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1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1]
◯ 二祖 阿難

월인석보 25:57ㄴ

尊者 주001)
존자(尊者):
존자께. 尊者+-(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阿闍世王 주002)
아사세왕(阿闍世王):
Ajātaśsatru. 마갈타국 빈바사라왕의 태자로 제바달다의 꾐에 빠져 부왕을 죽이고 어머니를 가두는 모진 일을 했으나, 후에 세존께 귀의하여 교단을 지키는 외호자(外護者)가 되어 첫 번째 불경을 결집하는 큰 사업을 완성하고 불멸(佛滅) 후 24년에 죽음.
 주003)
: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21ㄱ〉가.
如來迦葉과 二師ㅣ 마 주004)
마:
이미. 벌써. 장차. 마(평-거, 부사). 이는 ‘이미[旣]와 장차[將次]’로 상대적인 뜻으로 쓰였으나, 현대어에서는 후자의 뜻으로는 쓰이지 못함.
주005)
다:
다. 모두. 다[皆](상성, 부사).
涅槃커시 주006)
열반(涅槃)커시:
열반하시거늘. 열반하시니. 涅槃-+거+시+. 연결어미 ‘어/거’이 주체높임의 선어말어미와 ‘-시-’와 결합하면 ‘시어’이 아니라 ‘어시’이 됨.
緣故 주007)
연고(緣故):
까닭. 사유(事由).
주008)
하:
많아. 하-[多](형용사)+아/어(연결어미).
보니 주009)
보니:
뵈니. 보-[見]+(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尊者ㅣ 涅槃 제 願 주010)
원(願):
원컨대. 願(거-평-거, 부사,). 본래는 ‘願-(동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으)ㄴ//는(대조의 보조사)’와 같은 구성으로 ‘원하는 바는’로 쓰이다가 부사로 굳어진 것임.
니쇼셔 주011)
니쇼셔:
말씀하십시오. 니-[言, 說]+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後에 阿難 尊者ㅣ 王宮에 니거늘 門 자븐 사미 주012)
문(門) 자븐 사미:
문을 잡은 사람이. 문지기가. 門+잡-[持]+ㄴ(관형사형 연결어미)#사[人]+이/ㅣ(주격조사).
닐오

