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법장결집
  • 법장결집 7: 가섭이 우바리를 청하여 율장을, 아난에게는 경장을 결집하게 하다 ①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장결집 7: 가섭이 우바리를 청하여 율장을, 아난에게는 경장을 결집하게 하다 ①


[법장결집 7: 가섭이 우바리를 청하여 율장을, 아난에게는 경장을 결집하게 하다 ①]
迦葉優婆離 주001)
우바리(優婆離):
Upāli. 석가모니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 ‘지계(持戒) 제일’로 불림. 부처님 열반 후, 제1차 결집 때에 율장(律藏) 부분을 외웠으며, 마하가섭, 아난다와 함께 ‘결집 3인’으로 불림.
 請야 律藏 주002)
율장(律藏):
삼장(三藏)의 하나. 부처의 계율을 설한 경전.
모도고 주003)
모도고:
모으고. 모도-[合]+고(나열의 연결어미).
阿難이 經藏 주004)
경장(經藏):
삼장의 하나. 석가모니 부처님이 그 제자와 중생들을 교화하기 위하여 말한 교법을 이름.
 모도게 터니 주005)
터니:
하더니. -+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 어간 ‘’가 ‘더’와 축약되면서 ‘-터니’로 변동됨.
迦葉 주006)
한:
많은. 큰. 하-[多/大](거성, 형용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사게 주007)
사게:
사람에게. 사[人]+게/의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닐오 이 阿難比丘ㅣ 多聞 주008)
다문(多聞):
많은 법문을 듣고 수지하여 잊지 않음. 뛰어난 불제자를 가리키기도 함.
總持 주009)
총지(總持):
dhāraṇi. 다라니(陀羅尼)라고 음역. 한량없는 많은 것을 지니고 기억하며 잊지 않음.
야 큰 智慧 이셔 주010)
이셔:
있어. 있어서. 이시-/잇-/시-[有](형용사)+아/어. ‘이시-’는 모음 조사 앞에, ‘잇-’은 자음 조사 앞에, ‘시-’는 ‘-아/어’ 앞에서 주로 사용됨.
녜 주011)
녜:
늘. 항상. 녜[常](평-거, 부사), 녜[常例](평-거, 명사)로 씌었고 ‘례’(常例)(명 사, 부사, 평-상)도 같이 씌었음.
如來좃 주012)
좃:
좇아서. 따라. 따라서. 좇-/좃-[從]+(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 어간 종성 ‘ㅊ’ 8종성 표기에 따라 ‘ㅅ’으로 변동됨. 선어말어미 ‘//-’은 목적어인 명사나 부사가 가리키는 인물이 주어 명사보다 신분이 높을 때 쓰는 문법 형태임. 이는 여러 형태가 있는바, 어간 말음 ‘ㄱ, ㅂ, ㅅ, ㅎ’ 뒤에서는 ‘--’이 쓰이고, 어간말음이 모음이나, 자음 ‘ㄴ, ㄹ, ㅁ’ 뒤에서는 ‘--’이 쓰이며, 어간말음 ‘ㄷ, ㅈ, ㅊ’ 뒤에서는 ‘--’이 쓰인다. 한편, 이 형태의 ‘ㅂ’종성은 ‘ㅂ’불규칙용언의 경우와 같이 자음어미 앞에서는 ‘ㅂ’이 유지되지만, 모음어미 앞에서는 ‘ㅸ’으로 나타 남. → 〈21ㄴ〉가.
梵行 주013)
범행(梵行):
맑고 깨끗한 행실. 더럽고 추한 음욕을 끊는 것을 이름.
이 淸

월인석보 25:10ㄱ

淨야 듣 주014)
듣:
듣자온. 들은. 듣-[聞](ㄷ불규칙)++(/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 〈9ㄴ〉좃 .
佛法 주015)
불법(佛法):
부처의 가르침을 통틀어 이름. 일체(一切) 제법(諸法)을 이름.
므를 주016)
므를:
물을. 믈[水]+을(목적격조사).
그르세 옮기 주017)
옮기:
옮기듯이. 옮기-+(거성).
야 나 주018)
나:
남은. 남-[餘](형용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거시 업서 부톄 주019)
부톄:
부처님이. 부처님이. 부텨[佛]+Ø(주격조사).
讚歎샤 주020)
샤:
하시되.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양보의 선어말어미).
聰敏 주021)
총민(聰敏):
총명하고 민첩함.
이 第一이라 시니라 주022)
시니라:
하시었다.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부정법 선어말어미)+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迦葉乃白衆言 此阿難比丘多聞總持有大智慧 常隨如來梵行清淨 所聞佛法如水傳器無有遺餘 佛所讚歎聰敏第一【宜可請彼集修多羅藏 大衆默然】

