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지소(池沼)
  • 늦은 봄, 이 상서와 이 중승을 모시고 정감의 호수 정자를 지나 배를 띄우고, 과(過) 자 운을 얻다[暮春陪李尙書李中丞過鄭監湖亭汎舟得過字]
메뉴닫기 메뉴열기

늦은 봄, 이 상서와 이 중승을 모시고 정감의 호수 정자를 지나 배를 띄우고, 과(過) 자 운을 얻다[暮春陪李尙書李中丞過鄭監湖亭汎舟得過字]


暮春陪李尙書 주001)
이 상서(李尙書)
상서 벼슬을 한 이지방(李之芳). 북해 태수 이옹(李邕)의 종손(從孫). 제주(齊州)에 정자를 지은 인물로. 일찍이 가부(駕部) 원외랑(員外郞)의 직을 맡은 일이 있다.
李中丞 주002)
이중승(李中丞)
중승(中丞)의 벼슬을 한 이씨 성을 가진 인물. 이름은 불명이다.
鄭監 주003)
정감(鄭監)
정심(鄭審). 정심은 정주(郑州) 형양(荥陽) 사람. 시를 잘하고, 그림도 잘 그렸다고 한다. 두보와 교분이 있다. 건원(乾元, 758~759) 연간에 원주(袁州) 자사를 하였다. 정심(鄭審)이 비서감(秘書監)을 하였기 때문에, 정감(鄭監)이라 한 것이다.
湖亭汎舟得過字
주004)
모춘 배리상서리중승 과정감호정범주 득과자(暮春陪李尙書李中丞過鄭監湖亭汎舟得過字)
늦은 봄, 이상서와 이중승을 모시고 정감의 호수정자를 지나 배를 띄우고, 과(過)자 운을 얻다. 이 시는 대력(大曆) 3년(768) 늦은 봄, 강릉(江陵)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모춘 배리상서리중승 과정감호정범주 득과자
(늦은 봄, 이 상서와 이 중승을 모시고 정감의 호수 정자를 지나 배를 띄우고, 과(過) 자 운을 얻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26ㄱ

海內文章伯 湖邊意緖多

海內옛 주005)
해내(海內)옛
해내(海內)+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해내(海内)의. 해내(海內)는 국경 안쪽의 나라 전체를 가리킨다. 고대의 전설에 의하면 중국인들은 중국이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고 믿었다고 한다.
文章애 주006)
문장(文章)애
문장(文章)+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문장에서.
위두 사미 주007)
위두 사미
위두(爲頭)+-(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사[人]+이(주격 조사).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이. 제일가는 사람이.
  주008)
 
[江]+ㅅ(관형격 조사)#[邊]+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강가에.
디 하도다 주009)
디 하도다
[意]+이(주격 조사)#하[多]-+-도다(감탄 어미). 뜻이 많도다.

【한자음】 해내문장백 호변의서다
【언해역】 나라 안의, 문장에서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이 강가에 뜻이 많도다.

玉樽移晩興 桂楫帶酣歌

玉樽 주010)
옥준(玉樽)
옥으로 만든 술잔. 술잔을 높이는 말.
나죗 주011)
나죗
나조ㅎ[夕, 晩]+/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저녁의.
興에 옮기니 주012)
옮기니
옮[移]-+-기(사동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옮기나니. 옮기니.
桂楫 주013)
계즙(桂楫)
계즙(桂楫)+(보조사). 계수나무 노는. 계수나무로 만든 노는.
醉야셔 주014)
취(醉)야셔
취(醉)+-(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셔(보조사). 취하여서. 취해서.
브르 놀애 주015)
브르 놀애
브르[唱]-+-(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놀애[歌]+(대격 조사). 부르는 노래를.
帶얫도다 주016)
대(帶)얫도다
대(帶)+-(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띠고 있도다.

【한자음】 옥준이만흥 계즙대감가
【언해역】 옥으로 만든 잔을 저녁의 흥에 〈따라〉 옮기나니, 계수나무로 만든 노는 취해서 부르는 노래를 띠고 있도다.

春日繁魚鳥 江天足芰荷

봄나래 주017)
봄나래
봄[春]#날[日]+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봄날에.
고기와 새왜 주018)
고기와 새왜
고기[魚]+와(접속 조사)#새[鳥]+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고기와 새와가. 고기와 새가. 물고기와 새가.
하고 주019)
하고
하[多]-+-고(연결 어미). 많고.
 하해 주020)
 하해
[江]+ㅅ(관형격 조사)#하ㅎ[天]+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강의 하늘에.
말왐과 주021)
말왐과
말왐[芰(기: 세발 마름)]+과(접속 조사). 마름과. 마름은 마름과의 한해살이풀로, 진흙 속에 뿌리를 박고, 줄기는 물속에서 가늘고 길게 자라 물 위로 나온다. 잎은 줄기 꼭대기에 뭉쳐 나고 삼각형이다.
蓮괘 주022)
연(蓮)괘
연(蓮)+과(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연과가. 연이.
足도다 주023)
족(足)도다
족(足)+-(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족하도다.

【한자음】 춘일번어조 강천족기하
【언해역】 봄날에 물고기와 새가 많고, 강의 하늘에 마름과 연이 족하도다.

