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연음(燕飮)
  • 최 부마의 언덕 정자에 모여 연회하다[崔駙馬山亭宴集]
메뉴닫기 메뉴열기

최 부마의 언덕 정자에 모여 연회하다[崔駙馬山亭宴集]


崔駙馬 주001)
최 부마(崔駙馬)
최혜동(崔惠童)으로, 당나라 현종(玄宗)의 딸인 진국공주(晉國公主)의 남편이다. 최 부마는 장안성 동쪽 유산지(有山池)에 살았다고 한다.
山亭宴集
주002)
최부마산정연집(崔駙馬山亭宴集)
최 부마의 언덕 정자에 모여 연회하다. 이 시는 천보(天寶) 13년(754) 가을에 지었다고 한다. 당시 두보는 장안(長安)의 하두성(下杜城)에 있었다.

최부마산정연집
(최 부마의 언덕 정자에 모여 연회하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47ㄱ

蕭史幽棲地 林閒踏鳳毛【蕭史ㅣ 娵奏(秦)女弄玉 乘鳳而去니라 此 崔駙馬로 比蕭史다】

蕭史 주003)
소사(蕭史)
소사(蕭史)+(관형격 조사). 소사의. 〈열선전(列仙傳)〉에는 진나라 목공(穆公)이 그의 딸 농옥(弄玉)을 소사에게 시집보냈는데, 두 부부는 매일 누각에 올라 퉁소를 불어 봉황의 소리를 내었다고 한다. 어느 날, 봉황이 그 집에 내려오니, 부부가 타고 갔다고 한다.
幽棲얏 주004)
유서(幽棲)얏
유서(幽棲)+-(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벼슬을 하지 않고 조용히 살고 있는.
해 수픐 이예 주005)
수픐 이예
수플[林]+ㅅ(관형격 조사)#이[間]+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수풀 사이에.
鳳 터리 주006)
봉(鳳) 터리
봉(鳳)+(관형격 조사)#터리[毛]+(대격 조사). 봉황의 털을.
노라 주007)
노라
[踏]-+-(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밟노라.

【한자음】 소사유서지 림간답봉모【소사(蕭史)가 진나라 여자 농옥(弄玉)을 아내로 맞아 봉황을 타고 떠났다. 이는 최 부마를 소사에 비유한 것이다.】
【언해역】 소사(蕭史)의 벼슬을 하지 않고 조용히 살고 있는 땅에 수풀 사이에 봉황의 털을 밟노라.

洑流何處入 亂石閑(閉)門高洑 回流也ㅣ라 주008)
보(洑) 회류야(回流也)ㅣ라
본문의 할주에 ‘洑’과 같이 되어 있다. 이는 언해자가 ‘洑(보)’를 ‘복’으로 읽었음을 말해 준다. 이를 ‘보’로 읽으면, ‘洑’과 같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洑’에는 ‘복’이란 음이 없다. 언해자는 또 ‘보(洑)’를 ‘회류(回流)’로 풀이하고 있다. 언해는 ‘횟도로 흐르’으로 하였다. ‘보(洑)’에는 ‘수류회선처(水流回旋處)’란 뜻 외에 수복류지하(水伏流地下)‘란 뜻이 있다. 물이 어느 곳에서 들어오는지 모르는 것은 뒤의 뜻일 가능성이 높다. 언해 본문의 첫 구절은 ‘땅속을 흐르다가 나오는 물은 어디서 오는 것인가?’와 같은 요지로 번역되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횟도로 주009)
횟도로
횟(접두사)-+돌[回]-+-오(부사 파생 접미사). 휘돌아.
흐르 므른 어드러셔 주010)
어드러셔
어느 곳에서.
드러오뇨 주011)
드러오뇨
들[入]-+-어(연결 어미)#오[來]-+-(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들어오는 것인가?
어즈러운 돌해 주012)
어즈러운 돌해
어즈럽[亂]-+-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돌ㅎ[石]+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어지러운 돌에.
다돈 門이 주013)
다돈 문(門)이
닫[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문(門)+이(주격 조사). 닫은 문이.
노팻도다 주014)
노팻도다
높[高]-+-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높아 있도다.

【한자음】 보류하처입 란석한문고【보(洑)는 돌아 흐르는 물이다.】
【언해역】 휘돌아 흐르는 물은 어느 곳에서 들어오는 것인가? 어지러운 돌에 닫은 문이 높아 있도다.

