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교량(橋梁)
  • 이 칠사마를 모시고 조강 위에 죽교 만드는 것을 보니, 그날 바로 이루어져 왕래하는 사람이 겨울 추위에 물에 들어가는 것을 면하게 되었으니, 이에 제목 달아 짧게 지어 이공에게 보내노라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 칠사마를 모시고 조강 위에 죽교 만드는 것을 보니, 그날 바로 이루어져 왕래하는 사람이 겨울 추위에 물에 들어가는 것을 면하게 되었으니, 이에 제목 달아 짧게 지어 이공에게 보내노라


李七司馬(皂) 주001)
이 칠사마(李七司馬)
이씨 성을 가진 사마관. 촉주(蜀州) 사마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사마는 고대 중국에서 군사와 운수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이다. 당시 이칠 사마는 조강(皂江) 위에 죽교(竹橋)를 만들어 백성들의 불편을 해소해 주고 있었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촉주(蜀州)에 있었다.
야 皂江 주002)
조강(皂江)
지금의 사천성 금마하(金馬河)라고 한다. 제목에서는 한글토가 ‘조(皂)’와 ‘강(江)’을 분리하고 있다. 오류인 것으로 여겨진다.
上애 觀造竹橋호니 卽日成야 往來之人이 免冬寒애 入水 聊題短作야 簡李公노라

배리칠사마
(조)야 조강상애 관조죽교호니 즉일성야 왕래지인이 면동한애 입수 요제단작야 간리공노라(이 칠사마를 모시고 조강 위에 죽교 만드는 것을 보니, 그날 바로 이루어져 왕래하는 사람이 겨울 추위에 물에 들어가는 것을 면하게 되었으니, 이에 제목 달아 짧게 지어 이공에게 보내노라)

伐竹爲橋結構同 褰裳不涉往來通

대 버혀 주003)
대 버혀
대[竹]+(대격 조사)#버히[伐]-+-어(연결 어미). 대를 베어. 대나무를 베어. ¶내 울흘 이 헌  이 보타고 대 버혀 지여 괴오니(내 울타리를 이렇게 헌 데를 이렇게 보태고 대를 베어 의지하여 괴니)〈두시(초) 25:2ㄱ〉.
리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35ㄱ

로매 주004)
로매
[造]-+-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만듦에. 만드는 것에.
야 지믈 주005)
야 지믈
[結]-+-아(연결 어미)#[作, 構]-+-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매어 지음을. 매어 짓는 것을.
모다 주006)
모다
모두. 기원적으로는 ‘몯[集]-+-아(연결 어미)’가 부사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니 오 거두드러 주007)
오 거두드러
옷[衣]+(대격 조사)#거두[褰(건: 옷자락을 들어올리다)]-+들[擧]-+-어(연결 어미). 옷을 걷어들어. ¶光明마다 十方世界옛 念佛 衆生 다 비취샤 거두자바 리디 아니시니(광명마다 시방 세계의 염불하는 중생을 다 비추시어 거두어 잡아 버리지 아니하시니)〈월석 8:27ㄴ〉.
믈로 건나디 주008)
건나디
걷나[涉(섭)]-+-디(연결 어미). 건너지.
아니야 가며 오미 通도다

【한자음】 벌죽위교결구동 건상불섭왕래통
【언해역】 대나무를 베어 다리를 만듦에 매어 짓는 것을 모두 마치니, 옷을 걷어들고 물로 건너지 아니하여도 가며 오는 것이 통하도다.

