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①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

월인석보 25:16ㄴ

◯ 通 일후믄 시혹 袈裟 주001)
가사(袈裟):
스님들이 입는 옷. 가사의 색은 대체로 황적색을 띠는데, 이 말의 원어가 황적색(黃赤色)을 뜻하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본래 출가 수행자란 남이 쓰다 버린 옷 조각이나 못 쓰게 된 천 조각들을 주워서 꿰매어 만든 옷을 입을 만큼 무욕(無慾)과 무소유를 실천하였던 것에서 비롯된다. 가사를 입은 출가자는 자비를 실천하고 공덕을 쌓는 수행에 전념하기 때문에, 자비의(慈悲衣), 공덕의(功德衣)라고도 불린다. *가사예(迦沙曳), *납의(衲衣), *분소의(糞掃衣).
ㅣ라 며≪믈든 주002)
믈든:
물든. 믈[水]+들-[入]+(/으)ㄴ. ‘믈들-’은 합성어로서 ‘물감[染料]이 옮아 묻다’의 뜻임.
비츨 從야 일훔 지니 주003)
지니:
(이름) 붙이니. (이름) 지으니. 짛-[作名]+(/으)니.
袈裟不正色 주004)
부정색(不正色):
청색, 화색, 적색, 백색, 흑색이 아닌 간색(間色)을 이름.
이라 주005)
혼:
한. -+(오/우)ㄴ.
마리라≫ 시혹 道服 주006)
도복(道服):
수도(修道)하는 사람이 입는 옷. 여기서는 스님의 옷을 이름.
이라 며 시혹 出世服 주007)
출세복(出世服):
속가(俗家)를 떠나 불문(佛門)에 든 스님들이 입는 옷의 뜻임.
이라 며 시혹 法衣 주008)
법의(法衣):
스님의 옷.
라 며 시혹 離塵服 주009)
이진복(離塵服):
티끌세상[俗世]을 떠난 이, 곧 스님의 옷을 이름.
이라 며 시혹 消瘦服 주010)
소수복(消瘦服):
‘소수’은 몸이 여위고 쇠약함의 뜻으로, 쇠약한 스님들의 옷을 이름.
이라 며≪煩惱 주011)
번뇌(煩惱):
Klesa. 혹(惑), 염(染), 누(漏), 결(結) 등 여러 가지로 쓰임. ‘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損니라 주012)
손(損)니라:
(번뇌를) 덜어버리기 때문이다. 損-+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니+라. ‘損-’는 ‘덜다, 덜어버리다’의 뜻임.
≫ 시혹 蓮華服 주013)
연화복(蓮華服):
연화의(蓮華衣). 가사의 다른 이름. 가사의 깨끗함을 연화에 비유함.
이라 며≪더러 주014)
더러:
더러운. 더럽-[汚](상-평, ㅂ불규칙형용사)+(/으)ㄴ. → 보라며〈5ㄴ〉.
著호 주015)
착(著)호:
붙음을. 著-+옴/움+(목적격조사). ‘저[著]’는 ‘글을 짓다’의 뜻일 때는 ‘저’로 읽으나, ‘붙다[附]’의 뜻일 때는 ‘착’으로 읽음.
여흴니라 주016)
여흴니라:
여의기 때문이다. 이별하기 때문이다. 여희-[離](평-거, 동사)+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니+라.

월인석보 25:17ㄱ

시혹 間色服 주017)
간색복(間色服):
가사의 다른 이름. 가사의 빛은 정해진 세 가지 빛, 1) 흑니색(黑泥色), 2) 동청색(銅靑色), 3) 인도에서는 건타색(乾陀色), 중국에서는 목란색(木蘭色). 그 빛이 모두 중간색이므로 간색복이라 함.
이라 며≪세 가짓 비로 일울니라 주018)
일울니라:
이루기 때문이다. 일우-[成](동사, 평-거)+ㄹ+니+라. ‘일오-’도 씌었음. ‘客塵 두 字 아로브터 果 일오다(因悟客塵二字成果)’〈능엄 1:105ㄱ〉.
≫ 시혹 慈悲衣 주019)
자비의(慈悲衣):
중생에게 복을 주고 괴로움을 없애게 하는 옷이란 뜻으로 스님의 옷을 일컬음.
