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법장결집
  • 법장결집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장결집 1


[법장결집 1]
〔역자 주〕※ 1ㄱ~2ㄴ : 낙장: 원래대로라면 1행에 ‘月印千江之曲 第二十五’, 2행에 ‘釋譜詳節 第二十五’가 있었을 것이고, 3행부터 내용이 시작되었을 것이다.
〈부〉

월인석보 25:3ㄱ

주001)
〈부〉톄:
부처님이. 부처님께서. 부텨[佛](평-평)+이/ㅣ/Ø(주격조사)→부:테. 2음절의 평성 ‘텨’에 거성의 주격조사 ‘-·이/-ㅣ’가 통합되면 상성의 ‘:톄’로 변동되었음. ‘-이’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는 ‘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이중모음의 부음 ‘-ㅣ’로 끝나면 Ø(영형태)로 드러나지 않았음.
世世 주002)
세세(世世):
대대. 대대로. ‘世世’(명사, 부사).
브즈러니 주003)
브즈러니:
부지런히. ‘브즈런-+이(부사 파생 접미사)→브즈런히〈선가:34ㄱ〉’도 씌었음.
受苦 주004)
수고(受苦):
괴로움을 받음. 저경 ‘브즈러니 受苦샤’(…佛世世勤苦 慈悲衆生學得是法…)를 참고하여 ‘근고(勤苦)’의 뜻으로 풀이함.〈經律異相 권13, 迦葉結集三藏黜斥阿難使盡餘漏 3〉
샤 衆生게 주005)
중생(衆生)게:
중생에게. 衆生+게/의게. ‘중생(衆生)’은 ‘목숨 있는 것. 이 세상에 生을 얻은 것’을 뜻함.
慈悲 주006)
자비(慈悲):
불·보살이 중생을 측은히 여기고 동정하는 마음.
샤 이 法을 得샤  爲야 니시니 주007)
니시니:
이르시니. 니-[云]+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이유, 설명의 연결어미).
우리도 받 주008)
받:
받들어.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09)
:
그것을 가지고. 그런 까닭으로. (부사). 본시 동사 ‘-+아/어’로 활용되던 것이 어휘화한 것임.
敎化 여루리라 주010)
여루리라:
열리라. 열-[開]+오/우+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고 須彌山 주011)
수미산(須彌山):
Sumeru-paravata. 묘고산(妙高山). 불교의 우주관에 따르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산.
頂에 올아 주012)
올아:
올라. 오-[登]+아/어. 어간의 모음 ‘·’는 모음어미 앞에서 탈락됨.
犍椎 주013)
건추(犍椎):
ghanṇṭā. 음역. 종, 반(磐), 타수(打水), 성명(聲鳴)으로 한역. 종, 목탁, 방울, 북 등 시간을 알리는 나무로 만든 기구.
티고 주014)
티고:
치고. 티-[打]+고/오(나열의 연결어미). ‘-오’는 어간말모음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ɦ〕로 표기된 것임.
주015)
게(偈):
gāthā의 음역. 게송(偈頌). 경(經)·논(論) 중에서 부처의 사상을 싯귀로 말함 또는 불·보살의 덕을 기린 싯귀.
 닐오 諸佛 주016)
제불(諸佛):
모든 부처님.
弟子ㅣ 부텨를 念□□□