天寒白鶴歸華表 日落靑龍見水中【橋前二柱曰華表ㅣ니 녜 白鶴이 集遼東華表柱니라 靑龍은 言橋影也ㅣ라】

하히 서늘커 주009)
서늘커
서늘[寒]+-(형용사 파생 접미사)-+-거늘(연결 어미). 서늘하거늘. 서늘해져서.
白鶴이 華表 주010)
화표(華表)
다리 앞의 두 기능.
도라오노소니 주011)
도라오노소니
돌[回]-+-아(연결 어미)#오[來]-+-노소니(연결 어미). 돌아오니. 돌아오는 것이니. ‘-노-’는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의 결합으로 다시 분석할 수 있고, ‘-소-’는 주어짐(확정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로 다시 분석할 수 있다.
주012)
백학(白鶴)이 화표(華表)애 도라오노소니
백학이 화표(華表)에 돌아오니. 『이원(異苑)』에는 진(晉)나라 태강(太康) 2년 겨울에 큰눈이 왔다고 한다. 남주(南州)의 사람이 전하는 이야기로는, 백학이 다리 아래에 와서 ‘지금 이 추위는 요가 망할 때까지 약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고 한다. 『수신후기(搜神後記)』에는 요동인인 정영위(丁令威)가 뒤에 학이 되어 성문의 화표(華表) 기둥에 왔다고 한다.〈한성무 외 (1997) 및 이영주 외(2005) 참조〉.
 디거든 주013)
 디거든
[日]#디[落]-+-거든(연결 어미). 해 지거든. 해 지면.
靑龍 주014)
청룡(靑龍)
다리의 그림자를 말한다고 한다.
을 믌 가온 보리로다
주015)
 디거든 청룡(靑龍)을 믌 가온 보리로다
해 지면 다리의 그림자를 물가운데서 볼 것이로다. 이 구절의 배후로는 『후한서(後漢書)』 비장방전(費長房傳)의 전설이 참고된다. 비장방은 선인을 따라 도를 배웠다. 그만두고 돌아갈 때, 선인은 그에게 대나무지팡이를 제공하여 타고 집으로 가게 하였다. 순식간에 집에 도착하고, 대나무지팡이는 용이 되어 돌아갔다고 한다. 〈한성무 외 (1997) 및 이영주 외(2005) 참조〉.

【한자음】 천한백학귀화표 일락청룡견수중【다리 앞의 두 기둥을 화표(華表)라 하니, 예전에 백학이 요동(遼東)의 화표 기둥에 모였다고 한다. 청룡은 다리 그림자를 말한다.】
【언해역】 하늘이 서늘하거늘 백학이 화표(華表)에 돌아오니, 해가 지면 청룡을 물 가운데서 볼 것이로다.

顧我老非題柱客 知君才是濟川功司馬相如 주016)
사마상여(司馬相如)
서한의 대사부가(大辭賦家). 자는 장경(長卿), 한족으로 촉군(蜀郡: 지금의 남충 봉안(南充蓬安)) 사람. 대표작으로 〈자허부(子虚赋)〉가 있다.
ㅣ 題昇仙橋柱事 見前註다 說命에 若濟巨川이어든 汝作舟楫이라 다 이 나 相如ㅣ  디 몯호니 그듸 傳說 도다 니시라】

나 도라본 주017)
도라본
돌[回]-+-아(연결 어미)#보[見]-+-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ᄂ(보조사). 돌아본대는. 돌아보건대.
늘거 기애 주018)
기애
기[柱]+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기둥에.
스 주019)
스
스[書, 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쓰는. ¶이 偈 스니 徒衆이 다 놀라 嗟嘆야 疑心 아니 리 업서(이 게를 쓰니 도중이 다 놀라 차탄하여 의심 아니할 사람 없어)〈육조 상:42ㄴ〉.
客이 아니로니 주020)
아니로니
아니[非]#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아니니. 아닌데.
그딋 조 이 내 건내 주021)
내 건내
내ㅎ[川]+(대격 조사)#건나[渡, 濟]-+-이(사동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내를 건너게 하는.
功인 디() 주022)
공(功)인 디
공(功)#이(지정 형용사)-+-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이(주격 조사). ‘-ㄴ디’는 주격 조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아노라’의 목적어로 보기 어렵다. ‘디’는 아마도 ‘’로 쓰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게 되면, ‘공(功)인 줄’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ㄴ디’가 어말 어미 ‘-ㄴ디’로 재구조화된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그 경우는 상위 동사가 ‘의심한다’와 같은 것이 되어야 한다.
아노라

【한자음】 고아로비제주객 지군재시제천공【사마 상여(相如)가 승선교(昇仙橋)의 기둥에 제한 일은 앞 주(231쪽 참조)에서 보았다. 『설명(說命)』에, 만약 큰 내를 건널 것이라면 너는 배의 노를 만들었다 하였다. 이는, 나는 상여(相如)의 뜻 같지 못하니, 그대는 전설 같도다 이르는 것이다.】
【언해역】 나를 돌아보건대 늙어 기둥에 쓰는 손[客]이 아니로되, 그대의 재주는 이 내를 건너게 하는 공(功)인 것을 아노라.

