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원림(園林)
  • 찬비 내리는 아침에 과원 나무를 보러 가다[寒雨朝行視園樹]
메뉴닫기 메뉴열기

찬비 내리는 아침에 과원 나무를 보러 가다[寒雨朝行視園樹]


寒雨朝行視園樹 주001)
한우조행시원수(寒雨朝行視園樹)
찬 비 내리는 아침에 과원의 나무를 보러 가다. 이 시는 대력(大曆) 2년(767) 가을에 지은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동둔(東屯)에서 벼를 수확하고, 다시 양서(瀼西)의 초당으로 돌아와 쑥과 감귤을 수확하였다고 한다.

한우조행시원수
(찬비 내리는 아침에 과원 나무를 보러 가다)

柴門雜樹向千株 丹橘黃甘此地無

柴門엣 주002)
시문(柴門)엣
시문(柴門)+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섶나무문의. 사립문의.
雜남기 주003)
잡(雜)남기
잡(雜)#[木]+이(주격 조사). 잡나무가. 원문의 ‘잡수(雜樹)’가 ‘옹수(拥樹)’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즈믄 나치 주004)
즈믄 나치
즈믄[千]#낯[箇, 株]+이(주격 조사). 천 개가. 천 주가. 천 그루가. ¶핫소리 집마다 나고 나모 뷔 놀앳소리 낫나치 도다(방아소리는 집집마다 나고, 나무 베는 노래소리는 낱낱이(하나같이) 같도다.)〈두시(초) 10:32ㄱ~ㄴ〉.
외야 주005)
외야
외[化]-+-아(연결 어미). 되어.
가니 주006)
가니
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가나니. 가니. 가는데.
블근 橘와 주007)
블근 귤(橘)와
븕[赤, 丹]-+-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귤(橘)+와(접속 조사). 붉은 귤과. ‘와/과’ 접속 조사는 중세어에서는 현대어와 달리 ‘ㄹ’ 받침 뒤에서 ‘와’가 쓰였다.
누른 甘子 주008)
누른 감자(甘子)
누르[黃]-+-ㄴ(관형사형 어미)#감자(甘子)+(보조사). 누런 감자는. 감자(甘子, 柑子)는 홍귤을 말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감자나무는 운향과에 딸린 상록 활엽 작은키나무로,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잎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6월에 흰 꽃이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등황색이며 약용한다. 한국의 제주, 중국 남부에 분포한다.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큰사전 참조〉.
해 주009)
해
ㅎ[地]+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땅에.
업도다

【한자음】 시문잡수향천주 단귤황감차지무
【언해역】 사립문의 잡나무가 천 그루 되어 가는데, 붉은 귤(橘)과 누런 감자(甘子)는 이 땅에 없도다.

江上今朝寒雨歇 籬中秀色畵屛紆

 우희 주010)
 우희
[江]#우ㅎ[上]+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강 위에.
오 아매 주011)
오 아매
오[今日]+ㅅ(관형격 조사)#아[朝]+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오늘 아침에.
치운 비 주012)
치운 비
칩[寒]-+-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비[雨]. 추운 비.
歇니 주013)
헐(歇)니
헐(歇)+-(동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그치니. ¶미친 性이 제 歇리라 歇면 곧 菩提 勝며 조며  미 本來 法界예 周徧야 사 브터 得디 아니리니(미친 성이 스스로 그치리라. 그치면 곧 보리 이기며 깨끗하며 밝은 마음이 본래 법계에 두루 걸쳐 사람부터 얻지 아니하리니)〈능엄 4:61ㄴ〉.
욼 가온 주014)
욼 가온
울[籬]+ㅅ(관형격 조사)#가온[中]+ㅅ(관형격 조사). 울타리의 가운데의.
됴 비츤 주015)
됴 비츤
둏[好, 秀]-+-(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빛[色]+은(보조사). 좋은 빛은.
그린 屛風이 주016)
그린 병풍(屛風)이
그리[畵]-+-ㄴ(관형사형 어미)#병풍(屛風)+(주격 조사). 그린 병풍이.
버므렛 주017)
버므렛
버믈[紆(우: 두르다)]-+-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둘러 있는. ¶患累 시름 버므로미라(환루는 시름 얽매이는 것이다.)〈월석 18:32ㄴ〉.
도다

