기-[念]+시+오/우+. ‘-시-+오/우’는 ‘-샤-’로 변동되었음.
내 아리 지븨 잇던 주027)
잇던:
있었다면. 잇/이시/시-[有]+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ㄴ(조건의 연결어미).
輪王 주028)
윤왕(輪王):
전륜왕. 전륜성왕(轉輪聖王). 인도 신화에서 세계를 통일 지배하는 제왕의 이상상(理想像)임.
외리러니 주029)
외리러니:
되었을 것이더니. 외-[爲]+리+더/러+니.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出家야  일도 몯 일우도다 주030)
일우도다:
이루었도다. 이루었다. 일우-[成]+도(감탄법 선어말어미)+다/라.
시더니 菩提樹 주031)
보리수(菩提樹):
Bodhidruma. 도수(道樹), 각수(覺樹)라 번역. 부처님이 정각을 이루시던 곳을 덮었던 나무로 필발라(畢鉢羅)나무를 이름.
하 주032)
하:
하늘의. 하[天](평-거, ㅎ말음체언)+ㅅ(관형격조사). 조사의 두음 ‘ㅅ’ 앞에서 체언의 종성 ‘ㅎ’이 탈락되었음.
주033)
곳:
꽃. 곶[花](평성). ‘곳’은 8종성표기임.
가져 주034)
가져:
가지고. 가지어. 가지-[持](평-거, 동사)+아/어.
우희부톄 어젯 바 成道샤 주035)
샤:
하심을. -+시+옴/움+(목적격조사). 선어말어미 ‘-시-’는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慶賀야 王이 疑心더시니 주036)
더시니:
하시더니. -+더+시+니. 선어말어미 ‘-더-’와 ‘-시-’의 분포가 이와 같이 ‘-더-’가 앞서는 것이었으나, 당시에도 이 차례가 바뀌어 ‘시+더’로 쓰인 경우가 있었음. 바로 다음 면의 ‘깃거시더니’〈월석 25:12ㄱ〉, 그 밖의 ‘시더뇨’〈석상 23; 30〉, ‘오시거나’〈석상 24:6〉도 있음.
樹神 주037)
수신(樹神):
나무에 사는 신.
 주038)
: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5ㄴ〉보라며.
몬졔 주039)
몬졔:
먼저는. 몬졔[先](평-거, 명사)+(보조사). 몬져(평-평, 명사, 부사)도 쓰였음.
魔王이 부러 어즈리더니다 주040)
어즈리더니다:
어지럽히었습니다. 어즈리-[亂]+더+니++다.
王이  주041)
:
매우. (평-거, 부사).

월인석보 25:12ㄱ

깃거시더니 주042)
깃거시더니:
기뻐하시더니. 깃거-[喜](평-거-거, 동사)+시+더+니. 본래 ‘-[喜](평성)’만으로 ‘깃거(기뻐하여), 깃그시니(기뻐하시니), 깃니(기뻐하오시니)’와 같이 활용되었으나, 단음절 어간의 약점을 보충하느라고 ‘-+아/어(보조적 연결어미)+-’로 새로운 어간이 형성되어 같이 쓰였다고 봄.
阿難이 어제 나다 주043)
나다:
〈태어〉나다. 〈태어〉났다. 나[出, 生]+다(설명법 종결어미).
드르시고 주044)
드르시고:
들으시고. 듣-[聞](평성, ㄷ불규칙동사)+(/으)시+고.
니샤 吉慶 주045)
길경(吉慶):
즐겁고 경사스러운 일.
 주046)
:
함께. 이는 본래 ‘[一]+[時]+/의’. 합성 부사가 되면서 2음절 첫소리 ‘ㅂ’의 역행동화로 1음절 말의 ‘ㄴ’이 ‘ㅁ’으로 바뀌어 후대의 ‘’가 됨.
모니라 주047)
모니라:
모였다. 몯-[集](평성, 동사)+(/으)니+다/라.
샤 歡喜일훔 주048)
일훔:
이름. 일훔[名](평-거, 명사).
지시니라 주049)
지시니라:
〈이름〉 지으시었다. 짛-[作名]+(/으)시+니+라. 『표준국어대사전』(두산동아)에는 ‘짓다’의 ‘평북방언’으로 올라 있음.
阿難부텨좃 주050)
좃:
좇자와. 따라서. 좇/좃-[從](평성)++아/어. → 〈5ㄴ〉보라며.
天宮이며 人宮이며 龍宮에 드러가 겨집 주051)
겨집:
여자. 계집. 아내. 겨집[女, 妻](상-평, 명사).
보고 著  주052)
:
마음. ‘[心]〉〉음〉마음’으로 변천되었음.
업슬 주053)
업슬:
없으므로. 없-[無](상성, 형용사)+(/으)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三藏敎 주054)
삼장교(三藏敎):
수다라장(修多羅藏), 비니장(毘尼藏), 아비담장(阿毘曇藏)을 이름.