鄭莊賓客地 衰白遠來過【鄭當時의 字ㅣ 莊이니 置驛馬長安諸郊야 請謝賓客더니 比鄭監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鄭莊 주024)
정장(郑莊)
성명은 정당시(鄭當時), 자가 장(莊)이다. 서한(西漢)의 대신으로, 생몰년 미상이다. 정환공(鄭桓公)의 19세손으로, 양(梁)과 초(楚)에서 이름을 날렸다. 한나라 경제(景帝) 때 태자사인을 하고, 제남군(濟南郡) 태수들을 역임하였다.
주025)
객(客). 손님.
對接 주026)
대접(對接)
대접(對接)+-(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대접하는.
해 주027)
해
ㅎ[地]+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땅에.
늘거 셴머리예 주028)
늘거 셴머리예
늙[老]-+-어(연결 어미)#셰[白]-+-ㄴ(관형사형 어미)#머리[髮]+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늙어 센머리에.
머리 주029)
머리
멀[遠]-+-이(부사 파생 접미사). 멀리.
오라 주030)
오라
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오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정장빈객지 쇠백원래과【정당시(鄭當時)의 자가 장(莊)이니 장안(長安)의 여러 교외에 역마(驛馬)를 두고 손님들을 청하여 타 보게 하였는데, 정감(鄭監)과 비교한 것이다.】
【언해역】 정장(鄭莊)의 손님 대접하는 땅에 늙어 센머리에 멀리 오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이 상서(李尙書) : 상서 벼슬을 한 이지방(李之芳). 북해 태수 이옹(李邕)의 종손(從孫). 제주(齊州)에 정자를 지은 인물로. 일찍이 가부(駕部) 원외랑(員外郞)의 직을 맡은 일이 있다.
주002)
이중승(李中丞) : 중승(中丞)의 벼슬을 한 이씨 성을 가진 인물. 이름은 불명이다.
주003)
정감(鄭監) : 정심(鄭審). 정심은 정주(郑州) 형양(荥陽) 사람. 시를 잘하고, 그림도 잘 그렸다고 한다. 두보와 교분이 있다. 건원(乾元, 758~759) 연간에 원주(袁州) 자사를 하였다. 정심(鄭審)이 비서감(秘書監)을 하였기 때문에, 정감(鄭監)이라 한 것이다.
주004)
모춘 배리상서리중승 과정감호정범주 득과자(暮春陪李尙書李中丞過鄭監湖亭汎舟得過字) : 늦은 봄, 이상서와 이중승을 모시고 정감의 호수정자를 지나 배를 띄우고, 과(過)자 운을 얻다. 이 시는 대력(大曆) 3년(768) 늦은 봄, 강릉(江陵)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주005)
해내(海內)옛 : 해내(海內)+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해내(海内)의. 해내(海內)는 국경 안쪽의 나라 전체를 가리킨다. 고대의 전설에 의하면 중국인들은 중국이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고 믿었다고 한다.
주006)
문장(文章)애 : 문장(文章)+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문장에서.
주007)
위두 사미 : 위두(爲頭)+-(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사[人]+이(주격 조사).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이. 제일가는 사람이.
주008)
  : [江]+ㅅ(관형격 조사)#[邊]+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강가에.
주009)
디 하도다 : [意]+이(주격 조사)#하[多]-+-도다(감탄 어미). 뜻이 많도다.
주010)
옥준(玉樽) : 옥으로 만든 술잔. 술잔을 높이는 말.
주011)
나죗 : 나조ㅎ[夕, 晩]+/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저녁의.
주012)
옮기니 : 옮[移]-+-기(사동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옮기나니. 옮기니.
주013)
계즙(桂楫) : 계즙(桂楫)+(보조사). 계수나무 노는. 계수나무로 만든 노는.
주014)
취(醉)야셔 : 취(醉)+-(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셔(보조사). 취하여서. 취해서.
주015)
브르 놀애 : 브르[唱]-+-(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놀애[歌]+(대격 조사). 부르는 노래를.
주016)
대(帶)얫도다 : 대(帶)+-(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띠고 있도다.
주017)
봄나래 : 봄[春]#날[日]+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봄날에.
주018)
고기와 새왜 : 고기[魚]+와(접속 조사)#새[鳥]+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고기와 새와가. 고기와 새가. 물고기와 새가.
주019)
하고 : 하[多]-+-고(연결 어미). 많고.
주020)
 하해 : [江]+ㅅ(관형격 조사)#하ㅎ[天]+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강의 하늘에.
주021)
말왐과 : 말왐[芰(기: 세발 마름)]+과(접속 조사). 마름과. 마름은 마름과의 한해살이풀로, 진흙 속에 뿌리를 박고, 줄기는 물속에서 가늘고 길게 자라 물 위로 나온다. 잎은 줄기 꼭대기에 뭉쳐 나고 삼각형이다.
주022)
연(蓮)괘 : 연(蓮)+과(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연과가. 연이.
주023)
족(足)도다 : 족(足)+-(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족하도다.
주024)
정장(郑莊) : 성명은 정당시(鄭當時), 자가 장(莊)이다. 서한(西漢)의 대신으로, 생몰년 미상이다. 정환공(鄭桓公)의 19세손으로, 양(梁)과 초(楚)에서 이름을 날렸다. 한나라 경제(景帝) 때 태자사인을 하고, 제남군(濟南郡) 태수들을 역임하였다.
주025)
손 : 객(客). 손님.
주026)
대접(對接) : 대접(對接)+-(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대접하는.
주027)
해 : ㅎ[地]+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땅에.
주028)
늘거 셴머리예 : 늙[老]-+-어(연결 어미)#셰[白]-+-ㄴ(관형사형 어미)#머리[髮]+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늙어 센머리에.
주029)
머리 : 멀[遠]-+-이(부사 파생 접미사). 멀리.
주030)
오라 : 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오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