客醉揮金椀 詩成得繡袍【唐武后ㅣ 使宋之問 주015)
송지문(宋之問)
중국 당나라의 시인(?656~712). 자는 연청(延淸). 오언시에 뛰어났고, 심전기와 함께 율체를 창시하였다.
等으로 賦詩야 詩先成者ㅣ 得錦袍니라】

소니 醉야셔 주016)
소니 취(醉)야셔
손[客]+이(주격 조사)#취(醉)+-(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셔(보조사). 손이 취해서.
金椀 주017)
금완(金椀)
금완(金椀)+(대격 조사). 금 주발을.
더디고 주018)
더디고
더디[投]-+-고(연결 어미). 던지고. ¶投 더딜 씨오 獻은 받올 씨니 모 精誠으로 더뎌 받올 씨라(투는 던지는 것이고, 헌은 바치는 것이니, 몸을 정성으로 던져 바치는 것이다.)〈법화 3:110ㄱ〉.
詩句ㅣ 이러 주019)
이러
일[成]-+-어(연결 어미). 이루어. 이루어져.
繡袍 주020)
수포(繡袍)
수놓은 도포를.
언놋다 주021)
언놋다
얻[得]-+-(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얻는구나. 얻는도다. ¶故鄕애 가 얻디 몯리로소니 히 亞夫의 營에 드렛도다(고향에 가는 것을 얻지 못할 것이니, 땅이 아부(亞夫)의 영(營)에 들어 있도다.)〈두시(초) 10:5ㄴ~6ㄱ〉.

【한자음】 객취휘금완 시성득수포【당나라 무후(武后)가 송지문 등으로 하여금 시를 부과하여 시를 먼저 이룬 사람이 금포(錦袍)를 얻게 한 것이다.】
【언해역】 손이 취하여서 금 주발을 던지고, 시구가 이루어져 수놓은 도포를 얻는구나.

