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연음(燕飮)
  • 호 시어 서당에서 연회하다[宴胡侍御書堂]
메뉴닫기 메뉴열기

호 시어 서당에서 연회하다[宴胡侍御書堂]


宴胡侍御書堂 주001)
연호시어서당(宴胡侍御書堂)
호시어 서당에서 연회하다. ‘호(胡)’는 사람의 성일 것이다. ‘시어(侍御)’는 임금을 옆에서 보필하는 벼슬 이름이다. 이 시는 대력(大曆) 3년(768) 봄(3월)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객으로 강릉(江陵)에 있었다.
ㅣ 自註 李尙書之芳鄭秘監審으로 同集호라】

연호시어서당
(호 시어 서당에서 연회하다)
두보가 스스로 주석하기를, 이지방(李之芳) 상서정심(鄭審) 비감과 함께 모였다고 하였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49ㄱ

江湖春欲暮 牆宇日猶微

江湖앤 주002)
강호(江湖)앤
강호(江湖)+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ㄴ(보조사). 강호에는. 강호는 여기서 강릉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보미 늘거 가니 주003)
늘거 가니
늙[老, 暮]-+-어(연결 어미)#가[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늙어 가나니. 늙어 가는데. 봄이 저물어 감을 말한다.
牆宇엔 주004)
장우(牆宇)엔
장우(牆宇)+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ㄴ(보조사). 집에는.
비치 주005)
비치
[日]+ㅅ(관형격 조사)#빛[光]+이(주격 조사). 햇빛이.
오히려 微微도다

【한자음】 강호춘욕모 장우일유미
【언해역】 강호에는 봄이 저물어 가는데, 집에는 햇빛이 오히려 미미하도다.

闇闇書籍滿 輕輕花絮飛

어득히 주006)
어득히
어득[暗, 闇(암)]+-(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어둑히.
書籍이 얫고 주007)
얫고
[滿]+-(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가득해 있고. ¶滅度 後에 塔 셰여 그 나라해 호  나 德으로 두루 저쥬미라(멸도 후에 탑 세워 그 나라에 가득함은 또 남은 덕으로 두루 젖게 하는 것이다.)〈월석 15:18ㄱ〉.
가야이 주008)
가야이
가얍[輕]-+-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벼이. ¶一乘法 中엔 다룜과 브륨과 가야오며 므거운 纖悉 法이【纖은 혀글 씨라】몯니 업슨  가비니(일승의 법 가운데는 다스림과 부려짐과 가벼우며 무거운 섬실한 법이【섬은 작은 것이다.】 구비되지 못한 것이 없는 것을 비유하니)〈법화 2:196ㄴ〉.
곳과 柳絮왜 주009)
곳과 유서(柳絮)왜
곶[花]+과(접속 조사)#유서(柳絮)+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꽃과 버들솜이.
놋다 주010)
놋다
[飛]-+-(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나는구나. 나는도다. ¶즉자히 라녀 十方애 다 가 諸佛을 다 셤기(즉시 날아다녀 시방에 다 가서 여러 부처님을 다 섬기와)〈월석 8:52ㄱ〉.

【한자음】 암암서적만 경경화서비
【언해역】 어둑히 서적이 가득해 있고, 가볍게 꽃과 버들솜이 나는구나.

翰林名有素 墨客興無違

翰林은 주011)
한림(翰林)은
한림(翰林)+은(보조사). 한림은. 한림학사는.
일후미 주012)
일후미
일훔[名]+이(주격 조사). 이름이.
본로 주013)
본로
본[素]+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 본디대로. 본래대로. 태어난 대로.
잇고 글 스 주014)
글 스
글[文]#스[書]#(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글 쓰는. 
소 주015)
소
손[客]+(보조사). 손은. 객은.
興心이 주016)
흥심(興心)이
흥심(興心)+이(주격 조사). 흥미로운 마음이.
어긔릿디 주017)
어긔릿디
어긔릿[違]-+-디(연결 어미). 어긋나지. ‘어긔릿-’이 나타나는 유일한 예이다. 유사한 형태로 ‘어긔릇-, 어긔릋-’이 나타난다. ¶恩惠 感激 義ㅣ 젹디 아니니 녯 이 야 禮 어긔르치 아니놋다(은혜를 감격하는 의가 적지 아니하니 옛 일을 생각하여 예를 어기지 아니하는구나.)〈두시(초) 24:48ㄴ〉.
아니도다

【한자음】 한림명유소 묵객흥무위
【언해역】 한림학사는 이름이 본래대로 있고, 글 쓰는 객은 흥미로운 마음이 어긋나지 아니하도다.

