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법장결집
  • 법장결집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장결집 2


[법장결집 2]
迦葉이 하 말로 닐오 부톄般涅槃 주001)
반열반(般涅槃):
열반과 같음. 완전한 열반. 부처님이 입적(入寂)함.
야

월인석보 25:4ㄱ

시
주002)
야시:
하시거늘. -+아/어/야+시+.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만은 ‘야’로 변화함. 이를 통해 ‘-’가 기원적으로는 ‘*-’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함.
주003)
법(法):
dharma. 달마(達磨)라 음역. 뜻은 그 자신의 본성(本性)을 유지하고 있는 것임.
아 弟子히 다 조차 주004)
조차:
따라. 좇-[從]+아/어.
滅度 주005)
멸도(滅度):
열반을 번역한 말.
니 佛法마 주006)
마:
이미. 장차. 마(부사).
滅릴 주007)
멸(滅)릴:
멸망할 것이므로. 滅-+리+ㄹ.
未來 衆生이 甚히 주008)
심(甚)히:
심하게. 甚-+이(부사파생접미사).
어엿버 주009)
어엿버:
가엾어. 불쌍하여. 어엿브-[憐]+아/어.
智慧眼 주010)
지혜안(智慧眼):
지혜로운 눈.
 일허 迷惑 주011)
미혹(迷惑):
도리(道理)에 어두운 것.
야 어득니 주012)
어득니:
어둑하니. 어득-[暝]+니.
우리히 佛敎 받  法藏 주013)
법장(法藏):
경전(經典)을 기리키는 말. 경전은 온갖 법의 진리를 갈무리하고 있으므로 이렇게 일걸음.
結集 주014)
결집(結集):
석존이 멸도한 뒤에 그 교법이 흩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부처님 제자들이 저마다 들은 것을 외워 내고, 그 바르고 그릇됨을 논의하고 기억을 새롭게 하여 정법을 편집한 일.
다 고 다히 주015)
다히:
뜻대로. [意]+다히(보조사).
滅度져 주016)
멸도(滅度)져:
멸도하자. 滅度-+져(청원의 종결어미).
迦葉

월인석보 25:4ㄴ

야 주017)
야:
가리어. -[擇]+아/어/야.
一千 사 어드니 阿難 주018)
아난(阿難):
Ānanda. 아난타(阿難陀). 줄여서 ‘아난’. 부처님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 무염(無染), 환희(歡喜), 경희(慶喜)라 번역. 석존의 4촌 동생으로 8세에 출가, 수행 중 미남인 탓으로 여자의 유혹이 여러 번 있었으나 지조가 굳어 뭄을 잘 다스려 수행을 완성함. 제자 중 다문(多聞) 제1로 불멸 후, 제1결집에서 대가섭을 중심으로 큰 위치를 차지함.
마오 주019)
마오:
말고. 말-[止]+고/오. ‘-오’는 어간 ㄹ음 아래서 ‘-고’의 ‘ㄱ’이 약화된〔ɦ〕 표기임.
羅漢이러니 주020)
나한(羅漢)이러니:
나한이더니. 羅漢+이(서술격조사)+더/러+니. ‘i/y’ 아래서 ‘ㄷ’이 ‘ㄹ’로 변동됨.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의 준말로 소승의 교법을 수행하는 성문(聲聞) 4과의 가장 윗자리임.
迦葉王舍城 주021)
왕사성(王舍城):
중인도 마갈타국의 서울.
에 가 阿闍世王 주022)
아사세왕(阿闍世王):
Ajātaśatru. 중인도 마갈타국의 왕. 태어나자마자 어려움을 겪은 왕자. 장성하여 태자가 된 후 석존의 사촌인 제바달다의 꾀임에 빠져 부왕을 죽이고 모후를 가두는 등 모진 짓을 했으나, 후에는 부처님께 귀의하여 교단의 외호자가 되어 불경 결집의 대사업을 완성함.
닐어 주023)
닐어:
일러. 니-[云]+아/어.
每日 밥 보내에 주024)
보내에:
보내게. 보내-[送]+게/에. ‘이’나 ‘ㅣ’ 아래에서 ‘ㄱ’이 약화된 표기임.
고 夏 三月을 安居 주025)
안거(安居):
스님들이 4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 한 곳에 모여 외출을 금하고 수행하는 제도.
더니 迦葉보 주026)
보:
보되. 보기를. 보-[見]+(오/우). 동사 어간이 ‘아, 어, 오, 우’로 끝났을 때 선어말어미 ‘-오/우-’는 드러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만(·보-→ :보·) 상성으로 변동됨.
주027)
뉘:
누가. 누[誰]+이/ㅣ(주격조사). ‘·뉘(거성)’은 주격조사 결합형, :뉘(상성)은 관형격조사 결합형임.
煩惱ㅣ 잇거뇨 주028)
잇거뇨:
있느냐? 잇-/이시-/시-+거/아/어+뇨(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고/오’가 후자의 경우는 ‘-가/아’가 사용된다. 여기서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 -뇨/니오’ 중에서 ‘뉘’라는 의문사와 호응되어 ‘뇨’로 나타난 것임.
오직 阿難 주029)
아난(阿難)이어늘:
아난이거늘. 阿難+이(서술격조사)+거늘(설명, 이유, 원인의 연결어미).
이어늘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迦葉以天語告言 般涅槃 諸知法弟子 皆隨滅度 佛法欲滅 未來衆生甚可怜愍 失智慧眼 愚癡盲冥 我等應當承用佛教 待結集法藏竟 隨意滅度 迦葉選得千人 唯除阿難皆得羅漢 (頻婆娑羅王 得道常勅宮中飯食千人 阿闍世王不斷是法) 迦葉(思惟 若常乞食 當有外道強來難問 廢闕法事) 到王舍城以事告王 王當給食 日日送來 夏三月安居 迦葉觀誰有煩惱 唯有阿難