월인석보 25:3ㄴ

〔기〕 주017)
반기:
이 부분은 앞장의 맨 끝 4자가 떨어져 나가고, 이장의 첫줄 두 글자에서 오른 편 부분이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문맥으로 보아 ‘반·기’임이 확실하여 ‘반·기[當](부사)’로 복원하여 ‘마땅히’로 풀이함.
부텻 주018)
부텻:
부처님의. 부텨+ㅅ(관형격조사). ‘ㅅ’은 유정물의 존칭이나 무정물에 쓰이고, 평칭의 인칭 체언에는 모음조화에 따라 ‘-/의’가 씌었음.
恩惠 갑 디니 涅槃 주019)
열반(涅槃):
nirvāṇa. 적멸(寂滅), 멸도(滅度), 원적(圓寂)이라 번역함. 모든 번뇌의 속박에서 해탈하고 진리를 궁구하여 미(迷)한 생사를 초월해서 불생불명(不生不滅)의 법을 체득한 경지.
드디 주020)
드디:
들니. 들-[入]+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말라 주021)
말라:
말아라. 말라. 말-[禁]+(으)라.
야 주022)
야:
하거늘. -[爲]+(거/아/어/).
이 犍推 소리와 迦葉 주023)
가섭(迦葉):
대가섭. Mahakasyapa. 부처님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 두타(頭陀) 제1. 석존이 성도한 후에 부처님께 귀의한 뒤에 심인(心印)을 전해 받았다. 석존 입멸 후 5백 아라한을 데리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모아 제1결집의 우두머리가 됨.
의 마리 三千大千世界예 주024)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예:
삼천대천세계에. ‘-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모음일 때 ‘-애’, 음성모음일 때 ‘-에’, 이중모음의 부음(ㅣ)일 때 ‘-예’가 씌었음.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는 불교의 우주관에서 이르는 말로, 수미산(須彌山)의 사방에 있는 사대주(四大洲)를 천 개 합한 것을 소천세계(小千世界)라 하고, 이 소천세계를 다시 천 개 합한 것을 중천세계(中千世界), 또 이 중천세계를 천 개 합한 것을 대천세계(大千世界)라 하는데, 이 하나의 대천세계를 ‘삼천대천세계’ 또는 ‘삼천세계’라고도 함.
다 가 神力 주025)
신력(神力):
신통력. 불보살이 가지고 있는 불가사의한 작용.
得 弟子히 주026)
제자(弟子)히:
제자들이. 弟子+(복수접미사)+이. ‘’은 ‘ㅎ’ 말음으로 ‘-히, -, 로, -콰’로 씌었음.
迦葉의게 몯거늘 주027)
몯거늘:
모이거늘. 몯-[會]+거늘.
畢鉢羅窟 주028)
필발라굴(畢鉢羅窟):
중인도 마갈타국 왕사성 가까운 곳에 있는 굴.
이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주029)
*〔저경〕:
원문에는 없지만, 월인석보 내용에 해당하는 저경(底經)을 찾아 보임으로써 언해문과 비교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저경의 출처는 해당 인용문 끝나는 곳에 밝혀 두었다.
佛世世勤苦 慈悲衆生學得是法 爲人顯說 我等亦應承用開化 昇須彌山頂 鳴鍾揵搥 而說偈言 諸佛弟子 若念於佛 當報佛恩 莫入涅槃 是揵搥音 及迦葉語 聲遍至三千大千世界 皆悉聞知 諸有弟子得神力者 集迦葉