今夜文星動 吾儕醉不歸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오 바 주018)
오 바
오[今日]+ㅅ(관형격 조사)#밤[夜]+(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오늘 밤에.
하해 주019)
하해
하ㅎ[天]+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하늘에.
文星 주020)
문성(文星)
문학을 주관하는 문창성(文昌星). 문학적인 재능을 가진 사람을 비유함.
뮈니 주021)
뮈니
뮈[動]-+-(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움직이나니.
우리 무리 주022)
우리 무리
우리[吾等]#물[群]+이(주격 조사). 우리 무리가.
醉야 도라가디 몯노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금야문성동 오제취부귀
【언해역】 오늘 밤에 하늘에 문성(文星)이 움직이나니, 우리 무리가 취하여 돌아가지 못하노라.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연호시어서당(宴胡侍御書堂) : 호시어 서당에서 연회하다. ‘호(胡)’는 사람의 성일 것이다. ‘시어(侍御)’는 임금을 옆에서 보필하는 벼슬 이름이다. 이 시는 대력(大曆) 3년(768) 봄(3월)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객으로 강릉(江陵)에 있었다.
주002)
강호(江湖)앤 : 강호(江湖)+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ㄴ(보조사). 강호에는. 강호는 여기서 강릉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주003)
늘거 가니 : 늙[老, 暮]-+-어(연결 어미)#가[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늙어 가나니. 늙어 가는데. 봄이 저물어 감을 말한다.
주004)
장우(牆宇)엔 : 장우(牆宇)+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ㄴ(보조사). 집에는.
주005)
비치 : [日]+ㅅ(관형격 조사)#빛[光]+이(주격 조사). 햇빛이.
주006)
어득히 : 어득[暗, 闇(암)]+-(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어둑히.
주007)
얫고 : [滿]+-(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가득해 있고. ¶滅度 後에 塔 셰여 그 나라해 호  나 德으로 두루 저쥬미라(멸도 후에 탑 세워 그 나라에 가득함은 또 남은 덕으로 두루 젖게 하는 것이다.)〈월석 15:18ㄱ〉.
주008)
가야이 : 가얍[輕]-+-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벼이. ¶一乘法 中엔 다룜과 브륨과 가야오며 므거운 纖悉 法이<원주>【纖은 혀글 씨라】몯니 업슨  가비니(일승의 법 가운데는 다스림과 부려짐과 가벼우며 무거운 섬실한 법이<원주>【섬은 작은 것이다.】 구비되지 못한 것이 없는 것을 비유하니)〈법화 2:196ㄴ〉.
주009)
곳과 유서(柳絮)왜 : 곶[花]+과(접속 조사)#유서(柳絮)+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꽃과 버들솜이.
주010)
놋다 : [飛]-+-(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나는구나. 나는도다. ¶즉자히 라녀 十方애 다 가 諸佛을 다 셤기(즉시 날아다녀 시방에 다 가서 여러 부처님을 다 섬기와)〈월석 8:52ㄱ〉.
주011)
한림(翰林)은 : 한림(翰林)+은(보조사). 한림은. 한림학사는.
주012)
일후미 : 일훔[名]+이(주격 조사). 이름이.
주013)
본로 : 본[素]+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 본디대로. 본래대로. 태어난 대로.
주014)
글 스 : 글[文]#스[書]#(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글 쓰는. 
주015)
소 : 손[客]+(보조사). 손은. 객은.
주016)
흥심(興心)이 : 흥심(興心)+이(주격 조사). 흥미로운 마음이.
주017)
어긔릿디 : 어긔릿[違]-+-디(연결 어미). 어긋나지. ‘어긔릿-’이 나타나는 유일한 예이다. 유사한 형태로 ‘어긔릇-, 어긔릋-’이 나타난다. ¶恩惠 感激 義ㅣ 젹디 아니니 녯 이 야 禮 어긔르치 아니놋다(은혜를 감격하는 의가 적지 아니하니 옛 일을 생각하여 예를 어기지 아니하는구나.)〈두시(초) 24:48ㄴ〉.
주018)
오 바 : 오[今日]+ㅅ(관형격 조사)#밤[夜]+(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오늘 밤에.
주019)
하해 : 하ㅎ[天]+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하늘에.
주020)
문성(文星) : 문학을 주관하는 문창성(文昌星). 문학적인 재능을 가진 사람을 비유함.
주021)
뮈니 : 뮈[動]-+-(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움직이나니.
주022)
우리 무리 : 우리[吾等]#물[群]+이(주격 조사). 우리 무리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