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8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8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8]
十方 諸佛 주001)
시방제불(十方諸佛):
온 세상의 모든 부처님.
이 즉재 各各 僧伽梨 바샤 주002)
바샤:
벗으시어. 밧-[脫]+시+아/어. ‘밧다’는 구체동사로 ‘탈(脫)’의 뜻으로. ‘벗다’는 추상 동사로 ‘면(免)’의 뜻으로 구별되었음.
牟尼佛 주003)
모니불(牟尼佛):
석가모니불의 줄임.
 施야시 世尊바다시 주004)
바다시:
받으시거늘. 받으시니. 받-[受]+거/어+시+.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함.
魔王부텨  내 黃金 珠寶로 옷 다 주005)
다:
담을. 담-[盛]+/(관형사형 연결어미).
塔 라 주006)
라:
만들어. -[作]+아/어.
받고져 노니 願 주007)
:
한. 같은. [一](평성, 관형사).
어엿비 주008)
어엿비:
1)불쌍히. 측은히. 2)어여쁘게. 어엿브-[憫]+이(부사 파생접미사).
너기샤 드르쇼셔 주009)
드르쇼셔:
들어주십시오. 듣-[聽](ㄷ불규칙)+(/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世尊이 許야시 곧 神力으로 예 주010)
예:
사이에. [間](평-거, 명사)+/의/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이 ‘이(평-거, 명사)’와 동음어이나, 본시는 ‘체언+ㅅ관형격조사)’의 ‘ㅅ’ 다음에 오는 ‘’에 연철되어 굳어졌다고 보임.
주011)
한:
많은[多]. 하-[多](거성, 형용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塔이 다 일어늘 世尊걔 주012)
걔:
자기가. 갸[自家]+이/ㅣ(주격조사). ‘자기(自己)’의 높임말, 혹은 재귀대명사로 보기도 함.
大衣 자샤 주013)
자샤:
잡으시어. 잡-[執]+(/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낫나치 주014)
낫나치:
낱낱이. 낫나치(평-상, 부사).
寶塔 中에 녀허시 주015)
녀허시:
넣으시거늘. 녛-[內]+거/어+시+.
魔衆이 부텨  이 塔 엇던 주016)
엇던:
어떤. 어떠한. 엇던[何](상-평, 관형사). 이의 방점은 고어사전 예문에 두 가지로 나타난다. 곧, 엇던(상-평)〈석상 6:28, 남명 상:2〉와 엇던(상-거)〈능엄 6:99, 법화 2:28〉인데, 『이조어사전』은 ‘상-평’으로, 『교학고어사전』은 ‘상-거’로 표제어에 올렸고, 『우리말큰사전』〈옛말과 이두〉에는 ‘엇던’을 표제어로 올리지 않았음.
사게 주017)
사게:
사람에게. 사+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付囑시며 엇던해 주018)
해:
땅에. 곳에. [地](ㅎ말음체언)+에/애/예(처소의 부사격조사).
便安히 두시리고 주019)
두시리고:
두시겠습니까? 두-[置]+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화자를 높이는 기능을 하는 선어말어미는 종결어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나타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十方諸佛聞是語已 卽各脫僧伽梨以施牟尼佛 世尊受已魔王又白言 伏願哀愍聽 我欲施黃金珠寶用作盛衣塔 願見聽許 世尊許已 便以神力於一念頃衆塔皆成 成已 世尊自將大衣一一內寶塔中 魔衆白佛 不知此塔付囑何人安置何處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8]
시방 제불이 즉시 각각 승가리를 벗으시고 석가모니불께 보시하니 세존이 받으시니, 마왕부처께 사뢰기를 “내가 황금과 진주와 보석으로 옷을 담을 탑을 만들어 바치고자 하니, 원컨대 불쌍히 여기시어 〈청을〉 들어주십시오.” 세존이 허락하시니, 곧 신력으로 한 생각 사이에 많은 탑이 모두 만들어지니 세존이 본인의 대의를 잡으시어 낱낱이 보탑 안에 넣으시니 마의 대중이 부처께 사뢰기를 “이 탑을 어떤 사람에게 부촉하시며 어떤 땅에 편안히 두시겠습니까?”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시방제불(十方諸佛):온 세상의 모든 부처님.
주002)
바샤:벗으시어. 밧-[脫]+시+아/어. ‘밧다’는 구체동사로 ‘탈(脫)’의 뜻으로. ‘벗다’는 추상 동사로 ‘면(免)’의 뜻으로 구별되었음.
주003)
모니불(牟尼佛):석가모니불의 줄임.
주004)
바다시:받으시거늘. 받으시니. 받-[受]+거/어+시+.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함.
주005)
다:담을. 담-[盛]+/(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6)
라:만들어. -[作]+아/어.
주007)
:한. 같은. [一](평성, 관형사).
주008)
어엿비:1)불쌍히. 측은히. 2)어여쁘게. 어엿브-[憫]+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09)
드르쇼셔:들어주십시오. 듣-[聽](ㄷ불규칙)+(/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주010)
예:사이에. [間](평-거, 명사)+/의/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이 ‘이(평-거, 명사)’와 동음어이나, 본시는 ‘체언+ㅅ관형격조사)’의 ‘ㅅ’ 다음에 오는 ‘’에 연철되어 굳어졌다고 보임.
주011)
한:많은[多]. 하-[多](거성, 형용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2)
걔:자기가. 갸[自家]+이/ㅣ(주격조사). ‘자기(自己)’의 높임말, 혹은 재귀대명사로 보기도 함.
주013)
자샤:잡으시어. 잡-[執]+(/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주014)
낫나치:낱낱이. 낫나치(평-상, 부사).
주015)
녀허시:넣으시거늘. 녛-[內]+거/어+시+.
주016)
엇던:어떤. 어떠한. 엇던[何](상-평, 관형사). 이의 방점은 고어사전 예문에 두 가지로 나타난다. 곧, 엇던(상-평)〈석상 6:28, 남명 상:2〉와 엇던(상-거)〈능엄 6:99, 법화 2:28〉인데, 『이조어사전』은 ‘상-평’으로, 『교학고어사전』은 ‘상-거’로 표제어에 올렸고, 『우리말큰사전』〈옛말과 이두〉에는 ‘엇던’을 표제어로 올리지 않았음.
주017)
사게:사람에게. 사+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8)
해:땅에. 곳에. [地](ㅎ말음체언)+에/애/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9)
두시리고:두시겠습니까? 두-[置]+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화자를 높이는 기능을 하는 선어말어미는 종결어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으로 나타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