[법장결집 2]
가섭이 하늘의 말로 이르되, “부처님이 반열반하시거늘, 법을 아는 제자들이 다 좇아서 멸도하니, 불법이 장차 멸망할 것이므로, 미래의 중생이 심히 가엾어 지혜안을 잃고 미혹하여 어둑하니, 우리들이 불교를 받들어서 법장을 결집을 다 하고서 뜻대로 멸도하자.” 가섭이 가리어 천 명을 얻으니, 아난이 말고 모두 나한이었는데, 가섭왕사성에 가서 아사세왕께 일러서 매일 밥을 보내게 하고 여름 석 달을 안거하더니, 가섭이 보되 “누가 번뇌가 있느냐?” 오직 아난뿐이거늘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반열반(般涅槃):열반과 같음. 완전한 열반. 부처님이 입적(入寂)함.
주002)
야시:하시거늘. -+아/어/야+시+.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만은 ‘야’로 변화함. 이를 통해 ‘-’가 기원적으로는 ‘*-’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함.
주003)
법(法):dharma. 달마(達磨)라 음역. 뜻은 그 자신의 본성(本性)을 유지하고 있는 것임.
주004)
조차:따라. 좇-[從]+아/어.
주005)
멸도(滅度):열반을 번역한 말.
주006)
마:이미. 장차. 마(부사).
주007)
멸(滅)릴:멸망할 것이므로. 滅-+리+ㄹ.
주008)
심(甚)히:심하게. 甚-+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9)
어엿버:가엾어. 불쌍하여. 어엿브-[憐]+아/어.
주010)
지혜안(智慧眼):지혜로운 눈.
주011)
미혹(迷惑):도리(道理)에 어두운 것.
주012)
어득니:어둑하니. 어득-[暝]+니.
주013)
법장(法藏):경전(經典)을 기리키는 말. 경전은 온갖 법의 진리를 갈무리하고 있으므로 이렇게 일걸음.
주014)
결집(結集):석존이 멸도한 뒤에 그 교법이 흩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부처님 제자들이 저마다 들은 것을 외워 내고, 그 바르고 그릇됨을 논의하고 기억을 새롭게 하여 정법을 편집한 일.
주015)
다히:뜻대로. [意]+다히(보조사).
주016)
멸도(滅度)져:멸도하자. 滅度-+져(청원의 종결어미).
주017)
야:가리어. -[擇]+아/어/야.
주018)
아난(阿難):Ānanda. 아난타(阿難陀). 줄여서 ‘아난’. 부처님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 무염(無染), 환희(歡喜), 경희(慶喜)라 번역. 석존의 4촌 동생으로 8세에 출가, 수행 중 미남인 탓으로 여자의 유혹이 여러 번 있었으나 지조가 굳어 뭄을 잘 다스려 수행을 완성함. 제자 중 다문(多聞) 제1로 불멸 후, 제1결집에서 대가섭을 중심으로 큰 위치를 차지함.
주019)
마오:말고. 말-[止]+고/오. ‘-오’는 어간 ㄹ음 아래서 ‘-고’의 ‘ㄱ’이 약화된〔ɦ〕 표기임.
주020)
나한(羅漢)이러니:나한이더니. 羅漢+이(서술격조사)+더/러+니. ‘i/y’ 아래서 ‘ㄷ’이 ‘ㄹ’로 변동됨.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의 준말로 소승의 교법을 수행하는 성문(聲聞) 4과의 가장 윗자리임.
주021)
왕사성(王舍城):중인도 마갈타국의 서울.
주022)
아사세왕(阿闍世王):Ajātaśatru. 중인도 마갈타국의 왕. 태어나자마자 어려움을 겪은 왕자. 장성하여 태자가 된 후 석존의 사촌인 제바달다의 꾀임에 빠져 부왕을 죽이고 모후를 가두는 등 모진 짓을 했으나, 후에는 부처님께 귀의하여 교단의 외호자가 되어 불경 결집의 대사업을 완성함.
주023)
닐어:일러. 니-[云]+아/어.
주024)
보내에:보내게. 보내-[送]+게/에. ‘이’나 ‘ㅣ’ 아래에서 ‘ㄱ’이 약화된 표기임.
주025)
안거(安居):스님들이 4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 한 곳에 모여 외출을 금하고 수행하는 제도.
주026)
보:보되. 보기를. 보-[見]+(오/우). 동사 어간이 ‘아, 어, 오, 우’로 끝났을 때 선어말어미 ‘-오/우-’는 드러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만(·보-→ :보·) 상성으로 변동됨.
주027)
뉘:누가. 누[誰]+이/ㅣ(주격조사). ‘·뉘(거성)’은 주격조사 결합형, :뉘(상성)은 관형격조사 결합형임.
주028)
잇거뇨:있느냐? 잇-/이시-/시-+거/아/어+뇨(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 의문법은 의문사가 있는 설명법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는 ‘-고/오’가 후자의 경우는 ‘-가/아’가 사용된다. 여기서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 -뇨/니오’ 중에서 ‘뉘’라는 의문사와 호응되어 ‘뇨’로 나타난 것임.
주029)
아난(阿難)이어늘:아난이거늘. 阿難+이(서술격조사)+거늘(설명, 이유, 원인의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