월인석보 25:58ㄱ

 王이 자실 주013)
자실:
주무시므로. 주무시기에. 자-[寢]+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엳리로소다 주014)
엳리로소다:
여쭙겠습니다. 엳-[奏]+(/으)리+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 감동법 선어말어미 ‘돗’이 선어말어미 ‘-리-’ 뒤에서 ‘-롯-’으로 교체되고, ‘-(/으)-’와 연결되면 ‘-로-’가 되어야 하나 ‘로’에 원순동화를 일으켜 ‘-로-’가 ‘-로소-’로 나타남.
王이 메 주015)
메:
꿈에. [夢]+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七寶盖 주016)
칠보개(七寶盖):
7보로 꾸민 우산. 7보는 금, 은, 유리(琉璃:검푸른 보옥), 파려(玻瓈:수정), 자거(硨磲:백산호), 적주(赤珠: 적진주), 마노(瑪瑙:짙은 녹색의 보옥)의 일곱 가지. 혹 ‘파려’ 대신에 ‘매괴(玫瑰:붉은 빛깔의 옥)’을 넣기도 함.
예 千萬億衆이 圍繞 주017)
위요(圍繞):
여기서는 ‘삥 둘러 쌈’으로 한자의 본뜻대로 쓰인 것이나, 불교용어로는 ‘오른 편 어깨를 향하여 돌아서 경례함’의 뜻으로도 쓰임.
야 울워렛거 주018)
울워렛거:
우러르니. 울월-[仰]+아/어#잇/이시+거.
비 주019)
비:
비바람.
주020)
텨:
쳐. 치-[打]+아/어(연결어미).
이 주021)
이:
자루가. [柄]+이/ㅣ(주격조사). ‘~’의 비자동적 교체. 명사의 말음절이 ‘/르’인 것은 두 유형의 비자동적 교체를 보여줌. 독립형 ‘’의 곡용은 주격 ‘이’, 목적격 ‘’, 관형격 ‘’ 등으로 교체됨. 이런 교체를 보이는 어휘에는 ‘노[獐], [津], 시르[甑], 쟈[袋], [柄]’ 등이 있음.
것거디여 주022)
것거디여:
꺾어지어. -[折]+어(보조적 연결어미)+디-(보조동사)+아/어(연결어미).
보 瓔珞 주023)
영락(瓔珞):
keyūra. 구슬을 꿰어 몸에 다는 장신구. 불상이나 불당(佛堂)을 꾸밀 제 꽃 모양으로 만든 금붙이와 구슬을 엮어 늘어뜨린 것임.
이 해 다 러디거늘 주024)
러디거늘:
떨어지거늘. 러디-[落]+거늘.
놀라 니 주025)
니:
깨니. -[悟](ㄷ불규칙)+(/으)니.
門 자 사미  주026)
:
사뢰니. -[白](ㅂ불규칙)+거/아. → 〈21ㄱ〉가.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일부 미상) ◯ 第二祖阿難【王舍城人也 姓剎利帝 父斛飯王 實佛之從弟也 梵語阿難陀 此云慶喜 亦云歡喜如來成道夜生因爲之名 多聞博達智慧無礙 世尊以為總持第一 嘗所讚歎 加以宿世有大功德 受持法藏如水傳器 佛乃命為侍者】阿闍世王白言 仁者 如來迦葉尊勝二師皆已涅槃 而我多故悉不能覩 仁者 般涅槃時願垂告別阿難許之 後自念言 我身危脆猶如聚沫 況復衰老豈堪長久 又念 阿闍世王與吾有約】 乃詣王宮【告之曰 吾欲入涅槃來辭耳】 門者曰 王寢不可以聞阿難曰 俟王覺時當為我說】阿闍世王夢中見一寶蓋 七寶嚴飾千萬億眾圍繞瞻仰 俄而風雨暴至吹折其柄 珍寶瓔珞悉墜於地 心甚驚異 既寤 門者具白上事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1]
◯ 2조 아난 존자아사세왕이 사뢰기를 “여래가섭과 두 대사가 이미 모두 열반하시거늘 내가 연고가 많아 다 뵙지 못하니, 존자가 열반하실 때 원컨대 말씀해 주십시오. 후에 아난 존자가 왕궁에 갔는데, 문지기가 이르기를 “왕이 주무시므로 여쭙지 못하겠습니다.” 왕이 꿈에 칠보개에 천만억 대중들이 둘러싸고 우러르고 있는데, 비바람이 쳐 자루가 꺾어져 보배와 영락이 땅에 다 떨어져 놀라서 깨니 문지기가 〈아난 존자가 왔던 일을〉 말씀드렸는데,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존자(尊者):존자께. 尊者+-(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주002)
아사세왕(阿闍世王):Ajātaśsatru. 마갈타국 빈바사라왕의 태자로 제바달다의 꾐에 빠져 부왕을 죽이고 어머니를 가두는 모진 일을 했으나, 후에 세존께 귀의하여 교단을 지키는 외호자(外護者)가 되어 첫 번째 불경을 결집하는 큰 사업을 완성하고 불멸(佛滅) 후 24년에 죽음.
주003)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21ㄱ〉가.
주004)
마:이미. 벌써. 장차. 마(평-거, 부사). 이는 ‘이미[旣]와 장차[將次]’로 상대적인 뜻으로 쓰였으나, 현대어에서는 후자의 뜻으로는 쓰이지 못함.
주005)
다:다. 모두. 다[皆](상성, 부사).
주006)
열반(涅槃)커시:열반하시거늘. 열반하시니. 涅槃-+거+시+. 연결어미 ‘어/거’이 주체높임의 선어말어미와 ‘-시-’와 결합하면 ‘시어’이 아니라 ‘어시’이 됨.
주007)
연고(緣故):까닭. 사유(事由).
주008)
하:많아. 하-[多](형용사)+아/어(연결어미).
주009)
보니:뵈니. 보-[見]+(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10)
원(願):원컨대. 願(거-평-거, 부사,). 본래는 ‘願-(동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으)ㄴ//는(대조의 보조사)’와 같은 구성으로 ‘원하는 바는’로 쓰이다가 부사로 굳어진 것임.
주011)
니쇼셔:말씀하십시오. 니-[言, 說]+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주012)
문(門) 자븐 사미:문을 잡은 사람이. 문지기가. 門+잡-[持]+ㄴ(관형사형 연결어미)#사[人]+이/ㅣ(주격조사).
주013)
자실:주무시므로. 주무시기에. 자-[寢]+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주014)
엳리로소다:여쭙겠습니다. 엳-[奏]+(/으)리+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 감동법 선어말어미 ‘돗’이 선어말어미 ‘-리-’ 뒤에서 ‘-롯-’으로 교체되고, ‘-(/으)-’와 연결되면 ‘-로-’가 되어야 하나 ‘로’에 원순동화를 일으켜 ‘-로-’가 ‘-로소-’로 나타남.
주015)
메:꿈에. [夢]+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6)
칠보개(七寶盖):7보로 꾸민 우산. 7보는 금, 은, 유리(琉璃:검푸른 보옥), 파려(玻瓈:수정), 자거(硨磲:백산호), 적주(赤珠: 적진주), 마노(瑪瑙:짙은 녹색의 보옥)의 일곱 가지. 혹 ‘파려’ 대신에 ‘매괴(玫瑰:붉은 빛깔의 옥)’을 넣기도 함.
주017)
위요(圍繞):여기서는 ‘삥 둘러 쌈’으로 한자의 본뜻대로 쓰인 것이나, 불교용어로는 ‘오른 편 어깨를 향하여 돌아서 경례함’의 뜻으로도 쓰임.
주018)
울워렛거:우러르니. 울월-[仰]+아/어#잇/이시+거.
주019)
비:비바람.
주020)
텨:쳐. 치-[打]+아/어(연결어미).
주021)
이:자루가. [柄]+이/ㅣ(주격조사). ‘~’의 비자동적 교체. 명사의 말음절이 ‘/르’인 것은 두 유형의 비자동적 교체를 보여줌. 독립형 ‘’의 곡용은 주격 ‘이’, 목적격 ‘’, 관형격 ‘’ 등으로 교체됨. 이런 교체를 보이는 어휘에는 ‘노[獐], [津], 시르[甑], 쟈[袋], [柄]’ 등이 있음.
주022)
것거디여:꺾어지어. -[折]+어(보조적 연결어미)+디-(보조동사)+아/어(연결어미).
주023)
영락(瓔珞):keyūra. 구슬을 꿰어 몸에 다는 장신구. 불상이나 불당(佛堂)을 꾸밀 제 꽃 모양으로 만든 금붙이와 구슬을 엮어 늘어뜨린 것임.
주024)
러디거늘:떨어지거늘. 러디-[落]+거늘.
주025)
니:깨니. -[悟](ㄷ불규칙)+(/으)니.
주026)
:사뢰니. -[白](ㅂ불규칙)+거/아. → 〈21ㄱ〉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