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①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
모로매 주001)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로매[須](부사, 평-거-거).
세 주002)
세:
셋을. 셓(ㅎ말음체언)+(/으)ㄹ(목적격조사).
 주003)
:
하는. -++ㄴ(관형사형 연결어미).
든 分別功德論 주004)
분별공덕론(分別功德論):
‘증일아함경’의 서품 가운데 계와 염불 등 10종의 법을 해석하고, 다음은 각 제자품의 제일의 인연을 풀이한 것임.
애 닐오 三時 주005)
삼시(三時):
부처님 열반한 뒤에 교법이 유행하는 시대를 세 시기로 나눈 정법시(正法時), 상법시(像法時), 말법시(末法時)를 이름.
 爲니 겨리어든 주006)
겨리어든:
겨울이거든. 겨[冬]+이/ㅣ(서술격)+거든/어든.
므거닐 주007)
므거닐:
무거운 것을. 므겁-[重](ㅂ불규칙)+(/으)ㄴ#이(의존명사)+(/으)ㄹ(목적격 조사). → 〈5ㄴ〉보라며.
닙고 녀르미어든 주008)
녀르미어든:
여름이거든. 녀름[夏](평-거, 명사)+이/ㅣ+거든/어든.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ɦ〕 ‘어든’으로 표기된 것임.
가야닐 주009)
가야닐:
가벼운 것을. 가얍-[輕](평-거-평, ㅂ불규칙)+(/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ㅣ+(/으)ㄹ.
닙고 보미어든 中間 니 주010)
니:
한 것을. -+(/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ㅣ(이존명사)+2(목적격 조사).
니브라 주011)
니브라:
입어라. 닙-[被]+(/으)라.
智度論 주012)
지도론(智度論):
대지도론(大智度論). 용수(龍樹)보살이 짓고, 구마라습(鳩摩羅什) 번역한 책으로 『마하반야바라밀경』을 자세히 풀이한 것임.
애 닐오 佛弟子ㅣ 中道 주013)
중도(中道):
2변(邊)에 치우친 삿된 것을 여읜 중정(中正)한 도(道)라는 말.
애 住 三衣 닙니 外道 옷 밧고 주014)
밧고:
벗고. 밧-[脫](평성, 동사)+고/오.
붓그류미 주015)
붓그류미:
부끄러워함이. 붓그리-[恥](동사, 평-거-평)+옴/움+이/ㅣ(주격조사).
업고≪斷見 주016)
단견(斷見):
만유(萬有)는 무상한 것이어서 실재하지 않는 것과 같이, 사람도 죽으면 몸과 마음이 모두 없어져 공무(空無)에 돌아간다고 고집하는 그릇된 소견.
住혼 주017)
주(住)혼:
머무른. 住-+오/우+(/으)ㄴ.
젼라 주018)
젼라:
까닭이다. 젼(평-거, 명사)+이/ㅣ(서술격조사)+다/라.
白衣 주019)
백의(白衣):
세속 사람. 인도에서는 수도승이 색깔 있는 옷을 입은 데 대하여 세속 사람들이 흰옷을 입은 데 말미암음.
므거 주020)
므거:
무겁게. 므거(거-평-거, 부사). 므겁-[重]+이(부사 파생접미사)로 파생됨.
니부믈 즐기니라 주021)
즐기니라:
즐기는 것이다. 즐기-[樂](동사, 거-평)++니+다/라.

월인석보 25:15ㄴ

常見 주022)
상견(常見):
사람은 죽으나 자아(自我)는 없어지지 않으며, 5온은 과거나 미래에 상주(常住) 불변하여 간단(間斷)하는 일이 없다고 고집하는 그릇된 견해. 단견(斷見)에 대(對)가 됨.
住혼 주023)
주(住)혼:
머무른. 주(住)한. 住-+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젼라 주024)
젼라:
까닭이다. 젼[故](명사, 평-거)+이/ㅣ(서술격)+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多論 주025)
다론(多論):
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毘尼毘婆沙) 또는 살바다론(薩婆多論)의 준말로 십송률(十誦律)의 비구계를 해석한 것임.