淸秋多宴會 終日困香醪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  주022)
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ㅎ[秋]+(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 맑은 가을에.
이바디호미 주023)
이바디호미
이바디[宴]+-(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연회함이. 연회하는 것이. ¶忽然히 녯 노 이바디 호니 블근 매 거믄고애 다티더니라(문득 예전의 고귀한 연회를 생각하니, 붉은 소매가 거문고에 스치더라.)〈두시(초) 10:17ㄴ〉.
하니 주024)
하니
하[多]-+-니(연결 어미). 많으니.
나리 록 주025)
나리 록
날[日]+이(주격 조사)#[終]-+-록(연결 어미). 날이 마치도록. 종일토록. ¶ 셔 프른 플 오 고 머릴 횟돌아 旌旗 보라(강가에서 푸른 풀 밟는 것을 마치고, 머리를 휘돌려 정기(旌旗)를 보라.)〈두시(초) 10:4ㄱ〉.
곳다온 주026)
곳다온
곶[花]-+-답(형용사 파생 접미사)-+-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꽃다운. 향기로운.
수레 困호라 주027)
곤(困)호라
곤(困)+-(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곤하도다. 피곤하도다. 부대끼노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청추다연회 종일곤향료
【언해역】 맑은 가을에 연회가 많으니, 날이 끝나도록 꽃다운 술에 부대끼노라.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최 부마(崔駙馬) : 최혜동(崔惠童)으로, 당나라 현종(玄宗)의 딸인 진국공주(晉國公主)의 남편이다. 최 부마는 장안성 동쪽 유산지(有山池)에 살았다고 한다.
주002)
최부마산정연집(崔駙馬山亭宴集) : 최 부마의 언덕 정자에 모여 연회하다. 이 시는 천보(天寶) 13년(754) 가을에 지었다고 한다. 당시 두보는 장안(長安)의 하두성(下杜城)에 있었다.
주003)
소사(蕭史) : 소사(蕭史)+(관형격 조사). 소사의. 〈열선전(列仙傳)〉에는 진나라 목공(穆公)이 그의 딸 농옥(弄玉)을 소사에게 시집보냈는데, 두 부부는 매일 누각에 올라 퉁소를 불어 봉황의 소리를 내었다고 한다. 어느 날, 봉황이 그 집에 내려오니, 부부가 타고 갔다고 한다.
주004)
유서(幽棲)얏 : 유서(幽棲)+-(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벼슬을 하지 않고 조용히 살고 있는.
주005)
수픐 이예 : 수플[林]+ㅅ(관형격 조사)#이[間]+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수풀 사이에.
주006)
봉(鳳) 터리 : 봉(鳳)+(관형격 조사)#터리[毛]+(대격 조사). 봉황의 털을.
주007)
노라 : [踏]-+-(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밟노라.
주008)
보(洑) 회류야(回流也)ㅣ라 : 본문의 할주에 ‘洑’과 같이 되어 있다. 이는 언해자가 ‘洑(보)’를 ‘복’으로 읽었음을 말해 준다. 이를 ‘보’로 읽으면, ‘洑’과 같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洑’에는 ‘복’이란 음이 없다. 언해자는 또 ‘보(洑)’를 ‘회류(回流)’로 풀이하고 있다. 언해는 ‘횟도로 흐르’으로 하였다. ‘보(洑)’에는 ‘수류회선처(水流回旋處)’란 뜻 외에 수복류지하(水伏流地下)‘란 뜻이 있다. 물이 어느 곳에서 들어오는지 모르는 것은 뒤의 뜻일 가능성이 높다. 언해 본문의 첫 구절은 ‘땅속을 흐르다가 나오는 물은 어디서 오는 것인가?’와 같은 요지로 번역되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009)
횟도로 : 횟(접두사)-+돌[回]-+-오(부사 파생 접미사). 휘돌아.
주010)
어드러셔 : 어느 곳에서.
주011)
드러오뇨 : 들[入]-+-어(연결 어미)#오[來]-+-(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들어오는 것인가?
주012)
어즈러운 돌해 : 어즈럽[亂]-+-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돌ㅎ[石]+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어지러운 돌에.
주013)
다돈 문(門)이 : 닫[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문(門)+이(주격 조사). 닫은 문이.
주014)
노팻도다 : 높[高]-+-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높아 있도다.
주015)
송지문(宋之問) : 중국 당나라의 시인(?656~712). 자는 연청(延淸). 오언시에 뛰어났고, 심전기와 함께 율체를 창시하였다.
주016)
소니 취(醉)야셔 : 손[客]+이(주격 조사)#취(醉)+-(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셔(보조사). 손이 취해서.
주017)
금완(金椀) : 금완(金椀)+(대격 조사). 금 주발을.
주018)
더디고 : 더디[投]-+-고(연결 어미). 던지고. ¶投 더딜 씨오 獻은 받올 씨니 모 精誠으로 더뎌 받올 씨라(투는 던지는 것이고, 헌은 바치는 것이니, 몸을 정성으로 던져 바치는 것이다.)〈법화 3:110ㄱ〉.
주019)
이러 : 일[成]-+-어(연결 어미). 이루어. 이루어져.
주020)
수포(繡袍) : 수놓은 도포를.
주021)
언놋다 : 얻[得]-+-(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얻는구나. 얻는도다. ¶故鄕애 가 얻디 몯리로소니 히 亞夫의 營에 드렛도다(고향에 가는 것을 얻지 못할 것이니, 땅이 아부(亞夫)의 영(營)에 들어 있도다.)〈두시(초) 10:5ㄴ~6ㄱ〉.
주022)
 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ㅎ[秋]+(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 맑은 가을에.
주023)
이바디호미 : 이바디[宴]+-(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연회함이. 연회하는 것이. ¶忽然히 녯 노 이바디 호니 블근 매 거믄고애 다티더니라(문득 예전의 고귀한 연회를 생각하니, 붉은 소매가 거문고에 스치더라.)〈두시(초) 10:17ㄴ〉.
주024)
하니 : 하[多]-+-니(연결 어미). 많으니.
주025)
나리 록 : 날[日]+이(주격 조사)#[終]-+-록(연결 어미). 날이 마치도록. 종일토록. ¶ 셔 프른 플 오 고 머릴 횟돌아 旌旗 보라(강가에서 푸른 풀 밟는 것을 마치고, 머리를 휘돌려 정기(旌旗)를 보라.)〈두시(초) 10:4ㄱ〉.
주026)
곳다온 : 곶[花]-+-답(형용사 파생 접미사)-+-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꽃다운. 향기로운.
주027)
곤(困)호라 : 곤(困)+-(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곤하도다. 피곤하도다. 부대끼노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