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지소(池沼)
  • 양 재주에게 답한다[答楊梓州]
메뉴닫기 메뉴열기

양 재주에게 답한다[答楊梓州]


答楊梓州 주001)
답양재주(答楊梓州)
양 재주에게 답한다. 이 시는 광덕(廣德) 원년(763) 두보가 한주(漢州)에 있을 때 지은 것이라 한다. 양 재주(楊梓州)는 양(楊)씨 성을 가진 재주(梓州) 관리로, 이 곳을 지나 임지로 간 것이다. 두보를 방문하여 좋은 시간을 가졌는데, 이 시는 그에 대한 답으로 지은 것이다.

답양재주
(양 재주에게 답한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27ㄴ

悶到房公池水頭 坐逢楊子鎭東州

닶가와 주002)
닶가와
닶갑/답[悶]-+-아(연결 어미). 답답하여.
房公 주003)
방공(房公)
방공(房公)+(관형격 조사). 방관(房琯)의.
우희 주004)
우희
우ᄒ[上]+의(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 위에.
갓다가 주005)
갓다가
가[去]-+-아(연결 어미)#잇[有]-+-다가(연결 어미). 가 있다가.
안자셔 楊子 주006)
양자(楊子)
양자(楊子)+(관형격 조사). 양자의. 양 선생의. 양자(楊子)는 양재주(楊梓州)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東州 주007)
동주(東州)
재주(梓州)를 가리킨다. 재주는 한주(漢州)의 동쪽에 있다.
鎭요 주008)
진(鎭)요
진(鎭)+-(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주둔함을.
맛보라 주009)
맛보라
맞[逢]-+보[見]-+-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맞보도다. 맞아 보도다. ‘보[見]-’가 상성으로 되어 있다. ¶나그내 모미 녯 버들 맛보니 興心 베푸믄 林泉으로브테로다(나그네 몸이 옛 벗을 만나 보니, 흥겨운 마음을 베푸는 것은 수풀과 샘으로부터이로다.)〈두시(초) 10:13ㄴ〉.

【한자음】 민도방공지수두 좌봉양자진동주
【언해역】 답답하여 방관(房琯)공의 못 위에 가 있다가, 앉아서 양자(楊子)의 동주(재주)에 주둔함을 맞아 보도다.

却向靑溪不相見 回船應載阿戎遊【此ㅣ 別有一時事ㅣ로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도로 靑溪 주010)
청계(靑溪)
성도 근교의 완화계(浣花溪)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 向야 가 서르 보디 몯니  돌아올 저긔 주011)
 돌아올 저긔
[舟, 船]#돌[回]-+-아(연결 어미)#오[來]-+-ㅭ(관형사형 어미)#적[時]+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배 돌아올 적에.
이 주012)
이
[堂堂]+-(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마땅히. 반드시.
阿戎 주013)
아융(阿戎)
진(晉)과 송(宋) 사이의 사람들은 종제(從弟, 사촌아우)를 아융(阿戎)이라 하였다고 한다. 당나라 때도 같았을 것이다. 여기서는 양재주의 종제나 두보 부인(양씨)의 종제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시러 주014)
시러
싣[載]-+-어(연결 어미). 실어. 싣고.
놀리로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각향청계부상견 회선응재아융유【이것이 별도로 한 때의 일이 있는 것이다.】
【언해역】 도로 청계(靑溪)를 향하여 가 서로 보지 못하니, 배 돌아올 적에 반드시 아융(阿戎)을 싣고 놀리로다.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답양재주(答楊梓州) : 양 재주에게 답한다. 이 시는 광덕(廣德) 원년(763) 두보가 한주(漢州)에 있을 때 지은 것이라 한다. 양 재주(楊梓州)는 양(楊)씨 성을 가진 재주(梓州) 관리로, 이 곳을 지나 임지로 간 것이다. 두보를 방문하여 좋은 시간을 가졌는데, 이 시는 그에 대한 답으로 지은 것이다.
주002)
닶가와 : 닶갑/답[悶]-+-아(연결 어미). 답답하여.
주003)
방공(房公) : 방공(房公)+(관형격 조사). 방관(房琯)의.
주004)
우희 : 우ᄒ[上]+의(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 위에.
주005)
갓다가 : 가[去]-+-아(연결 어미)#잇[有]-+-다가(연결 어미). 가 있다가.
주006)
양자(楊子) : 양자(楊子)+(관형격 조사). 양자의. 양 선생의. 양자(楊子)는 양재주(楊梓州)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007)
동주(東州) : 재주(梓州)를 가리킨다. 재주는 한주(漢州)의 동쪽에 있다.
주008)
진(鎭)요 : 진(鎭)+-(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주둔함을.
주009)
맛보라 : 맞[逢]-+보[見]-+-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맞보도다. 맞아 보도다. ‘보[見]-’가 상성으로 되어 있다. ¶나그내 모미 녯 버들 맛보니 興心 베푸믄 林泉으로브테로다(나그네 몸이 옛 벗을 만나 보니, 흥겨운 마음을 베푸는 것은 수풀과 샘으로부터이로다.)〈두시(초) 10:13ㄴ〉.
주010)
청계(靑溪) : 성도 근교의 완화계(浣花溪)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011)
 돌아올 저긔 : [舟, 船]#돌[回]-+-아(연결 어미)#오[來]-+-ㅭ(관형사형 어미)#적[時]+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배 돌아올 적에.
주012)
이 : [堂堂]+-(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마땅히. 반드시.
주013)
아융(阿戎) : 진(晉)과 송(宋) 사이의 사람들은 종제(從弟, 사촌아우)를 아융(阿戎)이라 하였다고 한다. 당나라 때도 같았을 것이다. 여기서는 양재주의 종제나 두보 부인(양씨)의 종제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주014)
시러 : 싣[載]-+-어(연결 어미). 실어. 싣고.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