[법장결집 7: 가섭이 우바리를 청하여 율장을, 아난에게는 경장을 결집하게 하다 ①]
가섭우바리를 청하여 율장을 모으고, 아난경장을 모으게 하더니, 가섭이 많은 사람에게 이르되, “이 아난비구가 다문 총지하여 큰 지혜가 있어서 항상 여래를 따라서 범행이 청정하여, 듣자온 불법을 물을 그릇에 옮기듯 하여 남은 것이 없어 부처님이 찬탄하시되, “총민이 제일이다.”고 하셨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우바리(優婆離):Upāli. 석가모니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 ‘지계(持戒) 제일’로 불림. 부처님 열반 후, 제1차 결집 때에 율장(律藏) 부분을 외웠으며, 마하가섭, 아난다와 함께 ‘결집 3인’으로 불림.
주002)
율장(律藏):삼장(三藏)의 하나. 부처의 계율을 설한 경전.
주003)
모도고:모으고. 모도-[合]+고(나열의 연결어미).
주004)
경장(經藏):삼장의 하나. 석가모니 부처님이 그 제자와 중생들을 교화하기 위하여 말한 교법을 이름.
주005)
터니:하더니. -+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 어간 ‘’가 ‘더’와 축약되면서 ‘-터니’로 변동됨.
주006)
한:많은. 큰. 하-[多/大](거성, 형용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7)
사게:사람에게. 사[人]+게/의게(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08)
다문(多聞):많은 법문을 듣고 수지하여 잊지 않음. 뛰어난 불제자를 가리키기도 함.
주009)
총지(總持):dhāraṇi. 다라니(陀羅尼)라고 음역. 한량없는 많은 것을 지니고 기억하며 잊지 않음.
주010)
이셔:있어. 있어서. 이시-/잇-/시-[有](형용사)+아/어. ‘이시-’는 모음 조사 앞에, ‘잇-’은 자음 조사 앞에, ‘시-’는 ‘-아/어’ 앞에서 주로 사용됨.
주011)
녜:늘. 항상. 녜[常](평-거, 부사), 녜[常例](평-거, 명사)로 씌었고 ‘례’(常例)(명 사, 부사, 평-상)도 같이 씌었음.
주012)
좃:좇아서. 따라. 따라서. 좇-/좃-[從]+(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 어간 종성 ‘ㅊ’ 8종성 표기에 따라 ‘ㅅ’으로 변동됨. 선어말어미 ‘//-’은 목적어인 명사나 부사가 가리키는 인물이 주어 명사보다 신분이 높을 때 쓰는 문법 형태임. 이는 여러 형태가 있는바, 어간 말음 ‘ㄱ, ㅂ, ㅅ, ㅎ’ 뒤에서는 ‘--’이 쓰이고, 어간말음이 모음이나, 자음 ‘ㄴ, ㄹ, ㅁ’ 뒤에서는 ‘--’이 쓰이며, 어간말음 ‘ㄷ, ㅈ, ㅊ’ 뒤에서는 ‘--’이 쓰인다. 한편, 이 형태의 ‘ㅂ’종성은 ‘ㅂ’불규칙용언의 경우와 같이 자음어미 앞에서는 ‘ㅂ’이 유지되지만, 모음어미 앞에서는 ‘ㅸ’으로 나타 남. → 〈21ㄴ〉가.
주013)
범행(梵行):맑고 깨끗한 행실. 더럽고 추한 음욕을 끊는 것을 이름.
주014)
듣:듣자온. 들은. 듣-[聞](ㄷ불규칙)++(/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 〈9ㄴ〉좃 .
주015)
불법(佛法):부처의 가르침을 통틀어 이름. 일체(一切) 제법(諸法)을 이름.
주016)
므를:물을. 믈[水]+을(목적격조사).
주017)
옮기:옮기듯이. 옮기-+(거성).
주018)
나:남은. 남-[餘](형용사)+(/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9)
부톄:부처님이. 부처님이. 부텨[佛]+Ø(주격조사).
주020)
샤:하시되.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양보의 선어말어미).
주021)
총민(聰敏):총명하고 민첩함.
주022)
시니라:하시었다.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부정법 선어말어미)+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