【한자음】 강상금조한우헐 리중수색화병우
【언해역】 강 위에 오늘 아침 추운 비 그치니, 울타리 가운데의 좋은 빛은 그린 병풍이 둘러 있는 듯하도다.

桃蹊李徑年雖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15ㄱ

故 梔子紅椒豔色殊

복화 션 주018)
복화 션
복화[桃]#셔[立]-+-ㄴ(관형사형 어미). 복숭아나무 선. 복숭아 선.
길콰 주019)
길콰
길ㅎ[道, 蹊(혜: 지름길)]+과(접속 조사). 길과.
외얏 주020)
외얏
오얏[李]. 오얏나무.
길히 주021)
길히
길ㅎ[道, 徑(경: 지름길)]+이(주격 조사). 길이.
 비록 오라나 주022)
 비록 오라나
해[年] 비록 오래나. 해가 비록 오래지만.
梔子 주023)
치자(梔子)
치자나무. 꼭두서닛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1~4미터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6월에 흰 꽃이 하나씩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蒴果)로 9월에 익는다. 열매는 이뇨제 또는 주홍색 물감으로 쓴다. 한국 중부 이남,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표준국어대사전 참조〉.
紅椒 주024)
홍초(紅椒)
산초나무. 운향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깃모양 겹잎이다. 8~9월에 흰 꽃이 줄기 끝에 산방(繖房)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녹갈색의 삭과(蒴果)로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산기슭 양지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와 고온 비치 殊異도다

【한자음】 도혜리경년수고 치자홍초염색수
【언해역】 복숭아나무 선 길과 오얏나무 선 길이 해 비록 오래나 치자(梔子)나무와 홍초(紅椒)나무는 고운 빛이 특이하도다.

鏁石藤梢元自落 到天松骨見來枯

돌해 주025)
돌해
돌ㅎ[石]+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돌에.
얼겟 주026)
얼겟
얽[鏁]-+-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얽어 있는. ¶婆稚 얽다 혼 마리니(바치는 얽매이다 하는 말이니)〈석상 13:9ㄴ〉.
藤ㅅ 가지 본 주027)
본
본디. 본래.
주028)
스스로.
드롓고 주029)
드롓고
드리[垂, 落]-+-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드리워 있고.
하해 주030)
하해
하ㅎ[天]+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하늘에.
니르렛 주031)
니르렛
니를[到]-+-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이르러 있는.
소남 주032)
소남
솔[松]#[木]+(보조사). 소나무는.
보매 주033)
보매
보[見]-+-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봄에. 보는 것에. 보기에.
이우렛도다 주034)
이우렛도다
이울[枯]-+-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이울어 있도다. ¶몃   프리 이울어니오 오 나래 나좃 길히 窮迫얘라(몇 해를 봄풀이 이울었던 것인가? 오늘날 저녁 길이 몹시 곤궁하구나.)〈두시(초) 5:43ㄴ〉. 사 브려 더 져즐 브니 그 남기 즉자히 이울어늘 王이 이우다 듣고 해 업더디여 우더니(사람 부려 더운 젖을 부으니 그 나무가 즉시 이울거늘 왕이 이울다 듣고 땅에 엎드려 울더니)〈석상 24:42ㄱ〉.

【한자음】 쇄석등초원자락 도천송골견래고
【언해역】 돌에 얽어 있는 등나무 가지는 본디 스스로 드리워 있고, 하늘로 뻗은 소나무는 봄에(보기에) 이울어 있도다.

