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9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9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9]
비 주001)
비:
빛은. 빛[色]+/은(보조사).
袈裟ㅣ 니라 주002)
가사(袈裟)ㅣ 니라:
가사와 같은 것이다. 袈裟+이/ㅣ(주격조사)#-[如]+니+라. 현대국어에서는 형용사 ‘-’가 ‘A가 B와 같다’를 지배하지만 중세국어에서는 지배를 받음.
十誦 주003)
십송(十誦):
십송률(十誦律)의 줄임. 61권. 후진의 불야다라와 나습이 공역함. 본래는 80송이던 것을 10송으로 줄인 것임.
새 주004)
새:
새 것은. 새[新]+(보조사). ‘새(거성)’은 명사, 관형사, 부사로 쓰임.
겨비오 주005)
겨비오:
겹이오. 겹[重]+이/ㅣ(서술격조사)+고/오.
닌 주006)
닌:
낡은 것은. 낡-[古]+(/으)니+Ø(주격조사)+(/으)ㄴ(보조사).
겨비니 오 주007)
오:
홑을. 홑 것을. 옺[單]+//ㄹ(목적격조사).
말라 鼻奈耶 주008)
비내야(鼻奈耶):
Vinaya. 비니(毘尼)라고도 쓰며, 율(律)이라 번역. 이는 부처님이 제자들을 위하여 마련한 계율의 총칭임.
애 닐오 緣을 두르라 주009)
두르라:
두르라. 두르-[圍]+라(명령법 종결어미).
五分律 주010)
오분율(五分律):
미사색부화혜오분율(彌沙塞部和醯五分律)의 주림. 30권. 불타습과 축도생이 공역함. ‘미사색부’는 소승 12부의 하나인데, 여기에 전하는 율임.
모로매 주011)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로매[須](부사, 평-거-거).
四角을 브티라 四分律에 새 짓고 모로매 근 거스로 縱廣 一榤手 브티라≪方 二尺이라≫ ◯ 漉水囊 주012)
녹수낭(漉水囊):
parisrāvaṇa. 발리살리벌나(鉢里薩哩伐拏)라 음역. 물을 마실 적에 물속에 있는 작은 벌레를 죽이지 않기 위해서 또는 티끌 같은 것을 없애기 위하여 물을 거르는 주머니를 이름.
므레 주013)
므레:
물에. 믈[水]+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4)
거리:
거르는. 거리-[漉]+(관형사형 연결어미).
거리 주015)
거리:
건지는. 거르는. 거리-[漉]+(관형사형 연결어미).
치라 주016)
치라:
주머니다. [囊]+이(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四分律에 漉袋 주017)
녹대(漉袋):
녹수낭과 같음. parisrāvaṇa. 발리살리벌나(鉢里薩哩伐拏)라 음역. 물을 마실 적에 물속에 있는 작은 벌레를 죽이지 않기 위해서 또는 티끌 같은 것을 없애기 위하여 물을 거르는 주머니를 이름.
업시

월인석보 25:57ㄱ

由旬 주018)
유순(由旬):
yojana. 인도의 거리의 단위로 약 6마일. 옛날 제왕이 하루에 행군하는 거리.
녀디 주019)
녀디:
가지. 녀-[行]+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말라≪ 주020)
대(袋):
자루. 부대. 주머니[袋]〈능엄 8:106ㄴ〉.
주021)
낭(囊):
주머니. 자루. 호주머니. 쟈  袋〈훈몽 중:13〉.
이라≫ 업거든 僧伽梨ㅅ 귀 주022)
승가리(僧伽梨)ㅅ 귀:
승가리의 귀퉁이. 가사의 모서리. 僧伽梨+ㅅ(관형격조사)+귀.
로 거리라 薩婆多 주023)
살바다(薩婆多):
‘살바다’는 소승 20부의 한 학파이나, 여기서는 책 이름으로 쓰인 것으로 보아서 ‘살바다론, 다론’의 원 제명인 『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毘尼毘婆沙)』를 가리키는 것으로 봄. 이 책은 9권으로 역자 미상이며, 소승(小乘)의 율부(律部)로 『십송률(十誦律)』을 해석한 것임.
애 닐오 住處 주024)
주처(住處):
머무를 곳.
로리라 주025)
로리라:
만드리라. -[作]+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라(설명법 종결어미).