合歡却笑千年事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35ㄴ

驅石何時到海東【秦始皇이 欲作石橋東海ㅣ어 神人이 駈石下海니라 이 리 일어 歡飮야셔 笑駈石之事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모다 주023)
모다
몯[集, 合]-+-아(연결 어미). 모두. 모여.
즐겨셔 주024)
즐겨셔
즐기[歡]-+-어셔(연결 어미). 즐겨서. 즐겨.
도로 주025)
도로
돌[回]-+-오(부사 파생 접미사). 돌아. 뒤돌아. 뒤돌아보면서. ‘도로’가 ‘각(却)’에 대한 번역임을 고려하였다. 이전 것을 다시 하는 의미로는 문맥에 적합하지 않다.
즈믄  주026)
즈믄 
즈믄[千]#[年]+ㅅ(관형격 조사). 천년의.
이 웃노니 돌 모라 주027)
돌 모라
돌ㅎ[石]+(대격 조사)#몰[驅, 駈]-+-아(연결 어미). 돌을 몰아.
어느  주028)
어느 
어느[何]#[時]+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언제.
海東애 가니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합환각소천년사 구석하시도해동【진시황(秦始皇)이 동쪽 바다에 〈해 뜨는 것을 보려고〉 돌다리를 만들려 했는데, 신선[神人]이 있어 돌을 몰아 바다 밑으로 내려보냈다고 한다. 이는 〈지금〉 다리가 이루어지거늘 즐겁게 마시면서, 돌을 몰았다는 〈황당한 옛〉 일을 비웃은 것이다.】
【언해역】 모두 즐겨 뒤돌아보면서 천년의 일을 비웃노니, 돌을 몰아 언제 바다 동쪽에 가겠는가?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이 칠사마(李七司馬) : 이씨 성을 가진 사마관. 촉주(蜀州) 사마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사마는 고대 중국에서 군사와 운수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이다. 당시 이칠 사마는 조강(皂江) 위에 죽교(竹橋)를 만들어 백성들의 불편을 해소해 주고 있었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촉주(蜀州)에 있었다.
주002)
조강(皂江) : 지금의 사천성 금마하(金馬河)라고 한다. 제목에서는 한글토가 ‘조(皂)’와 ‘강(江)’을 분리하고 있다. 오류인 것으로 여겨진다.
주003)
대 버혀 : 대[竹]+(대격 조사)#버히[伐]-+-어(연결 어미). 대를 베어. 대나무를 베어. ¶내 울흘 이 헌  이 보타고 대 버혀 지여 괴오니(내 울타리를 이렇게 헌 데를 이렇게 보태고 대를 베어 의지하여 괴니)〈두시(초) 25:2ㄱ〉.
주004)
로매 : [造]-+-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만듦에. 만드는 것에.
주005)
야 지믈 : [結]-+-아(연결 어미)#[作, 構]-+-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매어 지음을. 매어 짓는 것을.
주006)
모다 : 모두. 기원적으로는 ‘몯[集]-+-아(연결 어미)’가 부사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07)
오 거두드러 : 옷[衣]+(대격 조사)#거두[褰(건: 옷자락을 들어올리다)]-+들[擧]-+-어(연결 어미). 옷을 걷어들어. ¶光明마다 十方世界옛 念佛 衆生 다 비취샤 거두자바 리디 아니시니(광명마다 시방 세계의 염불하는 중생을 다 비추시어 거두어 잡아 버리지 아니하시니)〈월석 8:27ㄴ〉.
주008)
건나디 : 걷나[涉(섭)]-+-디(연결 어미). 건너지.
주009)
서늘커 : 서늘[寒]+-(형용사 파생 접미사)-+-거늘(연결 어미). 서늘하거늘. 서늘해져서.
주010)
화표(華表) : 다리 앞의 두 기능.
주011)
도라오노소니 : 돌[回]-+-아(연결 어미)#오[來]-+-노소니(연결 어미). 돌아오니. 돌아오는 것이니. ‘-노-’는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의 결합으로 다시 분석할 수 있고, ‘-소-’는 주어짐(확정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로 다시 분석할 수 있다.