林香出實垂將盡 葉蔕辭枝不重蘇

수프렛 주035)
수프렛
수플[林]+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수풀의.
곳다온 주036)
곳다온
곶[花]+-답(형용사 파생 접미사)-+-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꽃다운.
남 주037)
남
[木]+(보조사). 나무는.
여르믈 주038)
여르믈
여름[實]+을(대격 조사). 열매를. ¶東山 남 自然히 여르미 열며(동산 나무에 자연히 열매가 열며)〈월석 2:31ㄱ〉.
내야 주039)
내야
나[出]-+-이(사동 파생 접미사)-+-아(연결 어미). 내어.
 업수메 주040)
업수메
없[無]-+-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에(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 없음에. 없는 것에. 없어지는 것에. 다하는 것에.
다랏고 주041)
다랏고
다[到]-+-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다달아 있고. 다달았고.
닙과 주042)
닙과
닙[葉]+과(접속 조사). 잎과.
고고리 주043)
고고리
고고리[蔕(체)]+(보조사). 꼭지는. ¶버릐집 브튼 고고리 하나 져그나 디허 처  돈곰  수레 프러 머그라(벌의 집 붙은 꼭지를 많으나 적으나 찧어 쳐서 한 돈을 따뜻한 술에 풀어 먹으라.)〈구간 3:63ㄱ〉.
가지 여희여 다시 디 주044)
디
[覺, 蘇]-+-디(연결 어미). 깨지. 소생하지. ¶ 醉락 야 興을 니 곧 지비 외얫도다(이 몸이 깨기도 하고 도로 취하기도 하여, 흥을 타니(흥에 겨웠는데) 곧 집이 되었도다.)〈두시(초) 10:3ㄴ〉.
몯놋다

【한자음】 림향출실수장진 엽체사지불중소
【언해역】 수풀의 꽃다운 나무는 열매를 내어 장차 없어지는 것(다하는 것)에 다달아 있고, 잎과 꼭지는 가지를 떠나 다시 깨지(소생하지) 못하는구나.

愛日恩光蒙借貸 淸霜殺氣得憂虞【愛日 冬日이니 言蒙冬日之暖故로 不憂淸霜殺氣之凜冽 주045)
늠렬(凜冽)
차가운 것. 추위.
也ㅣ니라】

온 주046)
온
[愛]+-(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사랑하는.
 주047)

[日]+(관형격 조사). 해의. 태양의.
恩惠왼 주048)
은혜(恩惠)왼
은혜(恩惠)+-외(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은혜로운.
비츨 주049)
비츨
빛[光]+을(대격 조사). 빛을.
빌요믈 주050)
빌요믈
빌[借]-+-이(사동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빌림을. 빌리는 것을. ¶窮 길헤 날 아닐 븟그려노니 늘근 나해 알 져 비러 혜노라(가난한 나그네 길에 날 아는 사람을 부끄러워하니, 늘근 나이 앞의 젓가락을 빌어 세노라.)〈두시(초) 10:29ㄴ〉.
니부니 주051)
니부니
닙[蒙(몽)]-+-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입으니. ¶하로브터셔 순 히 저젓니 더위 當야 니부니 도다(하늘(천자)로부터 쓴 땅(곳)이 〈아직〉 젖어 있나니(젖어 있는 듯한데) 더위를 당하여 입으니 맑도다.)〈두시(초) 11:23ㄱ〉.
 서리 주052)
 서리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서리[霜(상)]+(관형격 조사). 맑은 서리의.
肅殺 주053)
숙살(肅殺)
가을이나 겨울의 엄혹한 추위로 풀이나 나무가 조락하는 것.
ㅅ 氣運을 시름리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15ㄴ

주054)
시름리아
시름[憂]+-(동사 파생 접미사)-+-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가(의문 어미). 시름할 것인가? 걱정할 것인가?