애 닐오  오시 치 주026)
치:
추위를. 치[寒](명사, 거-평)+. 이는 ‘칩-[寒](형용사, 거성)+/ 의(부사 파생접미사)’로 이루어졌으나, 이와 달리 ‘칩-+위→치’도 『석보상절』〈9:9ㄴ〉에 ‘모 벌에며 더 치로 셜다가 내 일후믈 드러 닛디 아니야’와 같이 씌었으며, 또한 『능엄경언해』〈8:82ㄱ〉에는 ‘한 치위와 구든 어르미(積寒堅氷)’와 같이 ‘치’의 ‘ㅸ’ 소실형 ‘치위’로도 쓰였다.
리오 주027)
리오:
가리고. 리-[蔽](평-거, 동사)+고/오. ‘-오’는 어간말모음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ɦ〕로 표기된 것임.
오 주028)
오:
옷은. 옷[衣]+(/으)ㄴ(보조사).
리다 주029)
리다:
가린다. 리-++다/라.
니라 戒壇經 주030)
계단경(戒壇經):
당나라 도선(道宣)선사가 지은 계단도경(戒壇圖經 1권)을 가리킴.
에 닐오 三衣 三毒 주031)
삼독(三毒):
탐(탐욕), 진(분노), 치(어리석음)의 세 가지 번뇌.
 긋니 五條 주032)
오조(五條):
‘조’가 다섯 줄인 가사.
下衣 貪身 주033)
탐심(貪心):
탐을 내는 마음.
 긋고 七條 주034)
칠조(七條):
‘조’가 일곱 줄인 가사.
中衣 주035)
중의(中衣):
안다회의 다른 말.
瞋口 주036)
진구(瞋口):
노여움에 찬 말.
 긋고 大衣 上衣 癡心 주037)
치심(癡心):
말의 선악과 시비를 깨닫지 못하고 그것을 듣고 믿어버리는 마음.
‘치’는 불교에서 말하는 3독(毒)의 하나. 현상(現像)과 도리(道理)에 대하여 마음이 어두운 것, 인생의 고통 받는 근원과 모든 번뇌의 근본을 ‘치’라 함.
 긋니라≪大品 주038)
대품(大品):
구마라습이 번역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을 이름.
十二頭陁 주039)
십이두타(十二頭陀):
두타는 번뇌의 티끌을 제거하고 의, 식, 주를 간단히 하여 불도를 수행하는 열두 가지 방법.
오시 두 가지 잇니 나 納衣 주040)
납의(納衣):
세상 사람들이 내버린 낡은 헝겊을 모아서 누덕누덕 기워 만든 옷이란 뜻에서 스님들의 옷을 이르게 됨.
智論 주041)
지론(智論):
용수보살의 대지도론(大智度論, 구마라습의 번역)의 준말.
사교 주042)
사교:
새기되. 새겼으되. 사기-[釋](동사, 평-거)+(오/우). ‘사기-’는 동음이의어로 ‘각(刻)-’의 뜻도 있음. 어간의 반모음 ‘ㅣ’와 연결어미 ‘오’의 ‘오’가 동화되어 ‘교’로 나타남.
됴 주043)
됴:
좋은. 둏-[好](형용사, 상성)+(/으)ㄴ. 이는 17세기에 ㄷ구개음화로 ‘죻-’, 현대 국어에서 ‘좋-’으로 쓰이게 됨.
옷 因緣으로 四方애 두루 녀 주044)
녀:
다녀. 니-[行](평-거, 동사)+아/어. ‘니-’는 ‘-[走]+니-[行]’의 비통사적합성어임.

월인석보 25:16ㄱ

주045)
사명(邪命):
정당하지 못한 수단으로 생활함.
中에 러디니 주046)
러디니:
떨어지니. 러디-[落](동사, 평-거-거)++니.
다가 주047)
다가:
하다가. 만일. 만약(萬若). 다가[若](부사, 거-평-거).
 주048)
:
남의. 다른 사람의. [者]+/의(관형격조사).
됴 오 바면 주049)
바면:
받으면. 받-[受](동사, 평성)+(/으)면.
親著 주050)
친착(親著):
친착할. 親著-+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친착(親著)’은 친히 입음.
들 내리니 다가 親著 아니면 檀越 주051)
단월(檀越):
dānapati. 보시(布施)를 행하는 사람.