라 며 시혹 福田衣 주020)
복전의(福田衣):
가사의 다른 이름. 스님들은 다른 이의 공양을 받아 살아가며, 다른 이에게 교법을 설하여 자기와 다른 이가 함께 복덕을 받는 것이, 밭이 곡식을 내는 것과 같으므로 복전의라 함.
라 니라 各別 주021)
각별(各別):
또 다른. 각기 다른. 각별한. 유달리 특별한. 各別-(거-거-평, 형용사)+(/으)ㄴ.
일후믄 나 僧伽梨니 雜碎衣 주022)
잡쇄의(雜碎衣):
3의 가운데 대의(大衣)의 다른 이름. 조각 난 조의 수가 많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임.
라 혼 마리니≪碎  씨라 주023)
씨라:
바스러지는 것이다. -[碎](평-평-거, 동사)+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니+라. ‘’의 활용형은 ‘시(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과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條相 주024)
조상(條相):
‘조’는 세로로 이어 붙인 천을 가리키는데, 그 모양을 이른 것임.
할니라 주025)
할니라:
많기 때문이다. 하-[多](형용사, 거성)+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니+라.
西域記 주026)
서역기(西域記):
당나라 현장(玄奘)이 인도의 여러 곳을 다니면서 본 풍속, 의복, 지리, 물산 등을 기록한 책.
예 닐오 僧伽梨 合이라 주027)
합(合)이라:
합(침)이라고.
며 重이라 주028)
중(重)이라:
겹(침)이라고.
혼 마리니 려 주029)
려:
벌이어. 리-[排](평-거, 동사)+아/어.
어울워 주030)
어울워:
어우러. 어우르게 하여. 어울우-[合](평-거-평, 동사)+아/어.
일우며 重複衣 주031)
중복의(重複衣):
가사의 한 가지. 곧, 승가리의.
라 혼 마리라 重複 겨필 주032)
겨필:
겹칠. 겨피-[重]+(/으)ㄹ. 이는 정음 초기 문헌으로는 이것이 처음이다. 종래는 『법화경언해』〈2:73ㄴ〉 ‘빗난 돗 겨펴 면(重敷婉筵)’가 사전의 표제어였음. ⟶해제 3. 희귀어 1. ‘겨피다’.
씨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미상)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
◯ 통용되는 이름은 혹 가사라 하며≪물든(염색된) 빛깔을 따라서 이름 지으니, 가사는 부정색이라 하는 말이다.≫, 혹 도복이라 하며, 혹 출세복이라 하며, 혹 법의라 하며, 혹 이진복이라 하며, 혹 소수복이라 하며≪번뇌를 덜어버리기 때문이다.≫, 혹 연화복이라 하며≪더러운 것 붙음을 여의기 때문이다.≫, 혹은 간색복이라 하며≪세 가지 빛깔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혹 자비의라 하며, 혹 복전의라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이름은 승가리이니, 잡쇄의라고 하는 말이니≪‘쇄’는 바스러지는 것이다. 조의 모양이 많기 때문이다. ◯ 『서역기』에 이르되, “승가리는 합침이라 하며, 거듭됨이라 하는 말이니, 벌이고 어우르게 하여 이루며, 중복의라 하는 말이다. 중복은 겹치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사(袈裟):스님들이 입는 옷. 가사의 색은 대체로 황적색을 띠는데, 이 말의 원어가 황적색(黃赤色)을 뜻하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본래 출가 수행자란 남이 쓰다 버린 옷 조각이나 못 쓰게 된 천 조각들을 주워서 꿰매어 만든 옷을 입을 만큼 무욕(無慾)과 무소유를 실천하였던 것에서 비롯된다. 가사를 입은 출가자는 자비를 실천하고 공덕을 쌓는 수행에 전념하기 때문에, 자비의(慈悲衣), 공덕의(功德衣)라고도 불린다. *가사예(迦沙曳), *납의(衲衣), *분소의(糞掃衣).
주002)
믈든:물든. 믈[水]+들-[入]+(/으)ㄴ. ‘믈들-’은 합성어로서 ‘물감[染料]이 옮아 묻다’의 뜻임.
주003)
지니:(이름) 붙이니. (이름) 지으니. 짛-[作名]+(/으)니.
주004)
부정색(不正色):청색, 화색, 적색, 백색, 흑색이 아닌 간색(間色)을 이름.