딘댄 주026)
딘댄:
할 것이면. -+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ㄴ댄(조건의 연결어미).
몬져 므레 주027)
므레:
물에. 믈[水]+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벌에 주028)
벌에:
벌레. 벌에[蟲]+Ø(주격조사).
잇가 보 주029)
보:
보되. 보-[見]+(오/우)(양보, 설명의 연결어미). 이는 어간의 모음 ‘아, 어, 오, 우’ 아래서 ‘-오/우-’는 드러나지 않으므로 어간 ‘보-’의 성조가 상성으로 변동되어 ‘:보-’로 됨.
잇거든 다 우므를 주030)
우므를:
우물을. 우믈[井]+을(목적격조사).
로리니  주031)
:
오히려. 여전히. 이내. [猶](평-거, 부사).
잇거든 리고 가라 그러나 므리며 무티며 주032)
무티며:
뭍이며. 뭍[陸]+이/ㅣ(서술격조사)+며.
虛空界 주033)
허공계(虛空界):
진여(眞如). 무색, 무형이고 일체 만유(萬有)를 포괄하는 경계.
有情 주034)
유정(有情):
당나라 현장(玄奘)스님 이전은 ‘중생(衆生)’으로 변역하던 것을 그 이후 ‘유정’으로 옮겼음. 뜻은 일체 살아 있는 모든 것을 이름.
브튼 주035)
브튼:
붙은. 의지하는. 속한. 븥-[依]+은(관형사형 연결어미).
히니 中에 鹿ᄯᅮㅭ것 주036)
ᄯᅮㅭ것:
뜰 것. 뜨는 것. -[挹]+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것(의존명사).
肉眼 주037)
육안(肉眼):
맨 눈의. 맨 눈이. 肉眼+(관형격조사). 여기서는 주어적 관형격으로 쓰임.
보 주038)
보:
봄을. 보는 것을. 보-+옴/움+. 여기서도 어간 모음 ‘오-’ 아래서 ‘-오/우-’가 드러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만 변동됨(:보-).
브터 디니며 犯호 論 미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미상)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9]
◯ 빛은 가사와 같은 것이다. 『십송』에 ‘새 것은 두 겹이고 낡은 것은 네 겹이니 홑옷을 〈짓지〉 말라.’ 『비내야』에 이르기를, ‘연을 두르라.’ 『오분율』에 “모름지기 사각을 붙여라.”고 했다. 『사분율』에 “새 것을 짓고 모름지기 낡은 것으로 세로 너비를 1걸수를 붙여라.”고 했다. ≪사방 2척이다.≫ ◯ ‘녹수낭’은 물 거르는 주머니이다. 『사분율』에 녹대 없이 반 유순을 가지 말라. ≪‘대’는 낭이다.≫ 없으면 승가리의 귀로 거르라. 『살바다』에 이르기를 ‘머물 곳을 만드리라.’ 하면 먼저 물에 벌레 있는가 보되, 있으면 다른 우물을 만들 것이니, 여전히 〈벌레가〉 있으면 버리고 가라. 그러나 물이며 뭍이며 허공계가 다 유정이 의지하는(사는) 땅이니, 『율』 중에 녹낭에 뜰 것과 육안의 봄을 의지해 지니며 범함을 논할 따름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비:빛은. 빛[色]+/은(보조사).
주002)
가사(袈裟)ㅣ 니라:가사와 같은 것이다. 袈裟+이/ㅣ(주격조사)#-[如]+니+라. 현대국어에서는 형용사 ‘-’가 ‘A가 B와 같다’를 지배하지만 중세국어에서는 지배를 받음.
주003)
십송(十誦):십송률(十誦律)의 줄임. 61권. 후진의 불야다라와 나습이 공역함. 본래는 80송이던 것을 10송으로 줄인 것임.
주004)
새:새 것은. 새[新]+(보조사). ‘새(거성)’은 명사, 관형사, 부사로 쓰임.
주005)
겨비오:겹이오. 겹[重]+이/ㅣ(서술격조사)+고/오.
주006)
닌:낡은 것은. 낡-[古]+(/으)니+Ø(주격조사)+(/으)ㄴ(보조사).
주007)
오:홑을. 홑 것을. 옺[單]+//ㄹ(목적격조사).