츠기 주052)
츠기:
측은히. 섭섭히. 츠기[恨](평-평, 부사). 이는 형용사 ‘측-[惻]’(평-평)에서 파생된 것으로 봄.
너기리라  됴 오 得道 몯 사미 貪着 주053)
탐착(貪着):
만족할 줄 모르고 사물에 더욱 집착함.
내 히니 주054)
히니:
땅이니. 곳이니. [地/處](ㅎ말음체언, 거성)+이/ㅣ+니.
됴 옷 因緣으로 賊難 주055)
적난(賊難):
도적에게 재난을 당함.
 블러 시혹 주056)
시혹:
혹시. 때로. 시혹(時或)(평-거, 부사).
命을 앗이니 주057)
앗이니:
빼앗기니. 앗-[奪]+이(피동접미사)++니.
이러틋 주058)
이러틋:
이렇듯. 이러틋(거-평-거, 부사). 형용사 ‘이러-+듯’의 축약임.
시르미 주059)
시르미:
시름이. 시름[憂](평-거, 명사)+이/ㅣ.
이실 헌 누비오 닙니라 둘 다 주060)
다:
다만. 다[只](평-거, 부사), ‘다’(평-거)(다  큰 잀 因緣〈석상 13:48b〉)과 같이 씌었음.
三衣니 智論애 사교 行 사미 欲이 져거 주061)
져거:
적어. 젹-[少]+아/어.
足 주062)
족(足):
족함을. 만족함을. 足〔만족〕(거성, 명사). 이는 ‘足-(거-평, 형용사)’(자바 머구 믈 데 足 씨라〈석상 13:11ㄱ주〉와 같이 씌었음.
아라 오 얼굴 릴 주063)
릴:
가릴. 리-[蔽]+(/으)ㄹ(관형사형 연결어미).
만고 하디 주064)
하디:
많지. 하-[多]+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아니며 젹디 주065)
젹디:
적지. 젹-[小]+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三衣 가지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미상)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2]
모름지기 셋을 하는(세 가지로 나누는) 뜻은 『분별공덕론』에 이르되, “삼시를 위하니, 겨울이거든 무거운 것을 입고 여름이거든 가벼운 것을 입고 봄이거든 중간 것을 입어라.” 『지도론』에 이르되, “불제자가 중도에 머무르므로 3의를 입으니, 외도는 옷을 벗고 부끄러움이 없고≪단견에 머무르는 까닭이다.≫ 백의는 무겁게 입음을 즐기는 것이다. ≪상견에 머무르는 까닭이다.≫『다론』에 이르되, ‘한 옷이 추운 것을 가리지 못하고 세 옷은 가린다.’고 했다. 『계단경』에 이르되, “삼의는 3독을 끊으니, 5조 하의는 탐심을 끊고, 7조 중의는 진구를 끊고, 대의 상의는 치심을 끊는 것이다.”≪대품에 12두타 옷이 두 가지 있으니, 하나는 납의니 『지론』에 새겼으되, ‘좋은 옷의 인연으로 사방에 두루 다녀 사명 가운데 떨어지니, 만일 남의 좋은 옷을 받으면 친착할 뜻을 낼 것이니, 만일 친착하지 아니하면 단월이 섭섭히 여기리라. 또 좋은 옷은 득도 못한 사람이 탐착을 내는 것이니, 좋은 옷의 인연으로 적난을 불러 혹 목숨을 빼앗기도 하니, 이런 시름이 있으므로 헌 누비옷을 입는 것이다. 둘은 다만 3의니, 지론에 새기되, “수행하는 사람이 욕심이 적어서 만족함을 알아 옷을 형색을 가릴 만하고, 많지 아니하며 적지 아니하므로 3의를 가지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로매[須](부사, 평-거-거).
주002)
세:셋을. 셓(ㅎ말음체언)+(/으)ㄹ(목적격조사).
주003)
:하는. -++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4)
분별공덕론(分別功德論):‘증일아함경’의 서품 가운데 계와 염불 등 10종의 법을 해석하고, 다음은 각 제자품의 제일의 인연을 풀이한 것임.
