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0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0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0]
◯  如來 成道 後 第二十一 年에 부톄大目連려 니샤 네 祇桓戒壇 주001)
계단(戒壇):
계율(戒律)을 전수(傳授)하는 곳.
北에 가 주002)
붑:
북. 붚[鼓](거성). ‘붑’은 ‘붚’의 8종성표기임.
十方僧 주003)
시방승(十方僧):
시방에서 온 스님들.

월인석보 25:49ㄴ

주004)
보현(普賢):
보현보살(普賢菩薩). Samantabhadra. 문수보살(文殊菩薩)이 석가모니불 왼편에서 부처님의 지덕(智德), 체덕(體德)을 맡음에 대하여, 보현보살은 오른 편에서 이덕(理德), 정덕(定德), 행덕(行德)을 맡았음.
觀音菩薩니 주005)
니:
같은 이를. 갇-[如]+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 조사).
브르며 주006)
내:
내가. 나[我]+이/ㅣ(주격조사) → 〈8ㄴ〉네.
分身 百億 釋迦佛조쳐 주007)
조쳐:
겸하여. 아울러. 조치-[兼]+아/어(연결어미).
뫼호아 주008)
뫼호아:
모아. 뫼호-[集]+아/어(연결어미).
各各 樓觀 주009)
누관(樓觀):
전망 좋고 높은 전각.
고 주010)
고:
타고. -[乘]+고(연결어미).
戒壇所 주011)
계단소(戒壇所):
계단이 있는 곳.
오게 주012)
오게:
오게. 오-[來]+게(보조적 연결어미).
라 야시 니샨 주013)
니샨:
이르신. 니-[云]+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오/우-’는 관형사절에 나타나는 것으로 의도법의 ‘-오/우-’와는 다른 것임. 선어말어미 ‘-시-’와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하면 ‘-쇼/슈-’가 아니라 ‘-샤/셔’로 나타남.
로 주014)
로:
모양으로. 모습대로. 양[樣]+(/으)로(도구의 부사격조사).
뫼화 주015)
뫼화:
모이니. 모으거늘. 뫼호-[會]+아/어(선어말어미)+(연결어미).
부톄普賢菩薩려 니샤 네 獼猴池 주016)
미후지(獼猴池):
비사라국 암라원 곁에 있는 인도의 5정사(精舍)의 하나.
예 가 내 녜 주017)
녜:
늘. 항상. 녜[常](평-거, 부사), 녜[常例](평-거, 명사)로 같이 씌었음.
두루 주018)
두루:
두루. 두루[周](평-평, 부사). ‘두로, 두’형도 쓰임.
니 주019)
니:
다니던. -[走]+니-[行]+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
해 헌 僧伽梨 衣角 주020)
의각(衣角):
옷의 모서리.
죠고맛 주021)
죠고맛:
조그마한. (상-평-거, 관형사).
珠塔이 잇니 가져오라 普賢이 가져 祇桓애 오신대 世尊이 그 塔 바샤 주022)
바샤:
받으시어. 받-[受]+(/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즉재 주023)
즉재:
즉시. 곧. 즉재[卽]/즉자히. 이 어형이 같은 시기에 씌었는데, 전자는 후자에서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되어 2음절로 준 것으로 봄.
大衆려 니샤 내 처 주024)
처:
처음. 처[初](거-평, 명사, 부사). 품사나 방점이 같이 씌었음.
나 주025)
나:
넘을. 남-[越]+(관형사형 연결어미).
제 城樓 上애 가니 주026)
가니:
가니. 가-[行](거성)+오/우+니. 여기 선어말어미 ‘-우/우-’는 드러나지 않고 어간 ‘·가-’가 ‘:가-’와 같이 방점이 상성으로 변동됨.
城神이 나 讚歎야 닐오 나

월인석보 25:50ㄱ

이 城神이로니 이제 十三劫을 디내얫노니 주027)
디내얫노니:
지냈는데. 디내-[經]+아/어(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연결어미).
過去 諸佛을 보니 주028)
보니:
뵈니. 보-[見]+//(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다 城 나마 주029)
나마:
넘어. 남-[越]+아/어(연결어미).
道理 호샤 恩愛網 주030)
은애망(恩愛網):
부모 자식 사이나, 부부 사이의 애정으로 얽힌 관계를 그물에 비유함.
야리시며 주031)
야리시며:
헐어버리시며. 부숴버리다. 야리-[破]+시+며.
煩惱 도 주032)
도:
도적을. 도[賊]+(목적격조사).
주기샤 주033)
주기샤:
죽이셔. 죽이-[殺]+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無上道 주034)
무상도(無上道):
위가 없는 보리(菩提). 보리는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의 지혜.