디니니라 주055)
디니니라:
지니었다. 디니-[持](평-거, 동사)+니+다/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迦葉問諸比丘 阿難所言不錯謬乎 皆曰 不異世尊所說 >(이상, 〈경덕전등록〉 권1, 『대정신수대장경』 제51, 206쪽 상) (일부 미상)

[아난 작명 인연]
【‘아난’은 환희라 하는 뜻이니, 여래정각을 이루실 때 마왕이 여기되, ‘부처의 도리가 일어나면 내 경계가 빌 것이로다.’하고 18억만 관속과 더불어 와서 어지럽히다가 못해서 항복하여, 여기되, ‘보살은 힘이 크시어 이기지 못할 것이니, 〈그〉 아비를 어지럽게 하리라.’ 하고, 정반왕의 궁 위에 가 이르되, “실달태자가 어젯밤에 죽으시었다.” 하니까, 왕이 평상에서 떨어져서 오래 정신 차리지 못하였다가 깨시어 여기시되, “내 아들이 집에 있었더라면 전륜왕이 되었을 터인데, 출가하여 한 가지 일도 이루지 못하였구나.” 하시더니, 보리수 신이 하늘의 꽃을 가지고 궁 위에 와서 부처님이 어젯밤에 성도하심을 경하하거늘, 왕이 의심하더니, 수신이 여쭈되, “먼저는 마왕이 일부러 어지럽혔었습니다.” 왕이 매우 기뻐하시더니, 또 아난이 어제 〈태어〉났다고 들으시고 이르시되, “길경사가 함께 모였다.” 하시고, ‘환희’라고 이름 지으시었다. 아난부처님을 조차 천궁이며 인궁이며 용궁에 들어가 여자를 보고 집착하는 마음이 없으므로 삼장교를 지니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혼:한. 하는. -+오/우+(/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2)
정각(正覺):부처님 10호의 하나. 등정각(等正覺, samyaksambudda)의 준말로 샴먁삼불타(三藐三佛陀)라 음역함. 부처님은 평등한 정리(正理)를 깨달았으므로 이같이 이름.
주003)
일우 제:이루실 때. 일우-[成]+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연결어미)+제 (의존명사).
주004)
일면:이루어지면. 되면. 일-[成]+면(가정의 연결어미).
주005)
경계(境界):(마왕이 관할하는) 경계. 영역.
주006)
뷔리로다:빌 것이로다. 뷔-[空]+리+도/로(감탄법 선어말어미)+다.
주007)
관속(官屬):관청의 아전과 하인의 총칭.
주008)
더블오:더불어. 더블-[與]+고/오. ‘-오’〔ɦo〕는 ‘ㄹ’음 아래서 ‘ㄱ’ 약화 표기된 것임.
주009)
어즈리다가:어지럽히다가. 어즈리-[亂]+(객체높임 선어말어미)+다가(전환의 연결어미) ⟶ 〈9ㄴ〉좃.
주010)
보살(菩薩):보리살타(菩提薩陀)의 준말로 성불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이를 모두 이름. 넓은 뜻으로는 일반적으로 대승불교에 귀의한 이. 우리나라에서는 우바이(優婆夷, upasika의 음역: 속가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여자)를 존칭하는 말로 씀.
주011)
크샤:크시어. 크-[大](거성, 형용사)+시+아/어.
주012)
이긔리로소니:이길 것이니. 이긔-[勝](평-거, 동사)+리+돗/롯(감탄법 선어말어미)+오/우+니. ‘-리-’ 선어말어미 뒤에서 ‘-돗-’이 ‘-롯-’으로 변동됨. 또 ‘-돗/롯-’이 ‘-(/으)니-’와 연결되면 ‘-로니’가 되어야 하지만 ‘-도-’의 ‘오’에 원순동화되어 ‘-로소니’로 나타남.
주013)
아비:아버지를. 아비[父]+(목적격 조사).
주014)
어즈료리라:어지럽게 하리라. 어즈리-[亂]+오/우+리+다/라.
주015)
정반왕(淨飯王):Suddhodana. 고대 중인도 가비라국의 왕. 석존의 아버지로 백정왕(白淨王)이라고도 함.
주016)
우희:위에. 웋[上](ㅎ말음체언)+/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주017)
실달태자(悉達太子):Siddhārtha. 석존이 출가하기 전 태자 시절의 이름이 ‘실달’이었음.
주018)
바:밤에. 밤[夜](거성, 명사)+/의. 밤[栗](상성, 명사)과는 방점으로 대립되었음.
주019)
주그시니라:죽으시었다. 돌아가셨다. 죽-[死]+(/으)시+니+다/라.
주020)
대:하니까. 한즉. -+ㄴ대(조건의 연결어미).
주021)
평상(平床)애셔:평상에서. ‘-에셔(거-거, 조사)’는 ‘시발’의 기능과 ‘비교’의 기능이 같이 씌었음.
