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지소(池沼)
  • 시내 위에서[溪上]
메뉴닫기 메뉴열기

시내 위에서[溪上]


溪上 주001)
계상(溪上)
시내 위에서. 이 시는 대력(大曆) 2년(767) 기주(夔州)의 양서(瀼西)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계상
(시내 위에서)

峽內淹留客 溪邊四五家

峽 안해 주002)
협(峽) 안해
협(峽)#안ㅎ[內]+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골짜기 안에. 산골짜기 안에.
머므 주003)
머므
머믈[留]-+-(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머무는. ¶가 야미 우루믈 머믈우디 아니니  져비 마 손 도다(검은 매미 우는 것을 그치지 않으니, 가을 제비는 이미 나그네 같도다.)〈두시(초) 10:29ㄱ〉.
나그내여 시냇 주004)
시냇
시내[溪]+ㅅ(관형격 조사)#[邊]+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시냇가에.
너덧 지비로다 주005)
너덧 지비로다
너[四]#덧[五]#집[家]+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너댓 집이로다.

【한자음】 협내엄류객 계변사오가
【언해역】 산골짜기 안에 와 머무는 나그네여, 시냇가에 너댓 집이로다.

古苕生迮地 秋竹隱疎花【迮은 側格反니 迫也ㅣ라】

苕草 주006)
초초(苕草)
초(苕)의 뜻은 첫째 능소화(凌霄花)나 자위(紫葳)를 가리키는데, 이는 낙엽 목질의 나무이다. 둘째는 초채(苕菜) 즉 자운영(紫云英)을 가리키는데, 1, 2년생 초본이다. 능소화나 자운영은 좁은 땅에 적합하지 않다. 다른 본에는 ‘초(苕)’가 ‘태(苔)’로 되어 있으니, ‘초(苕)’를 ‘이끼 태(苔)’의 잘못으로 보기로 한다.
조 해 주007)
조 해
좁[狹(협), 迮(책)]-+-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ㅎ[地]+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좁은 땅에.
냇고 주008)
냇고
나[生]-+-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나 있고.
 대옌 주009)
 대옌
[秋]+ㅅ(관형격 조사)#대[竹]+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ㄴ(보조사). 가을의 대에는. 가을의 대나무에는.
드믄 고지 주010)
드믄 고지
드믈[疎]-+-ㄴ(관형사형 어미)#곶[花]+이(주격 조사). 드문 꽃이.
그얫도다 주011)
그얫도다
그[隱]+-(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그윽하여 있도다. 그윽해 있도다. ¶길흔 즈믄  돌 서리예 그얫고 돗긘 一片ㅅ 구루미 머므렛도다(길은 천 겹 돌 사이에 그윽해 있고, 배의 돛에는 한 조각의 구름이 머물러 있도다.)〈두시(초) 10:32ㄴ〉.

【한자음】 고초생책지 추죽은소화【책(迮)은 측(側)과 격(格)의 반절이니, 궁색하다는 말이다.】
【언해역】 옛 이끼는 좁은 땅에 나 있고, 가을의 대나무에는 드문 꽃이 그윽해 있도다.

