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연음(燕飮)
  • 봄밤 협주의 전 시어 장사가 나루정자에서 연회를 가져, 연(筵) 자를 얻다[春夜峽州田侍御長史津亭留宴得筵字]
메뉴닫기 메뉴열기

봄밤 협주의 전 시어 장사가 나루정자에서 연회를 가져, 연(筵) 자를 얻다[春夜峽州田侍御長史津亭留宴得筵字]


春夜峽州田侍御長史津亭留宴得筵字 주001)
춘야협주전시어장사진정류연득연자(春夜峽州田侍御長史津亭留宴得筵字)
봄밤 협주의 전 시어 장사가 나루정자에서 연회를 가져, 연 자를 얻다. 이 시는 대력(大曆) 3년(768) 정월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강동을 따라 내려가고 있었는데 오래지 않아 협주(峽州, 지금의 호북성(湖北省) 의창시(宜昌市))에 도착하였다. 그곳에는 전 시어(田侍御)가 나루정자에 송별연을 차려 놓았다. 여기서 연(筵)자 운을 얻었다고 한다.

춘야협주전시어장사진정류연득연자
(봄밤 협주의 전 시어 장사가 나루정자에서 연회를 가져, 연(筵) 자를 얻다)

北斗三更席 西江萬里船

北斗 주002)
북두(北斗)
북두성(北斗星). 북두칠성.
비취엿 주003)
비취엿
비취[照]-+-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비치고 있는. ¶리 즈믄 매 비취요미 니라(달이 일천 강에 비치는 것과 같으니라.) 〈월석 1:1ㄱ〉.
三更ㅅ 돗기오 주004)
삼경(三更)ㅅ 돗기오
삼경(三更)+ㅅ(관형격 조사)#[席]#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삼경의 자리이고.
西ㅅ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50ㄱ

 주005)

[江]+ㅅ(관형격 조사). 강의.
萬里옛 로다 주006)
만리(萬里)옛 로다
만리(萬里)+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船]#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만리의 배로다.

【한자음】 북두삼경석 서강만리선
【언해역】 북두성 비치고 있는 삼경(三更)의 자리이고, 서녘 강의 만리의 배로다.

杖藜登水榭 揮翰宿春天

도랏 주007)
도랏
명아주. 여기서는 명아주지팡이를 뜻함. 예전에는 명아주 줄기로 지팡이를 많이 만들었다. ¶ 미 다고져  그테셔 애 긋노니 도랏 딥고 날호야 거러 곳다온 믌 셔쇼라(봄의 강이 다하고자 하는 끝에서 애를 끊노니 명아주 막대 짚고 천천히 걸어 꽃다운 물가에 서 있노라)〈두시(초) 10:8ㄱ〉.
디퍼 주008)
디퍼
딮[踏, 杖]-+-어(연결 어미). 짚어.
므렛 주009)
므렛
믈[水]+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물의.
亭榭애 오고 주010)
정사(亭榭)애 오고
정사(亭榭)+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오[登]-+-고(연결 어미). 정자에 오르고.
붇 휫두로 텨 주011)
붇 휫두로 텨
붓 휘둘러 쳐. ‘휫두로’에 대해서는 ‘휫(접두사)-+두르[揮]-+-오(부사 파생 접미사)’와 같은 분석을 제안해 볼 수 있다. ‘휫두로’는 ‘휫두루’와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글 스고 주012)
글 스고
글[文]#스[書]-+-고(연결 어미). 글 쓰고.
 하해셔 주013)
 하해셔
봄[春]+ㅅ(관형격 조사)#하ㅎ[天]+애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봄의 하늘에서.
자노라

【한자음】 장려등수사 휘한숙춘천
【언해역】 명아주지팡이 짚어 물의 정자에 오르고, 붓 휘둘러 쳐 글 쓰고 봄하늘에서 자노라.

