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법장결집
  • 법장결집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장결집 5


[법장결집 5]

월인석보 25:7ㄴ

梵波提
닐오 우리 和上大師 주001)
화상대사(和上大師):
화상(和尙). upadhyaya. 본래는 아사리(阿闍梨, 제자의 행위 교정하는 사범이 되어 지도하는 큰 스님)와 함께 수계사(授戒師)인 스님을 뜻하나, 여기서 그에 ‘대사(부처님 존칭)’를 붙여서 부처님을 가리킴.
마 주002)
마:
이미. 벌써. 마[旣](평-거, 부사).
滅度시니 내 외 주003)
외:
다시. 외[更](평-평, 부사). 앞의 ‘외야’와 같이 부사로 씌었음.
려가디 주004)
려가디:
내려가지. 려가-[下降]+디(보조적 연결어미). 려가-[下降]는 ‘리-[降]+아/어+가-[行]’의 합성어임.
몯리로다 주005)
몯리로다:
못할 것이로다. 몯-+리+도/로+다.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도-’는 선어말어미 ‘-리-’와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로-’로 변동됨.
고 入定 주006)
입정(入定):
선정(禪定)에 듦. 마음을 한 경계에 정하고 고요히 생각함.
야 三道 주007)
삼도(三道):
견도(見道),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 성문이나 보살이 수행하는 과정의 3단계. 또는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
白乳光 주008)
백유광(白乳光):
흰 우유의 빛.
 펴 迦葉알 주009)
알:
앞에. 앒[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다라 주010)
다라:
다달아. 다-[到](ㄷ불규칙)+아/어.
光中에셔 偈 닐오 憍梵波提 衆中 淸淨 大德 주011)
대덕(大德):
지혜와 덕망이 높은 스님.
주012)
:
-에게. -(님)께.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월인석보 25:8ㄱ

머리 조 주013)
조:
조아. 조아려. 좃-[稽](ㅅ불규칙). → 〈5ㄱ〉지.
禮數 주014)
예수(禮數):
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림.
노니 象王 주015)
상왕(象王):
코끼리 중의 왕. 부처님을 비유하여 이름.
이 가면 象子 주016)
상자(象子):
어린 코끼리. 불교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속세의 사람들을 비유함.
좃니 주017)
좃니:
좇으니. 따르니. 좃-/좇-[隨]+(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좃-’은 ‘좇-’의 8종성 표기임.
大師ㅣ 마 滅度시니 나도  滅度노다 고 브를 주018)
브를:
부을. 블[火]+을/를. ‘블’이 ‘불’로 순모음화 되는 것은 17세기 말로 봄.
化야 주019)
화(化)야:
변화하여. 化-+아/어/야.
주020)
제:
저절로. 스스로. 제[自](거성, 부사). 이는 자형이나, 방점이 같은 ‘제’(명사, 제, 적에. 때에)와는 동음어임.
니라 주021)
니라:
(저절로) 탔다. 타졌다. -[燒]+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憍梵波提言 我和上大師皆已滅度 我今不能復下【即入涅槃】〔역자 주〕(전반 일부 미상)
〔역자 주〕(일부 미상)

[법장결집 5]
교범파제가 이르되, “우리 화상대사께서 이미 멸도하셨으니, 내가 다시는 내려가지 못하겠구나.” 하고 입정하여 삼도의 백유광을 펴서 가섭 앞에 다다라 빛 가운데에서 계를 이르되, “교범파제가 대중 가운데 대덕스님께 머리를 조아려 예수하니, 상왕이 가면 상자가 따르니, 대사가 이미 멸도하셨으니 나도 또 멸도합니다.” 하고 불을 일으켜 스스로를 살랐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화상대사(和上大師):화상(和尙). upadhyaya. 본래는 아사리(阿闍梨, 제자의 행위 교정하는 사범이 되어 지도하는 큰 스님)와 함께 수계사(授戒師)인 스님을 뜻하나, 여기서 그에 ‘대사(부처님 존칭)’를 붙여서 부처님을 가리킴.
주002)
마:이미. 벌써. 마[旣](평-거, 부사).
주003)
외:다시. 외[更](평-평, 부사). 앞의 ‘외야’와 같이 부사로 씌었음.
주004)
려가디:내려가지. 려가-[下降]+디(보조적 연결어미). 려가-[下降]는 ‘리-[降]+아/어+가-[行]’의 합성어임.
주005)
몯리로다:못할 것이로다. 몯-+리+도/로+다.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도-’는 선어말어미 ‘-리-’와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로-’로 변동됨.
주006)
입정(入定):선정(禪定)에 듦. 마음을 한 경계에 정하고 고요히 생각함.
주007)
삼도(三道):견도(見道),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 성문이나 보살이 수행하는 과정의 3단계. 또는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
주008)
백유광(白乳光):흰 우유의 빛.
주009)
알:앞에. 앒[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주010)
다라:다달아. 다-[到](ㄷ불규칙)+아/어.
주011)
대덕(大德):지혜와 덕망이 높은 스님.
주012)
:-에게. -(님)께.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주013)
조:조아. 조아려. 좃-[稽](ㅅ불규칙). → 〈5ㄱ〉지.
주014)
예수(禮數):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림.
주015)
상왕(象王):코끼리 중의 왕. 부처님을 비유하여 이름.
주016)
상자(象子):어린 코끼리. 불교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속세의 사람들을 비유함.
주017)
좃니:좇으니. 따르니. 좃-/좇-[隨]+(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좃-’은 ‘좇-’의 8종성 표기임.
주018)
브를:부을. 블[火]+을/를. ‘블’이 ‘불’로 순모음화 되는 것은 17세기 말로 봄.
주019)
화(化)야:변화하여. 化-+아/어/야.
주020)
제:저절로. 스스로. 제[自](거성, 부사). 이는 자형이나, 방점이 같은 ‘제’(명사, 제, 적에. 때에)와는 동음어임.
주021)
니라:(저절로) 탔다. 타졌다. -[燒]+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