주012)
백학(白鶴)이 화표(華表)애 도라오노소니 : 백학이 화표(華表)에 돌아오니. 『이원(異苑)』에는 진(晉)나라 태강(太康) 2년 겨울에 큰눈이 왔다고 한다. 남주(南州)의 사람이 전하는 이야기로는, 백학이 다리 아래에 와서 ‘지금 이 추위는 요가 망할 때까지 약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고 한다. 『수신후기(搜神後記)』에는 요동인인 정영위(丁令威)가 뒤에 학이 되어 성문의 화표(華表) 기둥에 왔다고 한다.〈한성무 외 (1997) 및 이영주 외(2005) 참조〉.
주013)
 디거든 : [日]#디[落]-+-거든(연결 어미). 해 지거든. 해 지면.
주014)
청룡(靑龍) : 다리의 그림자를 말한다고 한다.
주015)
 디거든 청룡(靑龍)을 믌 가온 보리로다 : 해 지면 다리의 그림자를 물가운데서 볼 것이로다. 이 구절의 배후로는 『후한서(後漢書)』 비장방전(費長房傳)의 전설이 참고된다. 비장방은 선인을 따라 도를 배웠다. 그만두고 돌아갈 때, 선인은 그에게 대나무지팡이를 제공하여 타고 집으로 가게 하였다. 순식간에 집에 도착하고, 대나무지팡이는 용이 되어 돌아갔다고 한다. 〈한성무 외 (1997) 및 이영주 외(2005) 참조〉.
주016)
사마상여(司馬相如) : 서한의 대사부가(大辭賦家). 자는 장경(長卿), 한족으로 촉군(蜀郡: 지금의 남충 봉안(南充蓬安)) 사람. 대표작으로 〈자허부(子虚赋)〉가 있다.
주017)
도라본 : 돌[回]-+-아(연결 어미)#보[見]-+-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ᄂ(보조사). 돌아본대는. 돌아보건대.
주018)
기애 : 기[柱]+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기둥에.
주019)
스 : 스[書, 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쓰는. ¶이 偈 스니 徒衆이 다 놀라 嗟嘆야 疑心 아니 리 업서(이 게를 쓰니 도중이 다 놀라 차탄하여 의심 아니할 사람 없어)〈육조 상:42ㄴ〉.
주020)
아니로니 : 아니[非]#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아니니. 아닌데.
주021)
내 건내 : 내ㅎ[川]+(대격 조사)#건나[渡, 濟]-+-이(사동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내를 건너게 하는.
주022)
공(功)인 디 : 공(功)#이(지정 형용사)-+-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이(주격 조사). ‘-ㄴ디’는 주격 조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아노라’의 목적어로 보기 어렵다. ‘디’는 아마도 ‘’로 쓰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게 되면, ‘공(功)인 줄’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ㄴ디’가 어말 어미 ‘-ㄴ디’로 재구조화된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그 경우는 상위 동사가 ‘의심한다’와 같은 것이 되어야 한다.
주023)
모다 : 몯[集, 合]-+-아(연결 어미). 모두. 모여.
주024)
즐겨셔 : 즐기[歡]-+-어셔(연결 어미). 즐겨서. 즐겨.
주025)
도로 : 돌[回]-+-오(부사 파생 접미사). 돌아. 뒤돌아. 뒤돌아보면서. ‘도로’가 ‘각(却)’에 대한 번역임을 고려하였다. 이전 것을 다시 하는 의미로는 문맥에 적합하지 않다.
주026)
즈믄  : 즈믄[千]#[年]+ㅅ(관형격 조사). 천년의.
주027)
돌 모라 : 돌ㅎ[石]+(대격 조사)#몰[驅, 駈]-+-아(연결 어미). 돌을 몰아.
주028)
어느  : 어느[何]#[時]+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언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