白髮須多酒 明星惜此筵

셴머리예 주014)
셴머리예
셰[白]-+-ㄴ(관형사형 어미)#머리[髮]+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센머리에.
한 수를 주015)
한 수를
하[多]-+-ㄴ(관형사형 어미)#술[酒]+을(대격 조사). 많은 술을.
須求고 주016)
수구(須求)고
수구(須求)+-(동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모름지기 구하고. 마땅히 구하고. 꼭 구하고. 원문에는 ‘구할 구(求)’자가 없으나, ‘수(須)’ 자체에 ‘구하다’는 뜻이 있다.
새벼레 주017)
새벼레
새[明]#별[星]+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샛별에. ¶北斗ㅣ  向야 가와 가 로 보고 새벼 虛空 當야 쿠믈 울워러 보노라(북두칠성이 강을 향하여 낮아져 가는 것을 곁으로 보고 샛별의 허공을 대하여 큼을 우러러 보노라.)〈두시(초) 11:40ㄴ〉.
이 이바디 주018)
이 이바디
이[此]#이바디[筵, 宴]+(대격 조사). 이 연희를. ¶忽然히 녯 노 이바디 호니 블근 매 거믄고애 다티더니라(문득 예전의 고귀한 연회를 생각하니, 붉은 소매가 거문고에 스치더라.)〈두시(초) 10:4ㄱ〉.
앗기노라 주019)
앗기노라
앗기[惜(석)]-+-(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아끼노라. ¶앗기고 貪티 아니며 嗔心 아니며 邪曲 봄 아니 씨라(아끼고 탐하지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비뚤어지게 보는 것을 아니하는 것이다.)〈월석 1:25ㄴ〉.

【한자음】 백발수다주 명성석차연
【언해역】 센머리에 많은 술을 마땅히 구하고, 샛별에 이 연회를 아끼노라.

