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연음(燕飮)
  • 융주 양사군 동루에서 연회하다[宴戎州楊使君東樓]
메뉴닫기 메뉴열기

융주 양사군 동루에서 연회하다[宴戎州楊使君東樓]


宴戎州楊使君東樓 주001)
연융주양사군동루(宴戎州楊使君東樓)
융주 양사군 동루에서 연회하다. 이 시는 영태(永泰) 원년(765) 6월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두보는 배를 타고 민강(岷江)의 종점인 융주(戎州, 지금의 사천성 의빈)에 도착하여, 융주 자사(刺史) 양 사군(楊使君)의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연융주양사군동루
(융주 양사군 동루에서 연회하다)

勝絶驚身老 情忘發興奇

됴 해셔 주002)
됴 해셔
둏[好, 勝]-+-(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ㅎ[地]+애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좋은 땅에서.
모 늘구믈 주003)
모 늘구믈
몸[身]+(관형격 조사)#늙[老]-+-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몸의 늙음을.
놀라노니 주004)
놀라노니
놀라[驚]-+(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놀라노니. 놀라니.
들 주005)
들
[意, 情]+을(대격 조사). 뜻을.
니조니 주006)
니조니
닞[忘]-+-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잊으니.
興心의 주007)
흥심(興心)의
흥심(興心)+의(관형격 조사). 흥심의. 흥겨운 마음의. ‘의’는 주어적 속격이라 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그 의미론적인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문법적으로는 관형격의 ‘의’임이 분명하다.
나미 주008)
나미
나[出, 發]-+-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남이. 나는 것이.
奇異도다

【한자음】 승절경신로 정망발흥기
【언해역】 좋은 땅에서 몸의 늙음을 놀라노니, 뜻을 잊었는데 흥겨운 마음이 나는 것이 기이하도다.

座從歌妓密 樂任主人爲

안잿  주009)
안잿 
앉[坐]-+-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 앉아 있는 데. 앉아 있는 곳에.
놀애 브르 주010)
놀애 브르
놀애[歌]#브르[唱]-+-(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노래 부르는. ‘브르’의 ‘브’가 ‘부’로 된 것은 원순모음화를 보이는 것이다.
妓女ㅣ 密近호 주011)
밀근(密近)호
밀근(密近)+-(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밀근(密近)함을. 은근히 가까이 함을.
므던히 너기고 즐거우므란 주012)
즐거우므란
즐겁[樂]-+-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으란(보조사). 즐거움을랑. 즐거움일랑.
主人의 요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52ㄱ

주013)
주인(主人)의 요
주인(主人)+의(관형격 조사)#[爲]-+-j(조음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주인의 하는 것을.
任意로 케 주014)
임의(任意)로 케
임의(任意)+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爲]-+-게(연결 어미). 임의로 하게. 마음대로 하게.
노라

【한자음】 좌종가기밀 락임주인위
【언해역】 앉아 있는 곳에 노래 부르는 기녀가 은밀히 가까이 함을 괜찮게 여기고, 즐거움일랑 주인의 하는 것을 마음대로 하게 하노라.

重碧拈春酒 輕紅擘荔枝

므겁고 니란 주015)
므겁고 니란
므겁[重]-+-고(연결 어미)#[碧]-+-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란(보조사). 무겁고 파란 것을랑. ‘중벽(重碧)’은 술이름이라고도 한다.
 수를 주016)
 수를
봄[春]+ㅅ(관형격 조사)#술[酒]+을(대격 조사). 봄의 술을. 봄 술을.
잡고 가얍고 블그니란 주017)
가얍고 블그니란
가얍[輕]-+-고(연결 어미)#븕[紅]-+-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란(보조사). 가볍고 붉은 것을랑.
荔枝 주018)
여지(荔枝)
여지(荔枝)+(대격 조사). 여주를. 여주는 무환자나뭇과의 상록 교목으로, 높이는 10~15m 정도로,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꽃은 잡성화로 연한 황록색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피며, 열매는 둥글고 돌기가 있다. 양귀비가 여주 열매를 즐겨 먹었다고 한다.
혀노라 주019)
혀노라
[破]-+혀[引]-+-(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깨뜨리노라.

【한자음】 중벽념춘주 경홍벽려지
【언해역】 무겁고 파란 것을랑 봄 술을 잡고, 가볍고 붉은 것을랑 여주[荔枝]를 깨뜨리노라.

