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①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4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4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4]
내 그제 大衣 바도려 주001)
바도려:
받으려. 받-[受]+오려(의도의 연결어미).
 제 히  주002)
:
매우. 가장. 중세어의 ‘’의 의미에는 정도성을 나타내는 ‘매우’와 최상급을 나타내는 ‘가장’이 있는데, 대부분 ‘매우’의 뜻으로 사용되고 최상급의 의미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뮈더니 주003)
뮈더니:
움직이더니. 진동하더니. 뮈-[動]+더+니.
樹神이 닐오 이제 太子 爲야 오 여러 주004)
여러:
열어. 열-[開]+아/어.
福田相 주005)
복전상(福田相):
복전의 모양. ‘복전’은 복과 덕을 낳는 밭으로 부처님이나 법(法) 또는 교단을 가리킴. 이를 존중하고 공양하는 것이 행복을 낳는다는 뜻으로 밭에 비유됨.
뵈노다 주006)
뵈노다:
보입니다. 보-[見]+이(사동접미사)+노〔(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고 여러늘 주007)
여러늘:
열거늘. 여니. 열-[開]+어늘(연결어미).
福田相 보고 즉재 金剛三昧定 주008)
금강삼매정(金剛三昧定):
3승(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의 수행자가 마지막으로 일체의 번뇌를 끊고 각각 구경(究竟)의 과(果)를 얻는 삼매의 경지.
드로니 주009)
드로니:
드니. 들-[入]+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히  뮈더니樹神이  닐오 太子ㅣ 이제  주010)
:
오히려. 아직도. [猶](평-거, 부사).
俗人 주011)
속인(俗人):
세속의 평범한 사람.
이샤 이 法衣 주012)
법의(法衣):
스님들의 입는 옷으로 교단에서 제정한 규격에 맞는 옷.
닙디 주013)
닙디:
입지. 닙-[被]+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몯시리니 頂上애 두샤 주014)
두샤:
두시어. 두-[置]+시+아/어.
恭敬 供養시면 佛道 求샤매 魔ㅣ 주015)
마(魔)ㅣ:
마귀가. 魔+이/ㅣ(주격조사). ‘마’는 마라(魔羅, mala)의 준말. 장애자, 살자(殺者), 악자(惡子)라 번역. 몸과 마음을 요란케 하여 설법(說法)을 방해하고 좋은 법을 깨뜨려 수도에 장애가 됨을 이름.
어즈리디 주016)
어즈리디:
어지럽히지. 어즐-[亂]+이(피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리다 내 樹神

월인석보 25:37ㄱ

마 주017)
마:
말을. 말[言]+//ㄹ(목적격조사).
브터 주018)
브터:
붙어. 의지해. 븥-[依, 附]+아/어.
즉재 주019)
즉재:
즉시. ‘즉자히’로도 나타남.
바기예 주020)
바기예:
정수리에. 바기[頂]+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이유니 주021)
이유니:
이니. 이-[戴]+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처  제 大地 震動야 주022)
내:
나의. 나+/의/ㅣ(관형격조사). 내(평성)은 ‘나’에 관형격조사가 결합한 형태이고 내(거성)은 ‘나’에 주격조사가 결합한 형태임.
모 몯 이긔어늘 주023)
이긔어늘:
이기거늘. 이긔-[勝]+거늘/어늘.
주024)
뎌:
저. ‘뎌’는 대명사와 관형사 모두 사용되는데 두 형태가 거성으로 동일.
地神 堅窂 주025)
견로(堅窂):
단단하고 견고함. 여기서는 이런 성질을 가진 땅을 다스리는 신의 이름으로 쓰임.
ㅣ 金剛ㅅ  從야셔 주026)
종(從)야셔:
따라서. 從-+아/어+셔.
金剛山 주027)
금강산(金剛山):
철위산(鐵圍山). Cakra-vāḍa. 불교의 우주관에 있어서 세계의 외곽에 높이 솟아 있는 산. 이 산은 금강석처럼 부서지지 않는다고 금강산에 비유함.
소사내야 주028)
소사내야:
솟아내어. 솟-[踊]+아/어+내-[出]+아/어.
뇨 주029)
뇨:
다님을. 니-[行]+옴/움(명사형어미)+//ㄹ(목적격조사).
조차 곧마다 주030)
곧마다:
곳마다. 곧[處]+마다(보조사).
나 바다 주031)
바다:
뒤따라 밟고 나서야. 받-[承]+아/어+(보조사).