주008)
비내야(鼻奈耶):Vinaya. 비니(毘尼)라고도 쓰며, 율(律)이라 번역. 이는 부처님이 제자들을 위하여 마련한 계율의 총칭임.
주009)
두르라:두르라. 두르-[圍]+라(명령법 종결어미).
주010)
오분율(五分律):미사색부화혜오분율(彌沙塞部和醯五分律)의 주림. 30권. 불타습과 축도생이 공역함. ‘미사색부’는 소승 12부의 하나인데, 여기에 전하는 율임.
주011)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로매[須](부사, 평-거-거).
주012)
녹수낭(漉水囊):parisrāvaṇa. 발리살리벌나(鉢里薩哩伐拏)라 음역. 물을 마실 적에 물속에 있는 작은 벌레를 죽이지 않기 위해서 또는 티끌 같은 것을 없애기 위하여 물을 거르는 주머니를 이름.
주013)
므레:물에. 믈[水]+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4)
거리:거르는. 거리-[漉]+(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5)
거리:건지는. 거르는. 거리-[漉]+(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6)
치라:주머니다. [囊]+이(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7)
녹대(漉袋):녹수낭과 같음. parisrāvaṇa. 발리살리벌나(鉢里薩哩伐拏)라 음역. 물을 마실 적에 물속에 있는 작은 벌레를 죽이지 않기 위해서 또는 티끌 같은 것을 없애기 위하여 물을 거르는 주머니를 이름.
주018)
유순(由旬):yojana. 인도의 거리의 단위로 약 6마일. 옛날 제왕이 하루에 행군하는 거리.
주019)
녀디:가지. 녀-[行]+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20)
대(袋):자루. 부대. 주머니[袋]〈능엄 8:106ㄴ〉.
주021)
낭(囊):주머니. 자루. 호주머니. 쟈  袋〈훈몽 중:13〉.
주022)
승가리(僧伽梨)ㅅ 귀:승가리의 귀퉁이. 가사의 모서리. 僧伽梨+ㅅ(관형격조사)+귀.
주023)
살바다(薩婆多):‘살바다’는 소승 20부의 한 학파이나, 여기서는 책 이름으로 쓰인 것으로 보아서 ‘살바다론, 다론’의 원 제명인 『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毘尼毘婆沙)』를 가리키는 것으로 봄. 이 책은 9권으로 역자 미상이며, 소승(小乘)의 율부(律部)로 『십송률(十誦律)』을 해석한 것임.
주024)
주처(住處):머무를 곳.
주025)
로리라:만드리라. -[作]+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26)
딘댄:할 것이면. -+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ㄴ댄(조건의 연결어미).
주027)
므레:물에. 믈[水]+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8)
벌에:벌레. 벌에[蟲]+Ø(주격조사).
주029)
보:보되. 보-[見]+(오/우)(양보, 설명의 연결어미). 이는 어간의 모음 ‘아, 어, 오, 우’ 아래서 ‘-오/우-’는 드러나지 않으므로 어간 ‘보-’의 성조가 상성으로 변동되어 ‘:보-’로 됨.
주030)
우므를:우물을. 우믈[井]+을(목적격조사).
주031)
:오히려. 여전히. 이내. [猶](평-거, 부사).
주032)
무티며:뭍이며. 뭍[陸]+이/ㅣ(서술격조사)+며.
주033)
허공계(虛空界):진여(眞如). 무색, 무형이고 일체 만유(萬有)를 포괄하는 경계.
주034)
유정(有情):당나라 현장(玄奘)스님 이전은 ‘중생(衆生)’으로 변역하던 것을 그 이후 ‘유정’으로 옮겼음. 뜻은 일체 살아 있는 모든 것을 이름.
주035)
브튼:붙은. 의지하는. 속한. 븥-[依]+은(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36)
ᄯᅮㅭ것:뜰 것. 뜨는 것. -[挹]+오/우+ㅭ(관형사형 연결어미)+것(의존명사).
주037)
육안(肉眼):맨 눈의. 맨 눈이. 肉眼+(관형격조사). 여기서는 주어적 관형격으로 쓰임.
주038)
보:봄을. 보는 것을. 보-+옴/움+. 여기서도 어간 모음 ‘오-’ 아래서 ‘-오/우-’가 드러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만 변동됨(: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