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0-1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0-1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0-1]
◯  부톄文殊師利려 니샤 네 神力으로 祇桓 中堂 西寶樓 주001)
서보루(西寶樓):
누각 이름.
上애 가 내 珠玉函 주002)
주옥함(珠玉函):
구슬과 옥을 넣어 둔 함.
가져大衆을 주003)
대중(大衆)을:
중생을. 중생에게. 大衆+을(목적격 조사).
뵈라 주004)
뵈라:
보이라. 뵈-[示]+라(명령법 종결어미).
내 처 城 나마 주005)
나마:
넘어. 남-[越]+아/어.
父王宮 주006)
부왕궁(父王宮):
부왕이 계시는 궁전.
여희여 주007)
여희여:
떠나. 이별하여. 여희-[離]+아/어. 연결어미 ‘-어’가 어간 말음 ‘ㅣ〔y〕’에 동화되어 ‘여’로 나타남.
四十里예

월인석보 25:41ㄴ

주008)
뎌:
저. 뎌[彼](거성). 이는 동음어로 대명사와 관형에 두루 쓰였음. 여기서는 관형사로 쓰임.
叢林 주009)
총림(叢林):
스님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 잡목이 우거진 숲.
다라 주010)
다라:
다다라. 다-[到](ㄷ불규칙)+아/어.
모미 져기 주011)
져기:
적이. 좀. 져기[微](상-거, 부사).
브거늘 주012)
브거늘:
가쁘거늘. 피곤하거늘. /브-[疲]+거늘.
쉬다니 주013)
쉬다니:
쉬더니. 쉬-[休]+더/다+니.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더-’가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면 ‘-다-’로 교체됨.
樹神이 모 現야 내게 닐오 太子ㅣ 이제 道理 닷시니 주014)
닷시니:
닦으시니. -[修]+(/으)시++니.
一定야 주015)
일정(一定)야:
일정하여. 틀림없이. 一定-+야.
金色身 주016)
금색신(金色身):
금빛깔의 몸, 곧 불신(佛身)을 이름.
 得야 三界 주017)
삼계(三界):
trayo-dhātavaḥ. 탐욕 특히 식욕(食欲), 음욕(淫欲), 수면욕(睡眠欲)이 치성한 세계인 욕계(欲界)와, 욕계와 같은 탐욕은 없으나, 미묘한 형체가 있는 세계인 색계(色界), 그리고 색계와 같은 미묘한 형체도 없고 순 정신적인 세계인 무색계(無色界)를 이르는 말로, 중생이 사는 세계를 뜻하기도 함.
大師ㅣ 외시리니 주018)
외시리니:
되실 것이니. 외-[爲]+시+리+니. 이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실사(實辭)로는 ‘軍馬ㅣ 니다’〈용가 98〉가 유일하며, 접미사 ‘- 다(평-평-거)’는 『석보상절』, 『월인석보』에 씌었음.
迦葉佛 涅槃 제 내거긔 주019)
내거긔:
나에게. 나+/의/ㅣ(관형격조사)#거긔(의존명사).
珠函과 주020)
깁:
깁. 비단. ‘깁爲繒(상성)’〈훈해 합자해〉.
僧伽梨 付囑샤 太子 付囑라 시니다 주021)
시니다:
하십니다. -+시+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 又文殊師利 汝以神力往祇桓中堂西寶樓上 取我珠玉函將示大衆 我初踰城離父王宮 四十里 到彼叢林 身小疲怠 權時止息 時彼樹神現身告我言 汝今修道定得金色身 爲三界大師 迦葉佛涅槃時 付囑我珠函并絹僧伽梨 令我轉付囑汝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0-1]
◯ 또 부처님문수사리에게 이르시되 “네가 신통한 능력으로 기환중당서보루 위에 가서 나의 주옥함을 가지고 대중에게 보여라. 내가 처음 성을 넘어 부왕이 계신 궁을 떠나 40리에 저 총림에 다다라 몸이 적이 피곤해 쉬었더니 수신이 모습을 나타내어 나에게 이르기를 “태자가 이제 도리를 닦으시니 틀림없이 금색신을 얻어 모든 세상의 큰 스승이 되실 것이니, 가섭불이 열반하실 때 나에게 주옥과 비단 승가리를 부촉하시어 태자께 부촉하라 하십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서보루(西寶樓):누각 이름.
주002)
주옥함(珠玉函):구슬과 옥을 넣어 둔 함.
주003)
대중(大衆)을:중생을. 중생에게. 大衆+을(목적격 조사).
주004)
뵈라:보이라. 뵈-[示]+라(명령법 종결어미).
주005)
나마:넘어. 남-[越]+아/어.
주006)
부왕궁(父王宮):부왕이 계시는 궁전.
주007)
여희여:떠나. 이별하여. 여희-[離]+아/어. 연결어미 ‘-어’가 어간 말음 ‘ㅣ〔y〕’에 동화되어 ‘여’로 나타남.
주008)
뎌:저. 뎌[彼](거성). 이는 동음어로 대명사와 관형에 두루 쓰였음. 여기서는 관형사로 쓰임.
주009)
총림(叢林):스님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 잡목이 우거진 숲.
주010)
다라:다다라. 다-[到](ㄷ불규칙)+아/어.
주011)
져기:적이. 좀. 져기[微](상-거, 부사).
주012)
브거늘:가쁘거늘. 피곤하거늘. /브-[疲]+거늘.
주013)
쉬다니:쉬더니. 쉬-[休]+더/다+니. 과거·회상의 선어말어미 ‘-더-’가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면 ‘-다-’로 교체됨.
주014)
닷시니:닦으시니. -[修]+(/으)시++니.
주015)
일정(一定)야:일정하여. 틀림없이. 一定-+야.
주016)
금색신(金色身):금빛깔의 몸, 곧 불신(佛身)을 이름.
주017)
삼계(三界):trayo-dhātavaḥ. 탐욕 특히 식욕(食欲), 음욕(淫欲), 수면욕(睡眠欲)이 치성한 세계인 욕계(欲界)와, 욕계와 같은 탐욕은 없으나, 미묘한 형체가 있는 세계인 색계(色界), 그리고 색계와 같은 미묘한 형체도 없고 순 정신적인 세계인 무색계(無色界)를 이르는 말로, 중생이 사는 세계를 뜻하기도 함.
주018)
외시리니:되실 것이니. 외-[爲]+시+리+니. 이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 ‘외-’가 됨. 실사(實辭)로는 ‘軍馬ㅣ 니다’〈용가 98〉가 유일하며, 접미사 ‘- 다(평-평-거)’는 『석보상절』, 『월인석보』에 씌었음.
주019)
내거긔:나에게. 나+/의/ㅣ(관형격조사)#거긔(의존명사).
주020)
깁:깁. 비단. ‘깁爲繒(상성)’〈훈해 합자해〉.
주021)
시니다:하십니다. -+시+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