주005)
혼:한. -+(오/우)ㄴ.
주006)
도복(道服):수도(修道)하는 사람이 입는 옷. 여기서는 스님의 옷을 이름.
주007)
출세복(出世服):속가(俗家)를 떠나 불문(佛門)에 든 스님들이 입는 옷의 뜻임.
주008)
법의(法衣):스님의 옷.
주009)
이진복(離塵服):티끌세상[俗世]을 떠난 이, 곧 스님의 옷을 이름.
주010)
소수복(消瘦服):‘소수’은 몸이 여위고 쇠약함의 뜻으로, 쇠약한 스님들의 옷을 이름.
주011)
번뇌(煩惱):Klesa. 혹(惑), 염(染), 누(漏), 결(結) 등 여러 가지로 쓰임. ‘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주012)
손(損)니라:(번뇌를) 덜어버리기 때문이다. 損-+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니+라. ‘損-’는 ‘덜다, 덜어버리다’의 뜻임.
주013)
연화복(蓮華服):연화의(蓮華衣). 가사의 다른 이름. 가사의 깨끗함을 연화에 비유함.
주014)
더러:더러운. 더럽-[汚](상-평, ㅂ불규칙형용사)+(/으)ㄴ. → 보라며〈5ㄴ〉.
주015)
착(著)호:붙음을. 著-+옴/움+(목적격조사). ‘저[著]’는 ‘글을 짓다’의 뜻일 때는 ‘저’로 읽으나, ‘붙다[附]’의 뜻일 때는 ‘착’으로 읽음.
주016)
여흴니라:여의기 때문이다. 이별하기 때문이다. 여희-[離](평-거, 동사)+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니+라.
주017)
간색복(間色服):가사의 다른 이름. 가사의 빛은 정해진 세 가지 빛, 1) 흑니색(黑泥色), 2) 동청색(銅靑色), 3) 인도에서는 건타색(乾陀色), 중국에서는 목란색(木蘭色). 그 빛이 모두 중간색이므로 간색복이라 함.
주018)
일울니라:이루기 때문이다. 일우-[成](동사, 평-거)+ㄹ+니+라. ‘일오-’도 씌었음. ‘客塵 두 字 아로브터 果 일오다(因悟客塵二字成果)’〈능엄 1:105ㄱ〉.
주019)
자비의(慈悲衣):중생에게 복을 주고 괴로움을 없애게 하는 옷이란 뜻으로 스님의 옷을 일컬음.
주020)
복전의(福田衣):가사의 다른 이름. 스님들은 다른 이의 공양을 받아 살아가며, 다른 이에게 교법을 설하여 자기와 다른 이가 함께 복덕을 받는 것이, 밭이 곡식을 내는 것과 같으므로 복전의라 함.
주021)
각별(各別):또 다른. 각기 다른. 각별한. 유달리 특별한. 各別-(거-거-평, 형용사)+(/으)ㄴ.
주022)
잡쇄의(雜碎衣):3의 가운데 대의(大衣)의 다른 이름. 조각 난 조의 수가 많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임.
주023)
씨라:바스러지는 것이다. -[碎](평-평-거, 동사)+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니+라. ‘’의 활용형은 ‘시(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과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주024)
조상(條相):‘조’는 세로로 이어 붙인 천을 가리키는데, 그 모양을 이른 것임.
주025)
할니라:많기 때문이다. 하-[多](형용사, 거성)+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니+라.
주026)
서역기(西域記):당나라 현장(玄奘)이 인도의 여러 곳을 다니면서 본 풍속, 의복, 지리, 물산 등을 기록한 책.
주027)
합(合)이라:합(침)이라고.
주028)
중(重)이라:겹(침)이라고.
주029)
려:벌이어. 리-[排](평-거, 동사)+아/어.
주030)
어울워:어우러. 어우르게 하여. 어울우-[合](평-거-평, 동사)+아/어.
주031)
중복의(重複衣):가사의 한 가지. 곧, 승가리의.
주032)
겨필:겹칠. 겨피-[重]+(/으)ㄹ. 이는 정음 초기 문헌으로는 이것이 처음이다. 종래는 『법화경언해』〈2:73ㄴ〉 ‘빗난 돗 겨펴 면(重敷婉筵)’가 사전의 표제어였음. ⟶해제 3. 희귀어 1. ‘겨피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