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6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6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6]
鉢多羅 주001)
발다라(鉢多羅):
pātra. 발(鉢)로 줄임. 번역하여 응기(應器), 응량기(應量器)라 하는데, 비구가 쓰는 밥그릇.
應器 주002)
응기(應器):
pātra. 6 물의 하나로, ‘발다라’를 번역한 말임. 흔히 절에서는 ‘바루’라 함.
혼 마리니 주003)
혼 마리니:
하는 말이니. -+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말[言]+이(서술격조사)+니.
法에 마 주004)
마:
맞은. 맞는. 맞-[適]+/ㄴ(관형사형 연결어미).
그르시니 주005)
그르시니:
그릇이니. 그릇[器]+이(서술격조사)+니.
體와 色과 量과 다 모로매 주006)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로매[須](평-거-거, 부사).
法에 마디니 주007)
마디니:
맞을 것이니. 맞-[適]+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의존명사 ‘’와 주격조사 ‘이’가 통합되면 ‘디’로 나타남.
體 大槩ㅣ 주008)
대개(大槩)ㅣ:
대개가. 大槩+이/ㅣ(주격조사). ‘대개(거-거)’는 명사, 부사로 모두 사용됨.
둘히니 주009)
둘히니:
둘이니. 둘ㅎ(ㅎ말음체언)+이(서술격조사)+니.
과 鐵왜라 비츤 주010)
비츤:
빛은. 빛[色]+은/(보조사).
그려 주011)
그려:
그슬리어. 그슬게 하여. 그리-[煤]++아/어. 이는 사동사로 쓰인 것이나, 이 동사가 파생되려면, 당연히 ‘그-’를 전제해야 할 것인데, 문헌에 이 ‘그-’의 활용형이 보이지 않음. 이 사동사의 용례도 사전에 제일 먼저 실어야 할 것임.
黑赤色 주012)
흑적색(黑赤色):
검붉은 빛깔.
어나 주013)
어나:
만들거나. -[造]+거나/어나(연결어미). ‘ㄹ’어간 다음에서 ‘ㄱ’이 약화되어 ‘어나’로 나타남. 이때의 ‘ㅇ’은 유성후두마찰음〔ɦ〕 ‘ㅇ’으로 음가가 있는 자음이므로 ‘러나’로 연철되지 않음.
시혹 孔雀 목 비치어나 주014)
비치어나:
빛이거나. 빛[色]+이(서술격조사)+거나/어나.
鴿色이어나 라≪鴿 뎌도리라 주015)
뎌도리라:
집비둘기이다. 뎌도리[鴿]+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 量 크니 주016)
크니:
큰 것은. 크-[大]+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서마 주017)
서마:
서 말을. 서[三]#말[斗]+(목적격조사). 기수사 ‘, 둟, 셓, 넿, 다’에서 파생된 관형사 ‘, 두, 서(세, 석), 네(너, 넉), 대(다, 닷)’이 쓰임.
받고 주018)
받고:
받고. 받-[受]+고.
≪周ㅅ 말론 주019)
말론:
말로는. 말[言]+로(부사격조사)+ㄴ(보조사).
서 말이오 唐ㅅ 말론  마리라≫

월인석보 25:55ㄱ

져그닌 주020)
져그닌:
작은 것은. 젹-[小]+은/(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말아오 주021)
말아오:
말가웃을. 〈한〉 말 반을. 말[斗]+아옫+(목적격조사).
받니 주022)
받니:
받느니. 받-[受]+(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ㅅ 말론 닷되라≫中品 주023)
중품(中品):
품질이 중질인 물건.
아 디니라 주024)
아 디니라:
알 것이다. 알-[知]+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미상)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6]
◯ ‘발다라’는 ‘응기’라는 말이니. 법에 맞는 그릇이니, 몸체(재료)와 빛깔과 용량이 다 모름지기 법에 맞을(맞아야 할) 것이니, 재료는 대개가 두 가지이니, 흙과 쇠이다. 빛깔은 그슬려 흑적색을 만들거나 혹은 공작새의 목 빛깔이나 비둘기 색을 만들라.≪‘합’은 집비둘기이다.≫ 용량이 큰 것은 서 말을 받고(담을 수 있고),≪주나라의 말로는 서〔三〕 말이고, 당나라의 말로는 한〔一〕 말이다.≫ 작은 것은 〈한〉 말가웃을 받으니(담으니)≪당나라 말로는 닷 되이다.≫ 중품은 〈미루어〉 알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발다라(鉢多羅):pātra. 발(鉢)로 줄임. 번역하여 응기(應器), 응량기(應量器)라 하는데, 비구가 쓰는 밥그릇.
주002)
응기(應器):pātra. 6 물의 하나로, ‘발다라’를 번역한 말임. 흔히 절에서는 ‘바루’라 함.
주003)
혼 마리니:하는 말이니. -+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 연결어미)+말[言]+이(서술격조사)+니.
주004)
마:맞은. 맞는. 맞-[適]+/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5)
그르시니:그릇이니. 그릇[器]+이(서술격조사)+니.
주006)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로매[須](평-거-거, 부사).
주007)
마디니:맞을 것이니. 맞-[適]+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의존명사 ‘’와 주격조사 ‘이’가 통합되면 ‘디’로 나타남.
주008)
대개(大槩)ㅣ:대개가. 大槩+이/ㅣ(주격조사). ‘대개(거-거)’는 명사, 부사로 모두 사용됨.
주009)
둘히니:둘이니. 둘ㅎ(ㅎ말음체언)+이(서술격조사)+니.
주010)
비츤:빛은. 빛[色]+은/(보조사).
주011)
그려:그슬리어. 그슬게 하여. 그리-[煤]++아/어. 이는 사동사로 쓰인 것이나, 이 동사가 파생되려면, 당연히 ‘그-’를 전제해야 할 것인데, 문헌에 이 ‘그-’의 활용형이 보이지 않음. 이 사동사의 용례도 사전에 제일 먼저 실어야 할 것임.
주012)
흑적색(黑赤色):검붉은 빛깔.
주013)
어나:만들거나. -[造]+거나/어나(연결어미). ‘ㄹ’어간 다음에서 ‘ㄱ’이 약화되어 ‘어나’로 나타남. 이때의 ‘ㅇ’은 유성후두마찰음〔ɦ〕 ‘ㅇ’으로 음가가 있는 자음이므로 ‘러나’로 연철되지 않음.
주014)
비치어나:빛이거나. 빛[色]+이(서술격조사)+거나/어나.
주015)
뎌도리라:집비둘기이다. 뎌도리[鴿]+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이며, 분포는 상보적임.
주016)
크니:큰 것은. 크-[大]+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주017)
서마:서 말을. 서[三]#말[斗]+(목적격조사). 기수사 ‘, 둟, 셓, 넿, 다’에서 파생된 관형사 ‘, 두, 서(세, 석), 네(너, 넉), 대(다, 닷)’이 쓰임.
주018)
받고:받고. 받-[受]+고.
주019)
말론:말로는. 말[言]+로(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020)
져그닌:작은 것은. 젹-[小]+은/(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21)
말아오:말가웃을. 〈한〉 말 반을. 말[斗]+아옫+(목적격조사).
주022)
받니:받느니. 받-[受]+(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23)
중품(中品):품질이 중질인 물건.
주024)
아 디니라:알 것이다. 알-[知]+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