【한자음】 애일은광몽차대 청상살기득우우【사랑하는 해는 겨울 해이니, 겨울 해의 따뜻함을 입은 고로, 맑은 서리의 살기(殺氣)의 추위를 걱정하지 않음을 말한다.】
【언해역】 사랑스러운 해의 은혜로운 빛을 빌리는 것을 입으니, 맑은 서리의 엄혹한 추위의 기운을 시름할 것이겠느냐?

衰顔動覓藜床坐 緩步仍須竹杖扶

늘근  주055)
늘근 
늙[老, 衰]-+-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늙은 낯에. 늙은 얼굴에.
뮌다마다 주056)
뮌다마다
뮈[動]-+-ㄴ다마다(연결 어미). 움직이자마자. 움직일 때마다.
도랏 平床을 주057)
도랏 평상(平床)을
도랓[藜(여)]#평상(平床)+을(대격 조사). 명아주 평상을.
어더 고 주058)
어더 고
얻[得]-+-어(연결 어미)#앉[坐]-+-고(연결 어미). 얻어 앉고.
날회여 주059)
날회여
날호[徐(서, 느리다)]-+-y(조음소)-+-어(연결 어미). 느리게. 천천히. ‘날호야’로도 쓰이고 ‘날회야’로도 쓰인다. 조음소 /y/가 어디에 쓰이는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y/가 앞 음절에 붙으면 ‘날회-’가 되는데, /y/에 의한 동화로 어미 ‘아/어’가 ‘야/여’가 되었다.
거로매 주060)
거로매
걷[步]-+-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걸음에. 걷는 것에.
지즈로 주061)
지즈로
말미암아. 인하여. ¶즌기 하고 지즈로 길히 구블(진흙이 많고 인하여 길이 굽기 때문에)〈두시(초) 21:29ㄱ〉.
대막대 주062)
대막대
대나무 막대를. 대나무 지팡이를.
어더 잡노라

【한자음】 쇠안동멱려상좌 완보잉수죽장부
【언해역】 늙은 얼굴에 움직일 때마다 명아주 평상을 얻어 앉고, 천천히 걸음에 인하여 대나무 지팡이를 얻어 잡노라.

散騎未知雲閣處 啼猿僻在楚山隅【此 ㅣ 言未得歸尙書工部員外之署而今在楚山也ㅣ니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散騎省 주063)
산기성(散騎省)
상서성(尙書省)을 가리킴.
구룸  주064)
구룸 
구룸[雲]#[奄, 襲]-+-ㄴ(관형사형 어미). 구름 낀.
집 잇 주065)
집 잇
집[家, 閣]#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집 있는.
 주066)

