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법장결집
  • 법장결집 4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장결집 4


[법장결집 4]
憍梵波提 疑心야 무로 싸호아 을 주001)
을:
중을. 스님을. [僧]. 당시의 ‘’은 비어로 쓰인 것이 아니었으나, ‘콰’〈석보 24:46ㄱ〉와 같이 평칭으로 쓰인 것도 있고, ‘님내’〈석상 24:46ㄴ〉와 같이 존칭 접미사가 쓰인 경우도 있음.
허로려 주002)
허로려:
헐려고. 무너뜨리려고. 헐-[破]+오/우+려(의도의 연결어미).
녀 주003)
녀:
하느냐? -++녀(니어)(라체의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 -뇨/니오’는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여기서는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이므로 ‘-녀/니아’가 사용됨.
佛日 주004)
불일(佛日):
부처님의 빛. 부처님.
滅度 주005)
멸도(滅度):
열반(涅槃, nirvāṇa)의 번역.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 다는 뜻임.
시녀 對答호 大師ㅣ 滅度시니다 주006)
시니다:
하셨습니다. -+(/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
우리 和上 주007)
화상(和上):
화상(和尙)과 같음. 수계(受戒)의 스승. 후대에는 고승(高僧)의 존칭으로 쓰임.
舍利弗이 이제 어듸 주008)
어듸:
어디. 어듸[何處](대명사).
겨시뇨 對答호 몬져 주009)
몬져:
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몬졔’〈석보 19:36〉로 쓰인 곳도 있음.
涅槃

월인석보 25:7ㄱ

시니다 憍梵波提 무로 目連 주010)
목련(目連):
Maudgalyāyana. 목건련(目犍連). 부처님 10대 제자 중 한 사람으로 신통(神通) 제1임.
阿難羅睺 주011)
라후(羅睺):
Rāhu. 라후라(羅睺羅). 석존의 아들. 석존이 성도한 뒤에 출가하여 밀행(密行) 제1이 됨.
주012)
-ㅣ:
-이/가. 주격조사의 이형태로 ‘-이/ㅣ/ø’가 있음. 그 분포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이’,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 모음으로 끝났으되 ‘ㅣ’나 ‘ㅣ’계 이중모음으로 끝난 경우는 그 형태가 드러나지 않아 ‘ø(zero 형태)’가 됨.
이제 므슷 주013)
므슷:
무슨. 므슷[何](평-거, 관형사).
시뇨 주014)
시뇨:
하시느냐? 하시는가? -+시+(현재시상 선어말어미)+뇨(니오)(라체 의문법 종결어미).
對答호 目連마 滅度시고 阿難시름야 주015)
시름야:
시름하여. 근심하여. 시름-[憂]++아/어~야.
우러 걔 주016)
걔:
당신이. 갸〔‘자기’의 높임말〕+이/ㅣ.
아디 주017)
아디:
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어간의 ‘ㄹ’은 ‘ㄷ,ㅈ’음 앞에서 탈락되었음.
몯시고 羅睺마 주018)
마:
이미. 벌써. 마[旣](평-거, 부사).
羅漢 得샤 외야 주019)
외야:
다시. 외야[更](평-평-거, 부사).
시름 업스시니다 주020)
업스시니다:
없으십니다. 없-[無]+(/으)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憍梵波提心疑 問曰 爲鬪諍破僧耶 佛日滅度耶 答曰 大師滅度 我和上舍利弗今在何所 答曰 先入涅槃 憍梵波提問曰 目連阿難羅睺今何所作 答曰 目連已滅度 阿難由有憂結 愁苦啼哭不能自喻 羅睺已得羅漢無復憂苦

[법장결집 4]
교범파제가 의심하여 묻되, “싸워서 중을 헐뜯으려 하느냐? 부처님이 멸도하셨느냐?” 대답하되, “대사께서 멸도하셨습니다.” “우리 화상 사리불이 어디 계시냐?” 대답하되, “먼저 열반하셨습니다.” 교범파제가 묻되, “목련, 아난, 라후라가 지금 무슨 일을 하시는가?” 대답하되, “목련은 이미 멸도하시고, 아난은 근심하여 울며 자기를 알지(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라후라는 이미 나한을 얻으시어 다시 근심이 없으십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을:중을. 스님을. [僧]. 당시의 ‘’은 비어로 쓰인 것이 아니었으나, ‘콰’〈석보 24:46ㄱ〉와 같이 평칭으로 쓰인 것도 있고, ‘님내’〈석상 24:46ㄴ〉와 같이 존칭 접미사가 쓰인 경우도 있음.
주002)
허로려:헐려고. 무너뜨리려고. 헐-[破]+오/우+려(의도의 연결어미).
주003)
녀:하느냐? -++녀(니어)(라체의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 -뇨/니오’는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여기서는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이므로 ‘-녀/니아’가 사용됨.
주004)
불일(佛日):부처님의 빛. 부처님.
주005)
멸도(滅度):열반(涅槃, nirvāṇa)의 번역.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 다는 뜻임.
주006)
시니다:하셨습니다. -+(/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
주007)
화상(和上):화상(和尙)과 같음. 수계(受戒)의 스승. 후대에는 고승(高僧)의 존칭으로 쓰임.
주008)
어듸:어디. 어듸[何處](대명사).
주009)
몬져:먼저. 몬져[先](평-평, 명사/부사). ‘몬졔’〈석보 19:36〉로 쓰인 곳도 있음.
주010)
목련(目連):Maudgalyāyana. 목건련(目犍連). 부처님 10대 제자 중 한 사람으로 신통(神通) 제1임.
주011)
라후(羅睺):Rāhu. 라후라(羅睺羅). 석존의 아들. 석존이 성도한 뒤에 출가하여 밀행(密行) 제1이 됨.
주012)
-ㅣ:-이/가. 주격조사의 이형태로 ‘-이/ㅣ/ø’가 있음. 그 분포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이’,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 모음으로 끝났으되 ‘ㅣ’나 ‘ㅣ’계 이중모음으로 끝난 경우는 그 형태가 드러나지 않아 ‘ø(zero 형태)’가 됨.
주013)
므슷:무슨. 므슷[何](평-거, 관형사).
주014)
시뇨:하시느냐? 하시는가? -+시+(현재시상 선어말어미)+뇨(니오)(라체 의문법 종결어미).
주015)
시름야:시름하여. 근심하여. 시름-[憂]++아/어~야.
주016)
걔:당신이. 갸〔‘자기’의 높임말〕+이/ㅣ.
주017)
아디: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어간의 ‘ㄹ’은 ‘ㄷ,ㅈ’음 앞에서 탈락되었음.
주018)
마:이미. 벌써. 마[旣](평-거, 부사).
주019)
외야:다시. 외야[更](평-평-거, 부사).
주020)
업스시니다:없으십니다. 없-[無]+(/으)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