주022)
러디샤:떨어지시어. 러디-[落](평-거-거, 동사)+시+아/어.
주023)
림:〈정신〉 차림. 리-[省](평-펑, 동사)+(/으)ㅁ(명사파생접미사).
주024)
몯얫다가:못하였다가. 몯-+아/어/야#잇/이시+다가. 아/어/야+〉앳/엣/얫〉앗/엇/얏.
주025)
샤:깨시어. -[覺](거성, 동사)+시+아/어.
주026)
너기샤:여기시되. 너기-[念]+시+오/우+. ‘-시-+오/우’는 ‘-샤-’로 변동되었음.
주027)
잇던:있었다면. 잇/이시/시-[有]+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ㄴ(조건의 연결어미).
주028)
윤왕(輪王):전륜왕. 전륜성왕(轉輪聖王). 인도 신화에서 세계를 통일 지배하는 제왕의 이상상(理想像)임.
주029)
외리러니:되었을 것이더니. 외-[爲]+리+더/러+니.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주030)
일우도다:이루었도다. 이루었다. 일우-[成]+도(감탄법 선어말어미)+다/라.
주031)
보리수(菩提樹):Bodhidruma. 도수(道樹), 각수(覺樹)라 번역. 부처님이 정각을 이루시던 곳을 덮었던 나무로 필발라(畢鉢羅)나무를 이름.
주032)
하:하늘의. 하[天](평-거, ㅎ말음체언)+ㅅ(관형격조사). 조사의 두음 ‘ㅅ’ 앞에서 체언의 종성 ‘ㅎ’이 탈락되었음.
주033)
곳:꽃. 곶[花](평성). ‘곳’은 8종성표기임.
주034)
가져:가지고. 가지어. 가지-[持](평-거, 동사)+아/어.
주035)
샤:하심을. -+시+옴/움+(목적격조사). 선어말어미 ‘-시-’는 ‘-오/우-’ 앞에서 ‘샤’로 변동됨.
주036)
더시니:하시더니. -+더+시+니. 선어말어미 ‘-더-’와 ‘-시-’의 분포가 이와 같이 ‘-더-’가 앞서는 것이었으나, 당시에도 이 차례가 바뀌어 ‘시+더’로 쓰인 경우가 있었음. 바로 다음 면의 ‘깃거시더니’〈월석 25:12ㄱ〉, 그 밖의 ‘시더뇨’〈석상 23; 30〉, ‘오시거나’〈석상 24:6〉도 있음.
주037)
수신(樹神):나무에 사는 신.
주038)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5ㄴ〉보라며.
주039)
몬졔:먼저는. 몬졔[先](평-거, 명사)+(보조사). 몬져(평-평, 명사, 부사)도 쓰였음.
주040)
어즈리더니다:어지럽히었습니다. 어즈리-[亂]+더+니++다.
주041)
:매우. (평-거, 부사).
주042)
깃거시더니:기뻐하시더니. 깃거-[喜](평-거-거, 동사)+시+더+니. 본래 ‘-[喜](평성)’만으로 ‘깃거(기뻐하여), 깃그시니(기뻐하시니), 깃니(기뻐하오시니)’와 같이 활용되었으나, 단음절 어간의 약점을 보충하느라고 ‘-+아/어(보조적 연결어미)+-’로 새로운 어간이 형성되어 같이 쓰였다고 봄.
주043)
나다:〈태어〉나다. 〈태어〉났다. 나[出, 生]+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44)
드르시고:들으시고. 듣-[聞](평성, ㄷ불규칙동사)+(/으)시+고.
주045)
길경(吉慶):즐겁고 경사스러운 일.
주046)
:함께. 이는 본래 ‘[一]+[時]+/의’. 합성 부사가 되면서 2음절 첫소리 ‘ㅂ’의 역행동화로 1음절 말의 ‘ㄴ’이 ‘ㅁ’으로 바뀌어 후대의 ‘’가 됨.
주047)
모니라:모였다. 몯-[集](평성, 동사)+(/으)니+다/라.
주048)
일훔:이름. 일훔[名](평-거, 명사).
주049)
지시니라:〈이름〉 지으시었다. 짛-[作名]+(/으)시+니+라. 『표준국어대사전』(두산동아)에는 ‘짓다’의 ‘평북방언’으로 올라 있음.
주050)
좃:좇자와. 따라서. 좇/좃-[從](평성)++아/어. → 〈5ㄴ〉보라며.
주051)
겨집:여자. 계집. 아내. 겨집[女, 妻](상-평, 명사).
주052)
:마음. ‘[心]〉〉음〉마음’으로 변천되었음.
주053)
업슬:없으므로. 없-[無](상성, 형용사)+(/으)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주054)
삼장교(三藏敎):수다라장(修多羅藏), 비니장(毘尼藏), 아비담장(阿毘曇藏)을 이름.
주055)
디니니라:지니었다. 디니-[持](평-거, 동사)+니+다/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