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0-2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0-2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0-2]
내 神려 닐오 네 僧伽梨 내 주001)
:
쓸. -[用]+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
거시 아니로다 내 先老 주002)
선로(先老):
예전의 노인.
의 마 드로니 주003)
드로니:
들으니. 듣-[聞](ㄷ불규칙)+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諸佛이 出世샤 蠶衣 주004)
잠의(蠶衣):
누에고치에서 뽑은 실로 짠 명주로 지은 옷.
닙디 주005)
닙디:
입지. 닙-[被]+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아니시다 주006)
아니시다:
아니하신다. 아니-+시++다.
니

월인석보 25:42ㄱ

≪蠶은 누웨라 주007)
누웨라:
누에이다. 누웨[蠶]+이/ㅣ(서술격)+다/라. 이는 동의어로 ‘누에’〈훈민정음언해 용자례〉가 있음. 종래의 고어사전의 용례는 〈구급방 하:85ㄱ〉에서의 인용이므로, 『월인석보』의 이 용례를 첫 번째로 올려야 할 것임. ⟶ 해제 4. 희귀어 4) ‘누웨’.
≫ 내 이제 道理 닷거니 주008)
닷거니:
닦으니. -[修]+거/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함.
엇뎨 주009)
엇뎨:
어찌. 어찌하여. 어째서. 엇뎨[何](상-거, 부사). 동의어로 ‘엇더(상-거), 엇뎌(상-거)’도 같이 『월인석보』에 쓰였음.
산 것 害 거슬 내게 맛뎌 주010)
맛뎌:
맡겨. 맛디-[任]+아/어.
니브라 다 주011)
다:
하는가? -++ㄴ다(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2인칭 주어일 때 사용되는 ‘ㄴ다’는 판정의문과 설명의문의 구분이 없음.
네 魔ㅣ라 부러 주012)
부러:
일부러. 고의로.
어즈리놋다 주013)
어즈리놋다:
어지럽게 하는구나. 어지럽히는구나. 어즈리-[惱]+(현재시상 선어말어미) +옷(감탄법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樹神이 닐오 太子ㅣ 大智人 주014)
대지인(大智人):
큰 지혜를 가진 이, 결국 부처님을 가리킴.
이샤 엇뎨멀터 주015)
멀터:
거친. 멀텁-[麁](ㅂ불규칙)+은/는/ㄴ(관형사형 연결어미). → 〈21ㄱ〉가.
마 시고 주016)
시고:
하시는가? -+시++ㄴ고(의문법 종결어미). 의문법 종결어미 ‘-ㄴ가/ㄴ고’는 15세기 내적 사유구문에서만 사용되다가 16세기 이후 직접의문으로 쓰이기 시작함.
諸佛이 慈悲샤 實로 蠶衣 아니 닙거시니와 주017)
닙거시니와:
입으시지만. 닙-[着]+거+시+니와. ‘-거니와/어니와’에 ‘-시-’가 결합될 때 ‘- 시-’가 ‘거/어’와 ‘니와’ 사이에 위치함.
시 주018)
시:
실은. 실[絲]+/은/ㄴ(보조사).
化야 난 거시라 산 것 害혼 거시 아니니 太子ㅣ 이제 珠函을 바샤 주019)
바샤:
받으시어. 받-[受]+(/으)시+아/어.
여르시면 그 가온 字ㅣ 잇니다 주020)
잇니다:
있습니다. 잇/이시-[有]++니++다.
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我語神言 汝絹僧伽梨非我所用 我聞先老所言 諸佛出世不著蠶衣 我今修道如何害生 以付我著 汝今是魔故來相惱 樹神告言 汝大智人何輒麁言 諸佛慈悲實不著蠶衣 此絲化出非是害生 汝今受此珠函 開中有字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30-2]
내가 신에게 이르되 “네 비단 승가리는 나의 쓸 것이 아니다. 내가 선로의 말을 들으니 모든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셔서 잠의를 입지 아니하신다 하니≪‘잠’은 누에이다.≫ 내가 이제 도리를 닦았으니 어찌 산 것 해한 것을 나에게 맡겨 입으라 하는가? 네가 마귀라서 일부러 와 어지럽히는구나.” 수신이 이르되 “태자는 대지인이신데 어찌 거친 말을 하시는가? 제불이 자비로우시어 진실로 잠의를 안 입으시지만 이 실은 화하여 난 것이나 산 것을 해한 것이 아니니, 태자가 이제 주함을 받으시어 여시면 그 가운데 글자가 있습니다.” 하니,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쓸. -[用]+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2)
선로(先老):예전의 노인.
주003)
드로니:들으니. 듣-[聞](ㄷ불규칙)+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04)
잠의(蠶衣):누에고치에서 뽑은 실로 짠 명주로 지은 옷.
주005)
닙디:입지. 닙-[被]+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06)
아니시다:아니하신다. 아니-+시++다.
주007)
누웨라:누에이다. 누웨[蠶]+이/ㅣ(서술격)+다/라. 이는 동의어로 ‘누에’〈훈민정음언해 용자례〉가 있음. 종래의 고어사전의 용례는 〈구급방 하:85ㄱ〉에서의 인용이므로, 『월인석보』의 이 용례를 첫 번째로 올려야 할 것임. ⟶ 해제 4. 희귀어 4) ‘누웨’.
주008)
닷거니:닦으니. -[修]+거/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함.
주009)
엇뎨:어찌. 어찌하여. 어째서. 엇뎨[何](상-거, 부사). 동의어로 ‘엇더(상-거), 엇뎌(상-거)’도 같이 『월인석보』에 쓰였음.
주010)
맛뎌:맡겨. 맛디-[任]+아/어.
주011)
다:하는가? -++ㄴ다(2인칭 의문법 종결어미). 2인칭 주어일 때 사용되는 ‘ㄴ다’는 판정의문과 설명의문의 구분이 없음.
주012)
부러:일부러. 고의로.
주013)
어즈리놋다:어지럽게 하는구나. 어지럽히는구나. 어즈리-[惱]+(현재시상 선어말어미) +옷(감탄법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14)
대지인(大智人):큰 지혜를 가진 이, 결국 부처님을 가리킴.
주015)
멀터:거친. 멀텁-[麁](ㅂ불규칙)+은/는/ㄴ(관형사형 연결어미). → 〈21ㄱ〉가.
주016)
시고:하시는가? -+시++ㄴ고(의문법 종결어미). 의문법 종결어미 ‘-ㄴ가/ㄴ고’는 15세기 내적 사유구문에서만 사용되다가 16세기 이후 직접의문으로 쓰이기 시작함.
주017)
닙거시니와:입으시지만. 닙-[着]+거+시+니와. ‘-거니와/어니와’에 ‘-시-’가 결합될 때 ‘- 시-’가 ‘거/어’와 ‘니와’ 사이에 위치함.
주018)
시:실은. 실[絲]+/은/ㄴ(보조사).
주019)
바샤:받으시어. 받-[受]+(/으)시+아/어.
주020)
잇니다:있습니다. 잇/이시-[有]++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