ㅎ[地]+(대격 조사). 땅을.
아디 주067)
아디
알[知]-+-디(연결 어미). 알지.
몯리로소니 주068)
몯리로소니
몯[不]+-(동사 파생 접미사)-+-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못할 것이로소니. 못할 것이니.
납 우 주069)
납 우
납[猿]#울[啼]-+-(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납 우는. 원숭이 우는. ¶미 며 하히 놉고 나 됫라미 슬프니 믌 며 몰애   새 라 도라오놋다(바람이 빠르며 하늘이 높고 원숭이의 휘파람이 슬프니, 물가가 맑으며 모래 흰 곳에 새 날아오는구나.)〈두시(초) 10:35ㄱ〉.
해 주070)
해
ㅎ[地]+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땅에.
幽僻히 주071)
유벽(幽僻)히
유벽(幽僻)+-(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한적하고 외지게.
楚山 주072)
초산(楚山)
호북성(湖北省) 서부에 있는 형산(荆山)을 말함.
모해 주073)
모해
모ㅎ[隅]+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모에. 모퉁이에.
잇노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산기미지운각처 제원벽재초산우【이는, 두보가 아직 상서성 공부 원외의 부서로 돌아가지 못하고 지금 초산에 있음을 말한 것이다.】
【언해역】 산기성(散騎省)의 구름 낀 집 있는 땅을 알지 못할 것이로니, 원숭이 우는 땅에 한적하게 초산(楚山)의 모퉁이에 있노라.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한우조행시원수(寒雨朝行視園樹) : 찬 비 내리는 아침에 과원의 나무를 보러 가다. 이 시는 대력(大曆) 2년(767) 가을에 지은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동둔(東屯)에서 벼를 수확하고, 다시 양서(瀼西)의 초당으로 돌아와 쑥과 감귤을 수확하였다고 한다.
주002)
시문(柴門)엣 : 시문(柴門)+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섶나무문의. 사립문의.
주003)
잡(雜)남기 : 잡(雜)#[木]+이(주격 조사). 잡나무가. 원문의 ‘잡수(雜樹)’가 ‘옹수(拥樹)’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주004)
즈믄 나치 : 즈믄[千]#낯[箇, 株]+이(주격 조사). 천 개가. 천 주가. 천 그루가. ¶핫소리 집마다 나고 나모 뷔 놀앳소리 낫나치 도다(방아소리는 집집마다 나고, 나무 베는 노래소리는 낱낱이(하나같이) 같도다.)〈두시(초) 10:32ㄱ~ㄴ〉.
주005)
외야 : 외[化]-+-아(연결 어미). 되어.
주006)
가니 : 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가나니. 가니. 가는데.
주007)
블근 귤(橘)와 : 븕[赤, 丹]-+-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귤(橘)+와(접속 조사). 붉은 귤과. ‘와/과’ 접속 조사는 중세어에서는 현대어와 달리 ‘ㄹ’ 받침 뒤에서 ‘와’가 쓰였다.
주008)
누른 감자(甘子) : 누르[黃]-+-ㄴ(관형사형 어미)#감자(甘子)+(보조사). 누런 감자는. 감자(甘子, 柑子)는 홍귤을 말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감자나무는 운향과에 딸린 상록 활엽 작은키나무로,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잎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6월에 흰 꽃이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등황색이며 약용한다. 한국의 제주, 중국 남부에 분포한다.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큰사전 참조〉.
주009)
해 : ㅎ[地]+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땅에.
주010)
 우희 : [江]#우ㅎ[上]+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강 위에.
주011)
오 아매 : 오[今日]+ㅅ(관형격 조사)#아[朝]+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오늘 아침에.
주012)
치운 비 : 칩[寒]-+-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비[雨]. 추운 비.
주013)
헐(歇)니 : 헐(歇)+-(동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그치니. ¶미친 性이 제 歇리라 歇면 곧 菩提 勝며 조며  미 本來 法界예 周徧야 사 브터 得디 아니리니(미친 성이 스스로 그치리라. 그치면 곧 보리 이기며 깨끗하며 밝은 마음이 본래 법계에 두루 걸쳐 사람부터 얻지 아니하리니)〈능엄 4:61ㄴ〉.