始知雲雨峽 忽盡下牢邊【下牢 地名이라 이 神女 襄王 노던 히 예 와  오 歡娛도 놋다 니시다(라) 주020)
니시다(라)
니[謂]-+-ㅭ(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이르는 것이다. 원문 협주의 어말 어미 ‘-다’는 ‘-라’의 잘못인 것으로 여겨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行雲 行雨 주021)
행운(行雲) 행우(行雨)
행운(行雲)#행우(行雨)+-(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구름을 움직이고 비를 내리게 하는.
주022)
협(峽)
삼협(三峽)을 말한다. 삼협은 중국 사천성(四川省) 무산현(巫山縣) 동쪽, 호북성(湖北省) 파동현(巴東縣)의 경계에 있는 무협(巫峽), 서릉협(西陵峽), 구당협(瞿塘峽)의 세 협곡을 말한다.
下牢ㅅ  주023)
하뢰(下牢)ㅅ
하뢰(下牢)+ㅅ(관형격 조사)#[邊]+(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하뢰(下牢)의 가에. 하뢰(下牢)의 가장자리에.
忽然히 盡혼 고 주024)
진(盡)혼 고
진(盡)+-(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곧(의존 명사)+(대격 조사). 끝난 것을.
비르서 알와라 주025)
알와라
알[知]-+-와라(감탄 어미). 알도다. 아는도다. ‘-와라’는 더 분석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시지운우협 홀진하뢰변하뢰(下牢)는 지명이다. 이는 신녀(神女) 양왕(襄王)의 놀던 땅이 여기
(하뢰)
와 끝나기 때문에, 오늘의 즐거움도 끝나는구나 〈하고〉 이르는 것이다.】
【언해역】 구름을 옮기고 비를 내리는 삼협하뢰의 가장자리에서 홀연히 끝난 것을 비로소 아는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춘야협주전시어장사진정류연득연자(春夜峽州田侍御長史津亭留宴得筵字) : 봄밤 협주의 전 시어 장사가 나루정자에서 연회를 가져, 연 자를 얻다. 이 시는 대력(大曆) 3년(768) 정월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강동을 따라 내려가고 있었는데 오래지 않아 협주(峽州, 지금의 호북성(湖北省) 의창시(宜昌市))에 도착하였다. 그곳에는 전 시어(田侍御)가 나루정자에 송별연을 차려 놓았다. 여기서 연(筵)자 운을 얻었다고 한다.
주002)
북두(北斗) : 북두성(北斗星). 북두칠성.
주003)
비취엿 : 비취[照]-+-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비치고 있는. ¶리 즈믄 매 비취요미 니라(달이 일천 강에 비치는 것과 같으니라.) 〈월석 1:1ㄱ〉.
주004)
삼경(三更)ㅅ 돗기오 : 삼경(三更)+ㅅ(관형격 조사)#[席]#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삼경의 자리이고.
주005)
 : [江]+ㅅ(관형격 조사). 강의.
주006)
만리(萬里)옛 로다 : 만리(萬里)+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船]#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만리의 배로다.
주007)
도랏 : 명아주. 여기서는 명아주지팡이를 뜻함. 예전에는 명아주 줄기로 지팡이를 많이 만들었다. ¶ 미 다고져  그테셔 애 긋노니 도랏 딥고 날호야 거러 곳다온 믌 셔쇼라(봄의 강이 다하고자 하는 끝에서 애를 끊노니 명아주 막대 짚고 천천히 걸어 꽃다운 물가에 서 있노라)〈두시(초) 10:8ㄱ〉.
주008)
디퍼 : 딮[踏, 杖]-+-어(연결 어미). 짚어.
주009)
므렛 : 믈[水]+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물의.
주010)
정사(亭榭)애 오고 : 정사(亭榭)+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오[登]-+-고(연결 어미). 정자에 오르고.
주011)
붇 휫두로 텨 : 붓 휘둘러 쳐. ‘휫두로’에 대해서는 ‘휫(접두사)-+두르[揮]-+-오(부사 파생 접미사)’와 같은 분석을 제안해 볼 수 있다. ‘휫두로’는 ‘휫두루’와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012)
글 스고 : 글[文]#스[書]-+-고(연결 어미). 글 쓰고.
주013)
 하해셔 : 봄[春]+ㅅ(관형격 조사)#하ㅎ[天]+애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봄의 하늘에서.
주014)
셴머리예 : 셰[白]-+-ㄴ(관형사형 어미)#머리[髮]+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센머리에.
주015)
한 수를 : 하[多]-+-ㄴ(관형사형 어미)#술[酒]+을(대격 조사). 많은 술을.
주016)
수구(須求)고 : 수구(須求)+-(동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모름지기 구하고. 마땅히 구하고. 꼭 구하고. 원문에는 ‘구할 구(求)’자가 없으나, ‘수(須)’ 자체에 ‘구하다’는 뜻이 있다.
주017)
새벼레 : 새[明]#별[星]+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샛별에. ¶北斗ㅣ  向야 가와 가 로 보고 새벼 虛空 當야 쿠믈 울워러 보노라(북두칠성이 강을 향하여 낮아져 가는 것을 곁으로 보고 샛별의 허공을 대하여 큼을 우러러 보노라.)〈두시(초) 11:40ㄴ〉.
주018)
이 이바디 : 이[此]#이바디[筵, 宴]+(대격 조사). 이 연희를. ¶忽然히 녯 노 이바디 호니 블근 매 거믄고애 다티더니라(문득 예전의 고귀한 연회를 생각하니, 붉은 소매가 거문고에 스치더라.)〈두시(초) 10:4ㄱ〉.
주019)
앗기노라 : 앗기[惜(석)]-+-(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아끼노라. ¶앗기고 貪티 아니며 嗔心 아니며 邪曲 봄 아니 씨라(아끼고 탐하지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비뚤어지게 보는 것을 아니하는 것이다.)〈월석 1:25ㄴ〉.
주020)
니시다(라) : 니[謂]-+-ㅭ(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이르는 것이다. 원문 협주의 어말 어미 ‘-다’는 ‘-라’의 잘못인 것으로 여겨진다.
주021)
행운(行雲) 행우(行雨) : 행운(行雲)#행우(行雨)+-(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구름을 움직이고 비를 내리게 하는.
주022)
협(峽) : 삼협(三峽)을 말한다. 삼협은 중국 사천성(四川省) 무산현(巫山縣) 동쪽, 호북성(湖北省) 파동현(巴東縣)의 경계에 있는 무협(巫峽), 서릉협(西陵峽), 구당협(瞿塘峽)의 세 협곡을 말한다.
주023)
하뢰(下牢)ㅅ : 하뢰(下牢)+ㅅ(관형격 조사)#[邊]+(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하뢰(下牢)의 가에. 하뢰(下牢)의 가장자리에.
주024)
진(盡)혼 고 : 진(盡)+-(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곧(의존 명사)+(대격 조사). 끝난 것을.
주025)
알와라 : 알[知]-+-와라(감탄 어미). 알도다. 아는도다. ‘-와라’는 더 분석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