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연음(燕飮)
  • 왕 시어를 모시고 통천의 동산 야정에서 연회를 열다[陪王侍御宴通泉東山野亭]
메뉴닫기 메뉴열기

왕 시어를 모시고 통천의 동산 야정에서 연회를 열다[陪王侍御宴通泉東山野亭]


王侍御 주001)
왕 시어(王侍御)
인물과 생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통천의 귀한 손님일 것으로 추측된다. 시어는 임금을 옆에서 보필하는 벼슬 이름이다.
通泉 주002)
통천(通泉)
중국 사천성 사홍현(射洪縣) 남단의 타패진(沱牌镇)에 설치한 현이름.
東山野亭
주003)
배왕시어연통천동산야정(陪王侍御宴通泉東山野亭)
왕 시어를 모시고 통천(通泉)의 동산 야정에서 연회를 열다. 이 시는 보응(寶應) 원년(762)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통천 현령(縣令)인 요공(姚公)이 연회를 열어 두보를 초청하자, 이 시를 지어 바친 것이다.

배왕시어연통천동산야정
(왕 시어를 모시고 통천(通泉)의 동산 야정에서 연회를 열다)

江水東流去 淸樽日復斜

 므리 주004)
 므리
[江]+ㅅ(관형격 조사)#믈[水]+이(주격 조사). 강의 물이. 강물이.
東녀그로 흘러가니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50ㄴ

 酒樽에
주005)
 주준(酒樽)에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주준(酒樽)+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맑은 술잔에.
  기우러 가놋다 주006)
기우러 가놋다
기울[斜]-+-어(연결 어미)#가-+-(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기울어 가는구나. 기울어 가는도다.

【한자음】 강수동류거 청준일부사
【언해역】 강물이 동녘으로 흘러가나니, 맑은 술잔에 해 또 기울어 가는도다.

異方同宴賞 何處是京華

다 와 주007)
다 와
다[異]-+-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와(공동격 조사). 다른 데와.
이바디 디() 주008)

[一]#[處]. 한데. 같이.
호니 어드메 주009)
어드메
어느 곳. 어디. 어드메.
주010)
‘하처시경화(何處是京華)’에서 ‘시(是)’를 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이 ‘시(是)’는 지정 형용사 ‘이다’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셔울힌고’의 ‘이-’에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셔울힌고 주011)
셔울힌고
셔울ㅎ[京, 京華]#이(지정 형용사)-+-ㄴ고(의문 어미). 서울인가? 여기서는 장안(長安)을 가리킴. 의문 어미 ‘-ㄴ고’는 ‘-ㄴ(동명사 어미)+고(의문 보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한자음】 이방동연상 하처시경화
【언해역】 다른 데와 연회를 한데 하니 어드메가 서울인가?

亭景臨山水 村煙對浦沙

亭子ㅅ 景은 주012)
정자(亭子)ㅅ 경(景)은
정자(亭子)+ㅅ(관형격 조사)#경(景)+은(보조사). 정자의 경관은. 정자의 풍광은. ‘景’은 ‘영(影)’으로 읽어 그림자를 뜻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경(景)’으로 읽는 것이 온당한 것으로 여겨진다.
뫼콰 므를 주013)
뫼콰 므를
뫼ㅎ[山]+과(접속 조사)#믈[水]+을(대격 조사). 산과 물을.
臨얫고 주014)
임(臨)얫고
임(臨)+-(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임하고 있고. 임하여 있고.
  주015)
 
[村]+ㅅ(관형격 조사)#[煙]+(보조사). 마을의 내는. 마을의 연기는.
개옛 몰애 주016)
개옛 몰애
개[浦]+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몰애[沙]+(대격 조사). 개의 모래를. 물가의 모래를.
對얏도다 주017)
대(對)얏도다
대(對)+-(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대하고 있도다.

【한자음】 정경림산수 촌연대포사
【언해역】 정자의 풍광은 산과 물을 임하여 있고, 마을의 연기는 개의 모래를 대하고 있도다.