樓高欲愁思 橫笛未休吹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樓ㅣ 노파 주020)
누(樓)ㅣ 노파
누(樓)+이(주격 조사)#높[高]-+-아(연결 어미). 누각이 높아.
시름 주021)
시름
시름[愁]+-(동사 파생 접미사)-+-ㅭ(관형사형 어미). 시름할. 걱정할. 근심할.
니 빗기 자 주022)
빗기 자
/빗그[橫]-+-이(부사 파생 접미사)#잡[把]-+-(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비스듬히 잡은. 가로로 잡은.
뎌 주023)
뎌
뎌ㅎ[笛]+(대격 조사). 피리를.
부루믈 주024)
부루믈
불[吹]-+-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붊을. 부는 것을.
마디 아니다 주025)
마디 아니다
말[休]-+-디(연결 어미)#아니[不]+-(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마지 아니한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루고욕수사 횡적미휴취
【언해역】 누각이 높아 걱정할 듯하니 비스듬히(가로로) 잡은 피리를 부는 것을 마지 아니한다.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연융주양사군동루(宴戎州楊使君東樓) : 융주 양사군 동루에서 연회하다. 이 시는 영태(永泰) 원년(765) 6월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두보는 배를 타고 민강(岷江)의 종점인 융주(戎州, 지금의 사천성 의빈)에 도착하여, 융주 자사(刺史) 양 사군(楊使君)의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주002)
됴 해셔 : 둏[好, 勝]-+-(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ㅎ[地]+애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좋은 땅에서.
주003)
모 늘구믈 : 몸[身]+(관형격 조사)#늙[老]-+-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몸의 늙음을.
주004)
놀라노니 : 놀라[驚]-+(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놀라노니. 놀라니.
주005)
들 : [意, 情]+을(대격 조사). 뜻을.
주006)
니조니 : 닞[忘]-+-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잊으니.
주007)
흥심(興心)의 : 흥심(興心)+의(관형격 조사). 흥심의. 흥겨운 마음의. ‘의’는 주어적 속격이라 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그 의미론적인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문법적으로는 관형격의 ‘의’임이 분명하다.
주008)
나미 : 나[出, 發]-+-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남이. 나는 것이.
주009)
안잿  : 앉[坐]-+-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 앉아 있는 데. 앉아 있는 곳에.
주010)
놀애 브르 : 놀애[歌]#브르[唱]-+-(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노래 부르는. ‘브르’의 ‘브’가 ‘부’로 된 것은 원순모음화를 보이는 것이다.
주011)
밀근(密近)호 : 밀근(密近)+-(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밀근(密近)함을. 은근히 가까이 함을.
주012)
즐거우므란 : 즐겁[樂]-+-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으란(보조사). 즐거움을랑. 즐거움일랑.
주013)
주인(主人)의 요 : 주인(主人)+의(관형격 조사)#[爲]-+-j(조음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주인의 하는 것을.
주014)
임의(任意)로 케 : 임의(任意)+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爲]-+-게(연결 어미). 임의로 하게. 마음대로 하게.
주015)
므겁고 니란 : 므겁[重]-+-고(연결 어미)#[碧]-+-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란(보조사). 무겁고 파란 것을랑. ‘중벽(重碧)’은 술이름이라고도 한다.
주016)
 수를 : 봄[春]+ㅅ(관형격 조사)#술[酒]+을(대격 조사). 봄의 술을. 봄 술을.
주017)
가얍고 블그니란 : 가얍[輕]-+-고(연결 어미)#븕[紅]-+-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란(보조사). 가볍고 붉은 것을랑.
주018)
여지(荔枝) : 여지(荔枝)+(대격 조사). 여주를. 여주는 무환자나뭇과의 상록 교목으로, 높이는 10~15m 정도로,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꽃은 잡성화로 연한 황록색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피며, 열매는 둥글고 돌기가 있다. 양귀비가 여주 열매를 즐겨 먹었다고 한다.
주019)
혀노라 : [破]-+혀[引]-+-(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깨뜨리노라.
주020)
누(樓)ㅣ 노파 : 누(樓)+이(주격 조사)#높[高]-+-아(연결 어미). 누각이 높아.
주021)
시름 : 시름[愁]+-(동사 파생 접미사)-+-ㅭ(관형사형 어미). 시름할. 걱정할. 근심할.
주022)
빗기 자 : /빗그[橫]-+-이(부사 파생 접미사)#잡[把]-+-(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비스듬히 잡은. 가로로 잡은.
주023)
뎌 : 뎌ㅎ[笛]+(대격 조사). 피리를.
주024)
부루믈 : 불[吹]-+-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붊을. 부는 것을.
주025)
마디 아니다 : 말[休]-+-디(연결 어미)#아니[不]+-(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마지 아니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