주005)
삼시(三時):부처님 열반한 뒤에 교법이 유행하는 시대를 세 시기로 나눈 정법시(正法時), 상법시(像法時), 말법시(末法時)를 이름.
주006)
겨리어든:겨울이거든. 겨[冬]+이/ㅣ(서술격)+거든/어든.
주007)
므거닐:무거운 것을. 므겁-[重](ㅂ불규칙)+(/으)ㄴ#이(의존명사)+(/으)ㄹ(목적격 조사). → 〈5ㄴ〉보라며.
주008)
녀르미어든:여름이거든. 녀름[夏](평-거, 명사)+이/ㅣ+거든/어든.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ɦ〕 ‘어든’으로 표기된 것임.
주009)
가야닐:가벼운 것을. 가얍-[輕](평-거-평, ㅂ불규칙)+(/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ㅣ+(/으)ㄹ.
주010)
니:한 것을. -+(/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ㅣ(이존명사)+2(목적격 조사).
주011)
니브라:입어라. 닙-[被]+(/으)라.
주012)
지도론(智度論):대지도론(大智度論). 용수(龍樹)보살이 짓고, 구마라습(鳩摩羅什) 번역한 책으로 『마하반야바라밀경』을 자세히 풀이한 것임.
주013)
중도(中道):2변(邊)에 치우친 삿된 것을 여읜 중정(中正)한 도(道)라는 말.
주014)
밧고:벗고. 밧-[脫](평성, 동사)+고/오.
주015)
붓그류미:부끄러워함이. 붓그리-[恥](동사, 평-거-평)+옴/움+이/ㅣ(주격조사).
주016)
단견(斷見):만유(萬有)는 무상한 것이어서 실재하지 않는 것과 같이, 사람도 죽으면 몸과 마음이 모두 없어져 공무(空無)에 돌아간다고 고집하는 그릇된 소견.
주017)
주(住)혼:머무른. 住-+오/우+(/으)ㄴ.
주018)
젼라:까닭이다. 젼(평-거, 명사)+이/ㅣ(서술격조사)+다/라.
주019)
백의(白衣):세속 사람. 인도에서는 수도승이 색깔 있는 옷을 입은 데 대하여 세속 사람들이 흰옷을 입은 데 말미암음.
주020)
므거:무겁게. 므거(거-평-거, 부사). 므겁-[重]+이(부사 파생접미사)로 파생됨.
주021)
즐기니라:즐기는 것이다. 즐기-[樂](동사, 거-평)++니+다/라.
주022)
상견(常見):사람은 죽으나 자아(自我)는 없어지지 않으며, 5온은 과거나 미래에 상주(常住) 불변하여 간단(間斷)하는 일이 없다고 고집하는 그릇된 견해. 단견(斷見)에 대(對)가 됨.
주023)
주(住)혼:머무른. 주(住)한. 住-+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24)
젼라:까닭이다. 젼[故](명사, 평-거)+이/ㅣ(서술격)+다/라. 서술격조사 ‘이-’와 선어말어미 ‘-오/우-, -니-, -리-, -더-, -지-’ 등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주025)
다론(多論):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毘尼毘婆沙) 또는 살바다론(薩婆多論)의 준말로 십송률(十誦律)의 비구계를 해석한 것임.
주026)
치:추위를. 치[寒](명사, 거-평)+. 이는 ‘칩-[寒](형용사, 거성)+/ 의(부사 파생접미사)’로 이루어졌으나, 이와 달리 ‘칩-+위→치’도 『석보상절』〈9:9ㄴ〉에 ‘모 벌에며 더 치로 셜다가 내 일후믈 드러 닛디 아니야’와 같이 씌었으며, 또한 『능엄경언해』〈8:82ㄱ〉에는 ‘한 치위와 구든 어르미(積寒堅氷)’와 같이 ‘치’의 ‘ㅸ’ 소실형 ‘치위’로도 쓰였다.
주027)
리오:가리고. 리-[蔽](평-거, 동사)+고/오. ‘-오’는 어간말모음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ɦ〕로 표기된 것임.
주028)
오:옷은. 옷[衣]+(/으)ㄴ(보조사).
주029)
리다:가린다. 리-++다/라.
주030)
계단경(戒壇經):당나라 도선(道宣)선사가 지은 계단도경(戒壇圖經 1권)을 가리킴.