狂歌遇形勝 得醉卽爲家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어러운 주018)
어러운
어럽[狂]-+-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미친. 미친 듯한.
놀애로 됴  주019)
됴 
둏[好]-+-(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ㅎ[地]+(대격 조사). 좋은 땅을. 이는 원문의 ‘형승(形勝)’을 번역한 것이다.
맛나 주020)
맛나
맛나[遇]-+-아(연결 어미). 만나.
醉호 주021)
취(醉)호
취(醉)+-(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취함을. 취하는 것을.
어두니 주022)
어두니
얻[得]-+-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얻으니.
곧 내 지비 외옛도다 주023)
외옛도다
외[化, 爲]-+-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되어 있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광가우형승 득취즉위가
【언해역】 미친 듯한 노래로 좋은 땅을 만나, 취함을 얻으니 곧 내 집이 되어 있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왕 시어(王侍御) : 인물과 생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통천의 귀한 손님일 것으로 추측된다. 시어는 임금을 옆에서 보필하는 벼슬 이름이다.
주002)
통천(通泉) : 중국 사천성 사홍현(射洪縣) 남단의 타패진(沱牌镇)에 설치한 현이름.
주003)
배왕시어연통천동산야정(陪王侍御宴通泉東山野亭) : 왕 시어를 모시고 통천(通泉)의 동산 야정에서 연회를 열다. 이 시는 보응(寶應) 원년(762)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통천 현령(縣令)인 요공(姚公)이 연회를 열어 두보를 초청하자, 이 시를 지어 바친 것이다.
주004)
 므리 : [江]+ㅅ(관형격 조사)#믈[水]+이(주격 조사). 강의 물이. 강물이.
주005)
 주준(酒樽)에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주준(酒樽)+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맑은 술잔에.
주006)
기우러 가놋다 : 기울[斜]-+-어(연결 어미)#가-+-(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기울어 가는구나. 기울어 가는도다.
주007)
다 와 : 다[異]-+-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와(공동격 조사). 다른 데와.
주008)
 : [一]#[處]. 한데. 같이.
주009)
어드메 : 어느 곳. 어디. 어드메.
주010)
이 : ‘하처시경화(何處是京華)’에서 ‘시(是)’를 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이 ‘시(是)’는 지정 형용사 ‘이다’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셔울힌고’의 ‘이-’에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주011)
셔울힌고 : 셔울ㅎ[京, 京華]#이(지정 형용사)-+-ㄴ고(의문 어미). 서울인가? 여기서는 장안(長安)을 가리킴. 의문 어미 ‘-ㄴ고’는 ‘-ㄴ(동명사 어미)+고(의문 보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12)
정자(亭子)ㅅ 경(景)은 : 정자(亭子)+ㅅ(관형격 조사)#경(景)+은(보조사). 정자의 경관은. 정자의 풍광은. ‘景’은 ‘영(影)’으로 읽어 그림자를 뜻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경(景)’으로 읽는 것이 온당한 것으로 여겨진다.
주013)
뫼콰 므를 : 뫼ㅎ[山]+과(접속 조사)#믈[水]+을(대격 조사). 산과 물을.
주014)
임(臨)얫고 : 임(臨)+-(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임하고 있고. 임하여 있고.
주015)
  : [村]+ㅅ(관형격 조사)#[煙]+(보조사). 마을의 내는. 마을의 연기는.
주016)
개옛 몰애 : 개[浦]+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몰애[沙]+(대격 조사). 개의 모래를. 물가의 모래를.
주017)
대(對)얏도다 : 대(對)+-(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대하고 있도다.
주018)
어러운 : 어럽[狂]-+-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미친. 미친 듯한.
주019)
됴  : 둏[好]-+-(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ㅎ[地]+(대격 조사). 좋은 땅을. 이는 원문의 ‘형승(形勝)’을 번역한 것이다.
주020)
맛나 : 맛나[遇]-+-아(연결 어미). 만나.
주021)
취(醉)호 : 취(醉)+-(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취함을. 취하는 것을.
주022)
어두니 : 얻[得]-+-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얻으니.
주023)
외옛도다 : 외[化, 爲]-+-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되어 있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