주014)
욼 가온 : 울[籬]+ㅅ(관형격 조사)#가온[中]+ㅅ(관형격 조사). 울타리의 가운데의.
주015)
됴 비츤 : 둏[好, 秀]-+-(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빛[色]+은(보조사). 좋은 빛은.
주016)
그린 병풍(屛風)이 : 그리[畵]-+-ㄴ(관형사형 어미)#병풍(屛風)+(주격 조사). 그린 병풍이.
주017)
버므렛 : 버믈[紆(우: 두르다)]-+-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둘러 있는. ¶患累 시름 버므로미라(환루는 시름 얽매이는 것이다.)〈월석 18:32ㄴ〉.
주018)
복화 션 : 복화[桃]#셔[立]-+-ㄴ(관형사형 어미). 복숭아나무 선. 복숭아 선.
주019)
길콰 : 길ㅎ[道, 蹊(혜: 지름길)]+과(접속 조사). 길과.
주020)
외얏 : 오얏[李]. 오얏나무.
주021)
길히 : 길ㅎ[道, 徑(경: 지름길)]+이(주격 조사). 길이.
주022)
 비록 오라나 : 해[年] 비록 오래나. 해가 비록 오래지만.
주023)
치자(梔子) : 치자나무. 꼭두서닛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1~4미터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6월에 흰 꽃이 하나씩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蒴果)로 9월에 익는다. 열매는 이뇨제 또는 주홍색 물감으로 쓴다. 한국 중부 이남,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표준국어대사전 참조〉.
주024)
홍초(紅椒) : 산초나무. 운향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깃모양 겹잎이다. 8~9월에 흰 꽃이 줄기 끝에 산방(繖房)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녹갈색의 삭과(蒴果)로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산기슭 양지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주025)
돌해 : 돌ㅎ[石]+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돌에.
주026)
얼겟 : 얽[鏁]-+-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얽어 있는. ¶婆稚 얽다 혼 마리니(바치는 얽매이다 하는 말이니)〈석상 13:9ㄴ〉.
주027)
본 : 본디. 본래.
주028)
제 : 스스로.
주029)
드롓고 : 드리[垂, 落]-+-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드리워 있고.
주030)
하해 : 하ㅎ[天]+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하늘에.
주031)
니르렛 : 니를[到]-+-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이르러 있는.
주032)
소남 : 솔[松]#[木]+(보조사). 소나무는.
주033)
보매 : 보[見]-+-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봄에. 보는 것에. 보기에.
주034)
이우렛도다 : 이울[枯]-+-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이울어 있도다. ¶몃   프리 이울어니오 오 나래 나좃 길히 窮迫얘라(몇 해를 봄풀이 이울었던 것인가? 오늘날 저녁 길이 몹시 곤궁하구나.)〈두시(초) 5:43ㄴ〉. 사 브려 더 져즐 브니 그 남기 즉자히 이울어늘 王이 이우다 듣고 해 업더디여 우더니(사람 부려 더운 젖을 부으니 그 나무가 즉시 이울거늘 왕이 이울다 듣고 땅에 엎드려 울더니)〈석상 24:42ㄱ〉.
주035)
수프렛 : 수플[林]+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수풀의.
주036)
곳다온 : 곶[花]+-답(형용사 파생 접미사)-+-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꽃다운.
주037)
남 : [木]+(보조사). 나무는.
주038)
여르믈 : 여름[實]+을(대격 조사). 열매를. ¶東山 남 自然히 여르미 열며(동산 나무에 자연히 열매가 열며)〈월석 2:31ㄱ〉.
주039)
내야 : 나[出]-+-이(사동 파생 접미사)-+-아(연결 어미). 내어.
주040)
업수메 : 없[無]-+-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에(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 없음에. 없는 것에. 없어지는 것에. 다하는 것에.
주041)
다랏고 : 다[到]-+-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다달아 있고. 다달았고.
주042)
닙과 : 닙[葉]+과(접속 조사). 잎과.
