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6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6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6]
◯ 그 文殊부텨샤 주001)
샤:
여쭈시되. -[奏](ㅂ불규칙)+(/으)시+오. → 〈21ㄱ〉가.
이제 죠고맛 疑心이 이셔 決고져 주002)
결(決)고져:
풀고자. 해결하고자. 決-++고져(의도의 연결어미). 의도의 연결어미로 ‘-과뎌’도 있는데 ‘-고져’는 상위문과 하위문의 주어가 일치할 때 ‘과뎌’는 상위문과 하위문의 주어가 일치하지 않을 때 사용됨.
노다 주003)
노다:
합니다. -+(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부톄 니샤 주004)
네:
너의. 너[汝]+/의/ㅣ(관형격조사) → 〈8ㄴ〉네.
다 주005)
다:
뜻대로. [意]+다. ‘다(평-거)’는 ‘ㅸ’ 소실 이후 ‘다이’로 표기됨.
라 주006)
라:
해라. -+라(명령법 종결어미).
내 大衆을 보니 매 다 疑心이 잇니 주007)
잇니:
있으니. 잇/이시-[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알 주008)
알:
앞에. 앒[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니샤 迦葉佛 주009)
가섭불(迦葉佛)ㅅ:
가섭불의. 迦葉佛+ㅅ(관형격조사). 여기서 말하는 이 ‘문수’는 가섭불을 높이기 위해 관형격 ‘/의’ 대신에 ‘ㅅ’이 쓰였음.

월인석보 25:46ㄱ

ㅅ 小珠函이 오직 기릐 주010)
기릐:
길이. 길-[長]+의(명사 파생 접미사).
三寸三分 주011)
삼촌삼분(三寸三分):
세 치 세 푼. 한 푼은 한 치의 10분의 1로, 약 0.3cm에 해당한다.
이라 더시니 僧伽梨 주012)
:
한. [一](평성, 관형사).
오 다마도 주013)
다마도:
담아도. 담-[盛]+아/어+도.
바가 주014)
바가:
받을까. 받-[受]+(/으)ㅭ가(의문형 종결어미).
식브니 주015)
식브니:
싶으니. 식브-(평-평, 보조형용사)+니.
엇뎨 며 迦葉佛三藏敎迹 주016)
삼장교적(三藏敎迹):
부처님이 설한 모든 가르침의 흔적.
一切 經典을 다리고 주017)
다리고:
담겠습니까? 담-[盛]+(/으)리(미래와 추측의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부톄文殊 大衆의게 니샤 이 諸佛力 不可思議니 오직 부텨부텨왜 주018)
부텨왜:
부처만이. 부텨[佛]+와/과(접속조사)+이/ㅣ(주격조사)+(강세의 보조사). 중세국어에서는 둘 이상의 체언이 연결될 때, 끝 체언 다음에도 ‘-와(공동격)’를 쓴 다음에 격조사를 붙이는데[集團曲用], 현대역으로 옮길 때는 마지막 접속조사는 없애고 격조사만 번역함.
能히 알리니 너희 境界 주019)
경계(境界):
경지. 영역. 여러 감각기관에 의한 지각의 대상.
혜아 디 주020)
혜아 디:
헤아릴 것이. 헤아릴 수 있는 것이. 혜아리-[量]+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주격조사).
아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 爾時文殊便白言 今有少疑欲有所決 未知許不 佛告文殊 可隨汝意 我觀大眾心皆有疑 前云 迦葉佛小珠函 唯長三寸三分 盛彼僧伽梨一衣亦恐不受 何況容受迦葉佛三藏教迹一切經典邪 佛告文殊大衆等 是諸佛力不可思議 唯佛與佛乃能知之 非汝等境界之所籌度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6]
◯ 그때 문수부처님께 사뢰기를 “이제 조그만 의심이 있어 풀고자 합니다.” 부처님이 이르시기를 “너의 뜻대로 하라.” “내가 대중을 보니 마음에 다 의심이 있으니, 앞에서 이르시기를 ‘가섭불의 작은 구슬 담은 함이 오직 길이가 세 치 3푼이라’ 하셨으니, 승가리 한 벌을 담아도 못 받을까(담을까) 싶으니, 어찌 하물며 가섭불의 삼장교적 일체 경전을 담겠습니까?” 부처님문수 대중에게 이르시되 “이 모든 부처님의 위신력은 헤아릴 수 없으니, 오직 부처와 부처만이 능히 알 것이니 너희 경계로 헤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샤:여쭈시되. -[奏](ㅂ불규칙)+(/으)시+오. → 〈21ㄱ〉가.
주002)
결(決)고져:풀고자. 해결하고자. 決-++고져(의도의 연결어미). 의도의 연결어미로 ‘-과뎌’도 있는데 ‘-고져’는 상위문과 하위문의 주어가 일치할 때 ‘과뎌’는 상위문과 하위문의 주어가 일치하지 않을 때 사용됨.
주003)
노다:합니다. -+(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04)
네:너의. 너[汝]+/의/ㅣ(관형격조사) → 〈8ㄴ〉네.
주005)
다:뜻대로. [意]+다. ‘다(평-거)’는 ‘ㅸ’ 소실 이후 ‘다이’로 표기됨.
주006)
라:해라. -+라(명령법 종결어미).
주007)
잇니:있으니. 잇/이시-[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08)
알:앞에. 앒[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09)
가섭불(迦葉佛)ㅅ:가섭불의. 迦葉佛+ㅅ(관형격조사). 여기서 말하는 이 ‘문수’는 가섭불을 높이기 위해 관형격 ‘/의’ 대신에 ‘ㅅ’이 쓰였음.
주010)
기릐:길이. 길-[長]+의(명사 파생 접미사).
주011)
삼촌삼분(三寸三分):세 치 세 푼. 한 푼은 한 치의 10분의 1로, 약 0.3cm에 해당한다.
주012)
:한. [一](평성, 관형사).
주013)
다마도:담아도. 담-[盛]+아/어+도.
주014)
바가:받을까. 받-[受]+(/으)ㅭ가(의문형 종결어미).
주015)
식브니:싶으니. 식브-(평-평, 보조형용사)+니.
주016)
삼장교적(三藏敎迹):부처님이 설한 모든 가르침의 흔적.
주017)
다리고:담겠습니까? 담-[盛]+(/으)리(미래와 추측의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주018)
부텨왜:부처만이. 부텨[佛]+와/과(접속조사)+이/ㅣ(주격조사)+(강세의 보조사). 중세국어에서는 둘 이상의 체언이 연결될 때, 끝 체언 다음에도 ‘-와(공동격)’를 쓴 다음에 격조사를 붙이는데[集團曲用], 현대역으로 옮길 때는 마지막 접속조사는 없애고 격조사만 번역함.
주019)
경계(境界):경지. 영역. 여러 감각기관에 의한 지각의 대상.
주020)
혜아 디:헤아릴 것이. 헤아릴 수 있는 것이. 혜아리-[量]+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주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