일우샤 주035)
일우샤:
이루셔. 일우-[成]+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一切 度脫 주036)
도탈(度脫):
해탈(解脫). 생사의 고해를 건너 깨달음의 저 언덕[彼岸]에 이름.
시니 太子ㅣ 이제  그러시니 므르디 주037)
므르디:
무르지. 물러나지. 므르-[退]+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마쇼셔 주038)
마쇼셔:
마십시오. 말-[勿]+(/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 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迦葉佛 時예 나 小珠塔을 맛디샤 주039)
맛디샤:
맡기셔. 맛디[任]+시+아/어.
悉達이 城 나모 기드려 주040)
기드려:
기다려. 기드리-[待]+아/어.
받라 주041)
받라:
드려라.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라(명령법 종결어미).
시니다 주042)
시니다:
하셨습니다.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부정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이 拘留孫佛 주043)
구류손불(拘留孫佛):
과거 7불의 한 부처. 현겁(賢劫) 천(千)불의 한 부처.
四牙印塔 주044)
사아인탑(四牙印塔):
네 어금니를 본떠 모신 탑.
이시니 올며 주045)
올며:
옮으며. 옮-[徙]+(/으)며.
올마 주046)
올마:
옮아. 옮-[徙]+아/어.
서르 주047)
서르:
서로. 서르(평-평, 부사).
付囑샤 婁至佛 주048)
누지불(屢至佛):
현겁(賢劫) 천불 가운데 맨 나중 부처님.
니르르시리다 주049)
니르르시리다:
이르실 것입니다. 니를-[至]+(/으)시+리++다. 현대국어에서는 ‘ㄹ’로 끝나는 어간에 ‘-(으)시-’가 붙을 때 어간 말음 ‘ㄹ’이 탈락하지만, 중세국어에서는 탈락하지 않음. 여기서는 ‘니를-’의 종성이 매개모음 ‘으’에 연철되어 ‘니르르-’로 실현됨.
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 又如來成道後 第二十一年 佛告大目連 汝往祇桓戒壇北鳴鍾召 十方僧 如普賢觀音菩薩等 并集我分身百億釋迦佛 各乘樓觀至戒壇所 依教集已 佛告普賢菩薩 汝往獼猴池所 我常經行處有破僧伽梨衣 角有小珠塔 可持將來 普賢依教持至祇桓 世尊受此塔已 即告大衆 我初踰城至城樓上 城神歎我言 我爲此城神 經今十三劫 見過去諸佛 皆踰城學道 破恩愛網殺煩惱賊 成無上道度脫一切 汝今亦爾 勿令有退 迦葉佛時付我小珠塔 待悉達踰城令我付汝 此是拘留孫四牙印之塔 展轉相付乃至婁至佛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0]
◯ 또 여래 성도 후 제21년에 부처님대목련에게 이르시되 네가 기환(기원) 계단 북쪽에 가서 북을 쳐 시방불을 보현보살관음보살 등 같은 이를 부르며 내 분신 백억 석가불을 아울러 모아 각각 누관을 타고 계단소에 오게 하라.” 하시니 말씀하신 대로 모이니, 부처님보현보살에게 이르시되 “네가 미후지에 가서 내가 항상 두루 다니던 곳에 헌 승가리의각에 조그만 주탑이 있으니 가져오라.” 보현이 가지고 기환(기원정사)에 오시니 세존이 그 탑을 받으시고 즉시 대중에게 이르시되 “내가 처음 성을 넘을 때 성루 위에 가니, 성의 지신이 나를 찬탄하여 이르되 “나는 이 성의 신이니 이제 13겁을 지냈는데 과거 제불을 뵈니, 다 성을 넘어 도리를 배우시어 은애망을 헐어버리시며 번뇌 도적을 죽이시어 무상도를 이루셔 일체를 도탈하시니, 태자가 이제 또 그러하시니 물러나지 마십시오. 가섭불 시절에 나에게 작은 주탑을 맡기셔 실달태자가 성 넘음을 기다려 드려라 하셨습니다. 이는 구류손불의 사아인탑이시니 옮으며 옮아(전하고 전해) 서로 부촉하여 누지불에 이르실 것입니다.” 하니,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계단(戒壇):계율(戒律)을 전수(傳授)하는 곳.
주002)
붑:북. 붚[鼓](거성). ‘붑’은 ‘붚’의 8종성표기임.
주003)
시방승(十方僧):시방에서 온 스님들.
주004)
보현(普賢):보현보살(普賢菩薩). Samantabhadra. 문수보살(文殊菩薩)이 석가모니불 왼편에서 부처님의 지덕(智德), 체덕(體德)을 맡음에 대하여, 보현보살은 오른 편에서 이덕(理德), 정덕(定德), 행덕(行德)을 맡았음.