주043)
고고리 : 고고리[蔕(체)]+(보조사). 꼭지는. ¶버릐집 브튼 고고리 하나 져그나 디허 처  돈곰  수레 프러 머그라(벌의 집 붙은 꼭지를 많으나 적으나 찧어 쳐서 한 돈을 따뜻한 술에 풀어 먹으라.)〈구간 3:63ㄱ〉.
주044)
디 : [覺, 蘇]-+-디(연결 어미). 깨지. 소생하지. ¶ 醉락 야 興을 니 곧 지비 외얫도다(이 몸이 깨기도 하고 도로 취하기도 하여, 흥을 타니(흥에 겨웠는데) 곧 집이 되었도다.)〈두시(초) 10:3ㄴ〉.
주045)
늠렬(凜冽) : 차가운 것. 추위.
주046)
온 : [愛]+-(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사랑하는.
주047)
 : [日]+(관형격 조사). 해의. 태양의.
주048)
은혜(恩惠)왼 : 은혜(恩惠)+-외(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은혜로운.
주049)
비츨 : 빛[光]+을(대격 조사). 빛을.
주050)
빌요믈 : 빌[借]-+-이(사동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빌림을. 빌리는 것을. ¶窮 길헤 날 아닐 븟그려노니 늘근 나해 알 져 비러 혜노라(가난한 나그네 길에 날 아는 사람을 부끄러워하니, 늘근 나이 앞의 젓가락을 빌어 세노라.)〈두시(초) 10:29ㄴ〉.
주051)
니부니 : 닙[蒙(몽)]-+-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입으니. ¶하로브터셔 순 히 저젓니 더위 當야 니부니 도다(하늘(천자)로부터 쓴 땅(곳)이 〈아직〉 젖어 있나니(젖어 있는 듯한데) 더위를 당하여 입으니 맑도다.)〈두시(초) 11:23ㄱ〉.
주052)
 서리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서리[霜(상)]+(관형격 조사). 맑은 서리의.
주053)
숙살(肅殺) : 가을이나 겨울의 엄혹한 추위로 풀이나 나무가 조락하는 것.
주054)
시름리아 : 시름[憂]+-(동사 파생 접미사)-+-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가(의문 어미). 시름할 것인가? 걱정할 것인가?
주055)
늘근  : 늙[老, 衰]-+-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늙은 낯에. 늙은 얼굴에.
주056)
뮌다마다 : 뮈[動]-+-ㄴ다마다(연결 어미). 움직이자마자. 움직일 때마다.
주057)
도랏 평상(平床)을 : 도랓[藜(여)]#평상(平床)+을(대격 조사). 명아주 평상을.
주058)
어더 고 : 얻[得]-+-어(연결 어미)#앉[坐]-+-고(연결 어미). 얻어 앉고.
주059)
날회여 : 날호[徐(서, 느리다)]-+-y(조음소)-+-어(연결 어미). 느리게. 천천히. ‘날호야’로도 쓰이고 ‘날회야’로도 쓰인다. 조음소 /y/가 어디에 쓰이는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y/가 앞 음절에 붙으면 ‘날회-’가 되는데, /y/에 의한 동화로 어미 ‘아/어’가 ‘야/여’가 되었다.
주060)
거로매 : 걷[步]-+-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걸음에. 걷는 것에.
주061)
지즈로 : 말미암아. 인하여. ¶즌기 하고 지즈로 길히 구블(진흙이 많고 인하여 길이 굽기 때문에)〈두시(초) 21:29ㄱ〉.
주062)
대막대 : 대나무 막대를. 대나무 지팡이를.
주063)
산기성(散騎省) : 상서성(尙書省)을 가리킴.
주064)
구룸  : 구룸[雲]#[奄, 襲]-+-ㄴ(관형사형 어미). 구름 낀.
주065)
집 잇 : 집[家, 閣]#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집 있는.
주066)
 : ㅎ[地]+(대격 조사). 땅을.
주067)
아디 : 알[知]-+-디(연결 어미). 알지.
주068)
몯리로소니 : 몯[不]+-(동사 파생 접미사)-+-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못할 것이로소니. 못할 것이니.
주069)
납 우 : 납[猿]#울[啼]-+-(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납 우는. 원숭이 우는. ¶미 며 하히 놉고 나 됫라미 슬프니 믌 며 몰애   새 라 도라오놋다(바람이 빠르며 하늘이 높고 원숭이의 휘파람이 슬프니, 물가가 맑으며 모래 흰 곳에 새 날아오는구나.)〈두시(초) 10:35ㄱ〉.
주070)
해 : ㅎ[地]+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땅에.
주071)
유벽(幽僻)히 : 유벽(幽僻)+-(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한적하고 외지게.
주072)
초산(楚山) : 호북성(湖北省) 서부에 있는 형산(荆山)을 말함.
주073)
모해 : 모ㅎ[隅]+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모에. 모퉁이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