塞俗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28ㄴ

人無井 山田飯有沙

邊塞옛 주012)
변새(邊塞)옛
변새(邊塞)+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변새의. 변방의 요새의. 변경의 요새의. 변방 요새의.
風俗은 사미 우므리 주013)
우므리
우믈[井]+이(주격 조사). 우물이. ¶方便門 여르샤 우믈 폼 고 眞實相 뵈샤 믈 보미 니라(방편문을 여시는 것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고 진실상을 보이시는 것은 물을 보는 것과 같은 것이다.)〈법화 4:95ㄴ〉.
업스니
주014)
사미 우므리 업스니
사람이 우물이 없으니. 인가에 우물이 없으니. 변방에서는 강에서 물을 길어다 먹어 우물을 파지 않는다고 한다.
묏바 주015)
묏바
뫼[山]+ㅅ(관형격 조사)#밭[田]+(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ㄴ(보조사). 산밭에는. 산밭은.
바배 주016)
바배
밥[飯]+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밥에. ¶몃  니근 바 맛나거니오 萬里예 淸明이 逼近도다(몇 해를 익은 밥을 만나는 것인가? 만리에 청명이 아주 가깝도다.)〈두시(초) 11:10ㄱ〉. 時節 아닌 저긔 밥 먹디 마롬과(때 아닌 적에 밥 먹지 않는 것과)〈석상 6:10ㄴ〉.
몰애 주017)
몰애
모래. ¶沙 몰애오 礫은 혀근 돌히오 棘草 가와 프귀왜라(사는 모래이고, 역(력)은 작은 돌이고, 극초는 가시와 푸성귀이다.)〈월석 10:117ㄴ〉. 그텟 누른 버듨고 새 딕먹니 鵁鶄과 鸂鶒괘 갠 몰애예 기 안잿도다(강 끝의 누런 버들꽃을 새 찍어 먹으니 해오라기와 비오리가 갠(햇빛이 비치는) 모래에 가득히 앉아 있도다.)〈두시(초) 11:21ㄴ〉.
잇도다

【한자음】 새속인무정 산전반유사
【언해역】 변방 요새의 풍속은 사람이 우물이 없으니, 산밭은 밥에 모래 있도다.