주005)
니:같은 이를. 갇-[如]+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 조사).
주006)
내:내가. 나[我]+이/ㅣ(주격조사) → 〈8ㄴ〉네.
주007)
조쳐:겸하여. 아울러. 조치-[兼]+아/어(연결어미).
주008)
뫼호아:모아. 뫼호-[集]+아/어(연결어미).
주009)
누관(樓觀):전망 좋고 높은 전각.
주010)
고:타고. -[乘]+고(연결어미).
주011)
계단소(戒壇所):계단이 있는 곳.
주012)
오게:오게. 오-[來]+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13)
니샨:이르신. 니-[云]+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오/우-’는 관형사절에 나타나는 것으로 의도법의 ‘-오/우-’와는 다른 것임. 선어말어미 ‘-시-’와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하면 ‘-쇼/슈-’가 아니라 ‘-샤/셔’로 나타남.
주014)
로:모양으로. 모습대로. 양[樣]+(/으)로(도구의 부사격조사).
주015)
뫼화:모이니. 모으거늘. 뫼호-[會]+아/어(선어말어미)+(연결어미).
주016)
미후지(獼猴池):비사라국 암라원 곁에 있는 인도의 5정사(精舍)의 하나.
주017)
녜:늘. 항상. 녜[常](평-거, 부사), 녜[常例](평-거, 명사)로 같이 씌었음.
주018)
두루:두루. 두루[周](평-평, 부사). ‘두로, 두’형도 쓰임.
주019)
니:다니던. -[走]+니-[行]+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0)
의각(衣角):옷의 모서리.
주021)
죠고맛:조그마한. (상-평-거, 관형사).
주022)
바샤:받으시어. 받-[受]+(/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주023)
즉재:즉시. 곧. 즉재[卽]/즉자히. 이 어형이 같은 시기에 씌었는데, 전자는 후자에서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되어 2음절로 준 것으로 봄.
주024)
처:처음. 처[初](거-평, 명사, 부사). 품사나 방점이 같이 씌었음.
주025)
나:넘을. 남-[越]+(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6)
가니:가니. 가-[行](거성)+오/우+니. 여기 선어말어미 ‘-우/우-’는 드러나지 않고 어간 ‘·가-’가 ‘:가-’와 같이 방점이 상성으로 변동됨.
주027)
디내얫노니:지냈는데. 디내-[經]+아/어(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연결어미).
주028)
보니:뵈니. 보-[見]+//(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29)
나마:넘어. 남-[越]+아/어(연결어미).
주030)
은애망(恩愛網):부모 자식 사이나, 부부 사이의 애정으로 얽힌 관계를 그물에 비유함.
주031)
야리시며:헐어버리시며. 부숴버리다. 야리-[破]+시+며.
주032)
도:도적을. 도[賊]+(목적격조사).
주033)
주기샤:죽이셔. 죽이-[殺]+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주034)
무상도(無上道):위가 없는 보리(菩提). 보리는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의 지혜.
주035)
일우샤:이루셔. 일우-[成]+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주036)
도탈(度脫):해탈(解脫). 생사의 고해를 건너 깨달음의 저 언덕[彼岸]에 이름.
주037)
므르디:무르지. 물러나지. 므르-[退]+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38)
마쇼셔:마십시오. 말-[勿]+(/으)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 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주039)
맛디샤:맡기셔. 맛디[任]+시+아/어.
주040)
기드려:기다려. 기드리-[待]+아/어.
주041)
받라:드려라.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라(명령법 종결어미).
주042)
시니다:하셨습니다.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부정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43)
구류손불(拘留孫佛):과거 7불의 한 부처. 현겁(賢劫) 천(千)불의 한 부처.
주044)
사아인탑(四牙印塔):네 어금니를 본떠 모신 탑.
주045)
올며:옮으며. 옮-[徙]+(/으)며.
주046)
올마:옮아. 옮-[徙]+아/어.
주047)
서르:서로. 서르(평-평, 부사).
주048)
누지불(屢至佛):현겁(賢劫) 천불 가운데 맨 나중 부처님.
주049)
니르르시리다:이르실 것입니다. 니를-[至]+(/으)시+리++다. 현대국어에서는 ‘ㄹ’로 끝나는 어간에 ‘-(으)시-’가 붙을 때 어간 말음 ‘ㄹ’이 탈락하지만, 중세국어에서는 탈락하지 않음. 여기서는 ‘니를-’의 종성이 매개모음 ‘으’에 연철되어 ‘니르르-’로 실현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