[법장결집 1]
...〈부〉처님께서 대대로 부지런히 괴로움을 받으시어서(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써서) 중생에게 자비하시고 이 법을 얻으시어(득도하시어) 남을 위하여 이르시니(설법하시니), 우리도 이를 받들어서 교화를 열리라(시작하리라).” 하고, 수미산 정상에 올라서 건추를 치고, 게를 이르되, “모든 부처님의 제자가 부처님을 염하□□□ (마)땅히 부처님의 은혜를 갚을(갚아야 할) 것이니, 열반에 들지 말라 하거늘, 이 건추 소리와 가섭의 말이 삼천대천세계에 다 가서 신통한 힘을 얻은 제자들이 가섭에게 모이거늘필발라굴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톄:부처님이. 부처님께서. 부텨[佛](평-평)+이/ㅣ/Ø(주격조사)→부:테. 2음절의 평성 ‘텨’에 거성의 주격조사 ‘-·이/-ㅣ’가 통합되면 상성의 ‘:톄’로 변동되었음. ‘-이’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는 ‘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이중모음의 부음 ‘-ㅣ’로 끝나면 Ø(영형태)로 드러나지 않았음.
주002)
세세(世世):대대. 대대로. ‘世世’(명사, 부사).
주003)
브즈러니:부지런히. ‘브즈런-+이(부사 파생 접미사)→브즈런히〈선가:34ㄱ〉’도 씌었음.
주004)
수고(受苦):괴로움을 받음. 저경 ‘브즈러니 受苦샤’(…佛世世勤苦 慈悲衆生學得是法…)를 참고하여 ‘근고(勤苦)’의 뜻으로 풀이함.〈經律異相 권13, 迦葉結集三藏黜斥阿難使盡餘漏 3〉
주005)
중생(衆生)게:중생에게. 衆生+게/의게. ‘중생(衆生)’은 ‘목숨 있는 것. 이 세상에 生을 얻은 것’을 뜻함.
주006)
자비(慈悲):불·보살이 중생을 측은히 여기고 동정하는 마음.
주007)
니시니:이르시니. 니-[云]+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이유, 설명의 연결어미).
주008)
받:받들어.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09)
:그것을 가지고. 그런 까닭으로. (부사). 본시 동사 ‘-+아/어’로 활용되던 것이 어휘화한 것임.
주010)
여루리라:열리라. 열-[開]+오/우+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주011)
수미산(須彌山):Sumeru-paravata. 묘고산(妙高山). 불교의 우주관에 따르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산.
주012)
올아:올라. 오-[登]+아/어. 어간의 모음 ‘·’는 모음어미 앞에서 탈락됨.
주013)
건추(犍椎):ghanṇṭā. 음역. 종, 반(磐), 타수(打水), 성명(聲鳴)으로 한역. 종, 목탁, 방울, 북 등 시간을 알리는 나무로 만든 기구.
주014)
티고:치고. 티-[打]+고/오(나열의 연결어미). ‘-오’는 어간말모음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ɦ〕로 표기된 것임.
주015)
게(偈):gāthā의 음역. 게송(偈頌). 경(經)·논(論) 중에서 부처의 사상을 싯귀로 말함 또는 불·보살의 덕을 기린 싯귀.
주016)
제불(諸佛):모든 부처님.
주017)
반기:이 부분은 앞장의 맨 끝 4자가 떨어져 나가고, 이장의 첫줄 두 글자에서 오른 편 부분이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문맥으로 보아 ‘반·기’임이 확실하여 ‘반·기[當](부사)’로 복원하여 ‘마땅히’로 풀이함.
주018)
부텻:부처님의. 부텨+ㅅ(관형격조사). ‘ㅅ’은 유정물의 존칭이나 무정물에 쓰이고, 평칭의 인칭 체언에는 모음조화에 따라 ‘-/의’가 씌었음.
주019)
열반(涅槃):nirvāṇa. 적멸(寂滅), 멸도(滅度), 원적(圓寂)이라 번역함. 모든 번뇌의 속박에서 해탈하고 진리를 궁구하여 미(迷)한 생사를 초월해서 불생불명(不生不滅)의 법을 체득한 경지.
주020)
드디:들니. 들-[入]+디(보조적 연결어미). ‘-디’는 부정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현대국어의 ‘-지’에 소급되는 형태임.
주021)
말라:말아라. 말라. 말-[禁]+(으)라.
주022)
야:하거늘. -[爲]+(거/아/어/).
주023)
가섭(迦葉):대가섭. Mahakasyapa. 부처님 10대 제자 중의 한 사람. 두타(頭陀) 제1. 석존이 성도한 후에 부처님께 귀의한 뒤에 심인(心印)을 전해 받았다. 석존 입멸 후 5백 아라한을 데리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모아 제1결집의 우두머리가 됨.
주024)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예:삼천대천세계에. ‘-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모음일 때 ‘-애’, 음성모음일 때 ‘-에’, 이중모음의 부음(ㅣ)일 때 ‘-예’가 씌었음.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는 불교의 우주관에서 이르는 말로, 수미산(須彌山)의 사방에 있는 사대주(四大洲)를 천 개 합한 것을 소천세계(小千世界)라 하고, 이 소천세계를 다시 천 개 합한 것을 중천세계(中千世界), 또 이 중천세계를 천 개 합한 것을 대천세계(大千世界)라 하는데, 이 하나의 대천세계를 ‘삼천대천세계’ 또는 ‘삼천세계’라고도 함.
주025)
신력(神力):신통력. 불보살이 가지고 있는 불가사의한 작용.
주026)
제자(弟子)히:제자들이. 弟子+(복수접미사)+이. ‘’은 ‘ㅎ’ 말음으로 ‘-히, -, 로, -콰’로 씌었음.
주027)
몯거늘:모이거늘. 몯-[會]+거늘.
주028)
필발라굴(畢鉢羅窟):중인도 마갈타국 왕사성 가까운 곳에 있는 굴.
주029)
*〔저경〕:원문에는 없지만, 월인석보 내용에 해당하는 저경(底經)을 찾아 보임으로써 언해문과 비교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저경의 출처는 해당 인용문 끝나는 곳에 밝혀 두었다.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