始作야 便安히 住호라 주032)
주(住)호라:
머물기 바라노라. 住-+고라/오라(명령형).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我於于時欲受大衣 地便大動 樹神告言 今爲汝開衣示福田相 樹神既開我見福田相 卽入金剛三昧定 地又大動 樹神又言 汝今猶是俗人 未合被此法衣 當置于頂上恭敬供養 令汝求佛道不為魔嬈 我依樹神 卽以頭頂戴之 我初戴時大地震動 不勝我身 彼地神堅牢從金剛際踊出金剛山 隨我所行處處承我 始得安住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4]
내가 그때 대의를 받으려 할 때 땅이 크게 흔들리더니 수신이 이르기를 ‘이제 태자를 위하여 옷을 열어 복전상을 보이겠습니다.’ 하고, 열거늘 내가 복전상을 보고 즉시 금강삼매정에 드니 땅이 또 크게 흔들리더니, 수신이 또 이르기를 ‘태자가 지금은 아직 속인이시어 이 법의를 입지 못하실 것이니 정수리 위에 두시고 공경 공양하시면 불도 구하심에 마귀가 어지럽히지 못할 것입니다.’ 내가 수신의 말에 따라 즉시 정수리에 〈법의를〉 이니, 처음 일 때 대지가 진동하여 나의 몸을 못 이기거늘, 저 지신 견로가 금강의 끝을 따라서 금강산을 솟게 하여 내가 다니는 것을 좇아 곳마다 나를 따라야, 비로소 편안히 머물렀노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바도려:받으려. 받-[受]+오려(의도의 연결어미).
주002)
:매우. 가장. 중세어의 ‘’의 의미에는 정도성을 나타내는 ‘매우’와 최상급을 나타내는 ‘가장’이 있는데, 대부분 ‘매우’의 뜻으로 사용되고 최상급의 의미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주003)
뮈더니:움직이더니. 진동하더니. 뮈-[動]+더+니.
주004)
여러:열어. 열-[開]+아/어.
주005)
복전상(福田相):복전의 모양. ‘복전’은 복과 덕을 낳는 밭으로 부처님이나 법(法) 또는 교단을 가리킴. 이를 존중하고 공양하는 것이 행복을 낳는다는 뜻으로 밭에 비유됨.
주006)
뵈노다:보입니다. 보-[見]+이(사동접미사)+노〔(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07)
여러늘:열거늘. 여니. 열-[開]+어늘(연결어미).
주008)
금강삼매정(金剛三昧定):3승(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의 수행자가 마지막으로 일체의 번뇌를 끊고 각각 구경(究竟)의 과(果)를 얻는 삼매의 경지.
주009)
드로니:드니. 들-[入]+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10)
:오히려. 아직도. [猶](평-거, 부사).
주011)
속인(俗人):세속의 평범한 사람.
주012)
법의(法衣):스님들의 입는 옷으로 교단에서 제정한 규격에 맞는 옷.
주013)
닙디:입지. 닙-[被]+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14)
두샤:두시어. 두-[置]+시+아/어.
주015)
마(魔)ㅣ:마귀가. 魔+이/ㅣ(주격조사). ‘마’는 마라(魔羅, mala)의 준말. 장애자, 살자(殺者), 악자(惡子)라 번역. 몸과 마음을 요란케 하여 설법(說法)을 방해하고 좋은 법을 깨뜨려 수도에 장애가 됨을 이름.
주016)
어즈리디:어지럽히지. 어즐-[亂]+이(피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7)
마:말을. 말[言]+//ㄹ(목적격조사).
주018)
브터:붙어. 의지해. 븥-[依, 附]+아/어.
주019)
즉재:즉시. ‘즉자히’로도 나타남.
주020)
바기예:정수리에. 바기[頂]+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1)
이유니:이니. 이-[戴]+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22)
내:나의. 나+/의/ㅣ(관형격조사). 내(평성)은 ‘나’에 관형격조사가 결합한 형태이고 내(거성)은 ‘나’에 주격조사가 결합한 형태임.
주023)
이긔어늘:이기거늘. 이긔-[勝]+거늘/어늘.
주024)
뎌:저. ‘뎌’는 대명사와 관형사 모두 사용되는데 두 형태가 거성으로 동일.
주025)
견로(堅窂):단단하고 견고함. 여기서는 이런 성질을 가진 땅을 다스리는 신의 이름으로 쓰임.
주026)
종(從)야셔:따라서. 從-+아/어+셔.
주027)
금강산(金剛山):철위산(鐵圍山). Cakra-vāḍa. 불교의 우주관에 있어서 세계의 외곽에 높이 솟아 있는 산. 이 산은 금강석처럼 부서지지 않는다고 금강산에 비유함.
주028)
소사내야:솟아내어. 솟-[踊]+아/어+내-[出]+아/어.
주029)
뇨:다님을. 니-[行]+옴/움(명사형어미)+//ㄹ(목적격조사).
주030)
곧마다:곳마다. 곧[處]+마다(보조사).
주031)
바다:뒤따라 밟고 나서야. 받-[承]+아/어+(보조사).
주032)
주(住)호라:머물기 바라노라. 住-+고라/오라(명령형).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