西江使船至 時復問京華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西ㅅ녁 매 주018)
매
[江]+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강에.
使臣의  주019)
사신(使臣)의 
사신(使臣)+의(관형격 조사)#[船]. 사신의 배. 사신이 탄 배.
왜시니 주020)
왜시니
오[來]-+-아(연결 어미)#이시[有]-+-니(연결 어미). 와 있으니. ¶一萬 玉女 香水 담고 虛空애 왜시며 一萬 玉女 黨蓋 자바 뫼 이시며(일만 옥녀는 향수 담고 허공에 와 있으며 일만 옥녀는 당개(黨蓋) 잡고 모시고 있으며)〈월석 2:32ㄱ〉.
時로 주021)
시(時)로
시(時)+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 때로. 때때로. 때마다.
셔욼 이 주022)
셔욼 이
셔울[京]+ㅅ(관형격 조사)#일[事]+(대격 조사). 서울의 일을.
문노라 주023)
문노라
묻[問]-+-(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묻노라. ¶그 리 드러 니대 護彌 長者ㅣ 나아오나 婆羅門이 安否 묻고 닐오 舍衛國에  大臣 須達이라 호리 잇니 아시니가(그 딸이 들어 이르기를, 호미 장자가 나아오거늘 파라문이 안부 묻고 이르되 사위국에 한 대신 수달이라 할 사람이 있는데 아십니까?)〈석상 6:14ㄴ〉.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서강사선지 시부문경화
【언해역】 서녘 강에 사신이 탄 배 와 있으니, 때로 또 서울 일을 묻노라.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계상(溪上) : 시내 위에서. 이 시는 대력(大曆) 2년(767) 기주(夔州)의 양서(瀼西)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주002)
협(峽) 안해 : 협(峽)#안ㅎ[內]+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골짜기 안에. 산골짜기 안에.
주003)
머므 : 머믈[留]-+-(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머무는. ¶가 야미 우루믈 머믈우디 아니니  져비 마 손 도다(검은 매미 우는 것을 그치지 않으니, 가을 제비는 이미 나그네 같도다.)〈두시(초) 10:29ㄱ〉.
주004)
시냇 : 시내[溪]+ㅅ(관형격 조사)#[邊]+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시냇가에.
주005)
너덧 지비로다 : 너[四]#덧[五]#집[家]+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너댓 집이로다.
주006)
초초(苕草) : 초(苕)의 뜻은 첫째 능소화(凌霄花)나 자위(紫葳)를 가리키는데, 이는 낙엽 목질의 나무이다. 둘째는 초채(苕菜) 즉 자운영(紫云英)을 가리키는데, 1, 2년생 초본이다. 능소화나 자운영은 좁은 땅에 적합하지 않다. 다른 본에는 ‘초(苕)’가 ‘태(苔)’로 되어 있으니, ‘초(苕)’를 ‘이끼 태(苔)’의 잘못으로 보기로 한다.
주007)
조 해 : 좁[狹(협), 迮(책)]-+-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ㅎ[地]+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좁은 땅에.
주008)
냇고 : 나[生]-+-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나 있고.
주009)
 대옌 : [秋]+ㅅ(관형격 조사)#대[竹]+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ㄴ(보조사). 가을의 대에는. 가을의 대나무에는.
주010)
드믄 고지 : 드믈[疎]-+-ㄴ(관형사형 어미)#곶[花]+이(주격 조사). 드문 꽃이.
주011)
그얫도다 : 그[隱]+-(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그윽하여 있도다. 그윽해 있도다. ¶길흔 즈믄  돌 서리예 그얫고 돗긘 一片ㅅ 구루미 머므렛도다(길은 천 겹 돌 사이에 그윽해 있고, 배의 돛에는 한 조각의 구름이 머물러 있도다.)〈두시(초) 10:32ㄴ〉.
주012)
변새(邊塞)옛 : 변새(邊塞)+예(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변새의. 변방의 요새의. 변경의 요새의. 변방 요새의.
주013)
우므리 : 우믈[井]+이(주격 조사). 우물이. ¶方便門 여르샤 우믈 폼 고 眞實相 뵈샤 믈 보미 니라(방편문을 여시는 것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고 진실상을 보이시는 것은 물을 보는 것과 같은 것이다.)〈법화 4:95ㄴ〉.
주014)
사미 우므리 업스니 : 사람이 우물이 없으니. 인가에 우물이 없으니. 변방에서는 강에서 물을 길어다 먹어 우물을 파지 않는다고 한다.
주015)
묏바 : 뫼[山]+ㅅ(관형격 조사)#밭[田]+(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ㄴ(보조사). 산밭에는. 산밭은.
주016)
바배 : 밥[飯]+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밥에. ¶몃  니근 바 맛나거니오 萬里예 淸明이 逼近도다(몇 해를 익은 밥을 만나는 것인가? 만리에 청명이 아주 가깝도다.)〈두시(초) 11:10ㄱ〉. 時節 아닌 저긔 밥 먹디 마롬과(때 아닌 적에 밥 먹지 않는 것과)〈석상 6:10ㄴ〉.
주017)
몰애 : 모래. ¶沙 몰애오 礫은 혀근 돌히오 棘草 가와 프귀왜라(사는 모래이고, 역(력)은 작은 돌이고, 극초는 가시와 푸성귀이다.)〈월석 10:117ㄴ〉. 그텟 누른 버듨고 새 딕먹니 鵁鶄과 鸂鶒괘 갠 몰애예 기 안잿도다(강 끝의 누런 버들꽃을 새 찍어 먹으니 해오라기와 비오리가 갠(햇빛이 비치는) 모래에 가득히 앉아 있도다.)〈두시(초) 11:21ㄴ〉.
주018)
매 : [江]+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강에.
주019)
사신(使臣)의  : 사신(使臣)+의(관형격 조사)#[船]. 사신의 배. 사신이 탄 배.
주020)
왜시니 : 오[來]-+-아(연결 어미)#이시[有]-+-니(연결 어미). 와 있으니. ¶一萬 玉女 香水 담고 虛空애 왜시며 一萬 玉女 黨蓋 자바 뫼 이시며(일만 옥녀는 향수 담고 허공에 와 있으며 일만 옥녀는 당개(黨蓋) 잡고 모시고 있으며)〈월석 2:32ㄱ〉.
주021)
시(時)로 : 시(時)+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 때로. 때때로. 때마다.
주022)
셔욼 이 : 셔울[京]+ㅅ(관형격 조사)#일[事]+(대격 조사). 서울의 일을.
주023)
문노라 : 묻[問]-+-(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묻노라. ¶그 리 드러 니대 護彌 長者ㅣ 나아오나 婆羅門이 安否 묻고 닐오 舍衛國에  大臣 須達이라 호리 잇니 아시니가(그 딸이 들어 이르기를, 호미 장자가 나아오거늘 파라문이 안부 묻고 이르되 사위국에 한 대신 수달이라 할 사람이 있는데 아십니까?)〈석상 6:14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