주031)
삼독(三毒):탐(탐욕), 진(분노), 치(어리석음)의 세 가지 번뇌.
주032)
오조(五條):‘조’가 다섯 줄인 가사.
주033)
탐심(貪心):탐을 내는 마음.
주034)
칠조(七條):‘조’가 일곱 줄인 가사.
주035)
중의(中衣):안다회의 다른 말.
주036)
진구(瞋口):노여움에 찬 말.
주037)
치심(癡心):말의 선악과 시비를 깨닫지 못하고 그것을 듣고 믿어버리는 마음.
‘치’는 불교에서 말하는 3독(毒)의 하나. 현상(現像)과 도리(道理)에 대하여 마음이 어두운 것, 인생의 고통 받는 근원과 모든 번뇌의 근본을 ‘치’라 함.
주038)
대품(大品):구마라습이 번역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을 이름.
주039)
십이두타(十二頭陀):두타는 번뇌의 티끌을 제거하고 의, 식, 주를 간단히 하여 불도를 수행하는 열두 가지 방법.
주040)
납의(納衣):세상 사람들이 내버린 낡은 헝겊을 모아서 누덕누덕 기워 만든 옷이란 뜻에서 스님들의 옷을 이르게 됨.
주041)
지론(智論):용수보살의 대지도론(大智度論, 구마라습의 번역)의 준말.
주042)
사교:새기되. 새겼으되. 사기-[釋](동사, 평-거)+(오/우). ‘사기-’는 동음이의어로 ‘각(刻)-’의 뜻도 있음. 어간의 반모음 ‘ㅣ’와 연결어미 ‘오’의 ‘오’가 동화되어 ‘교’로 나타남.
주043)
됴:좋은. 둏-[好](형용사, 상성)+(/으)ㄴ. 이는 17세기에 ㄷ구개음화로 ‘죻-’, 현대 국어에서 ‘좋-’으로 쓰이게 됨.
주044)
녀:다녀. 니-[行](평-거, 동사)+아/어. ‘니-’는 ‘-[走]+니-[行]’의 비통사적합성어임.
주045)
사명(邪命):정당하지 못한 수단으로 생활함.
주046)
러디니:떨어지니. 러디-[落](동사, 평-거-거)++니.
주047)
다가:하다가. 만일. 만약(萬若). 다가[若](부사, 거-평-거).
주048)
:남의. 다른 사람의. [者]+/의(관형격조사).
주049)
바면:받으면. 받-[受](동사, 평성)+(/으)면.
주050)
친착(親著):친착할. 親著-+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 ‘친착(親著)’은 친히 입음.
주051)
단월(檀越):dānapati. 보시(布施)를 행하는 사람.
주052)
츠기:측은히. 섭섭히. 츠기[恨](평-평, 부사). 이는 형용사 ‘측-[惻]’(평-평)에서 파생된 것으로 봄.
주053)
탐착(貪着):만족할 줄 모르고 사물에 더욱 집착함.
주054)
히니:땅이니. 곳이니. [地/處](ㅎ말음체언, 거성)+이/ㅣ+니.
주055)
적난(賊難):도적에게 재난을 당함.
주056)
시혹:혹시. 때로. 시혹(時或)(평-거, 부사).
주057)
앗이니:빼앗기니. 앗-[奪]+이(피동접미사)++니.
주058)
이러틋:이렇듯. 이러틋(거-평-거, 부사). 형용사 ‘이러-+듯’의 축약임.
주059)
시르미:시름이. 시름[憂](평-거, 명사)+이/ㅣ.
주060)
다:다만. 다[只](평-거, 부사), ‘다’(평-거)(다  큰 잀 因緣〈석상 13:48b〉)과 같이 씌었음.
주061)
져거:적어. 젹-[少]+아/어.
주062)
족(足):족함을. 만족함을. 足〔만족〕(거성, 명사). 이는 ‘足-(거-평, 형용사)’(자바 머구 믈 데 足 씨라〈석상 13:11ㄱ주〉와 같이 씌었음.
주063)
릴:가릴. 리-[蔽]+(/으)ㄹ(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64)
하디:많지. 하-[多]+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65)
젹디:적지. 젹-[小]+디(보조적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