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과실(果實)
  • 감귤원[甘園]
메뉴닫기 메뉴열기

감귤원[甘園]


甘園 주001)
감원(甘園)
감귤 과원. 감귤원. 밀감 과수원. 이 시는 광덕(廣德) 원년(763) 봄에 지은 것이라 한다. 감원(甘園)은 중국 사천성 삼태현의 재주(梓州) 부근에 있었다고 한다.

감원
(감귤원)

春日淸江岸 千甘二頃園

봄낤   주002)
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江]+ㅅ(관형격 조사). 맑은 강의.
두들게 주003)
두들게
두듥[堤, 岸]+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둑에. 두둑에.
즈믄 甘子ㅅ 남기 주004)
즈믄 감자(甘子)ㅅ 남기
즈믄[千]#감자(甘子)+ㅅ(관형격 조사)#[木]+이(주격 조사). 천의 귤나무가. 천 그루의 귤나무가.
이럼 주005)
이럼
이랑[畦(휴)]. 밭두둑. ¶太湖 므리오 一百 이럼이  頃이니 므리 너븐  니고 (태호는 물이고 1백 이럼이 한 경이니 물이 넓은 모양을 이르고)〈금삼 1:15ㄱ〉.
만 주006)
만
만[程度]+-(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만한.
위안히로다 주007)
위안히로다
위안ㅎ[園]#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농원이도다. 과원이도다. 과수원이도다. 위안은 울타리가 있는 농원이나 밭 또는 과원을 가리킨다. ¶위안햇  金玉 아나 가도 곰 요 디 몯리로다(채마밭의 나물을, 금과 옥을 안아 가도(금과 옥을 가져다 바쳐도) 그것으로써 캐는 것을 이루지 못할 것이로다.)〈두시(초) 10:25ㄴ〉.

【한자음】 춘일청강안 천감이경원
【언해역】 봄날 맑은 강의 두둑에 천 그루의 귤나무가 두 이랑 만한 과원이로다.

靑雲羞葉密 白雲避花繁

프른 구루미 주008)
프른 구루미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구룸[雲]+(주격 조사). 푸른 구름이.
니픠 호 주009)
니픠 호
닢[葉]+의(관형격 조사)#[密]+-(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잎의 빽빽함을.
붓그리고 주010)
붓그리고
붓그리[恥, 羞]-+-고(연결 어미). 부끄러워하고.
 누니 주011)
 누니
[白]-+-ㄴ(관형사형 어미)#눈[雪]+이(주격 조사). 흰 눈이.
고 하 주012)
고 하
곶[花]+(관형격 조사)#하[多, 繁]-+-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꽃의 많음을. 꽃이 많이 핌을. 꽃이 많이 피는 것을.
避리로다 주013)
피(避)리로다
피(避)+-(동사 파생 접미사)-+-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피할 것이로다. 피할 것이도다.

【한자음】 청운수엽밀 백운피화번
【언해역】 푸른 구름이 잎의 빽빽함을 부끄러워하고, 흰 눈이 꽃의 많음을 피할 것이로다.

結子隨邊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20ㄱ

使 開筒近至尊【筒 盛柑之筒이라】

여름 여러 주014)
여름 여러
여름[實]#열[結]-+-어(연결 어미). 열매 열어. 열매가 열려 〈수확하면〉.
邊方앳 使者 주015)
변방(邊方)앳 사자(使者)
변방(邊方)+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사자(使者)+(대격 조사). 변방의 사자를. 변방은 촉지방을 가리킴. 촉지방이 장안에서 멀기 때문에 변방이라 부른 것임. 당나라 때에는 촉지방에서 대궐에 감귤을 바치었다.
조차 筒 여러 주016)
통(筒) 여러
통(筒)+(대격 조사)#열[開]-+-어(연결 어미). 대롱을 열어. 대롱은 감귤을 담는 통이라는 주석이 달려 있다.
님금 갓가이 주017)
갓가이
갓갑[近]-+-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까이.
놋다 주018)
놋다
[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하는구나.

【한자음】 결자수변사 개통근지존【대롱은 감귤을 담는 통이다.】
【언해역】 열매 열어 변방의 사자를 좇아 대롱을 열어 임금께 가까이 하는구나.

後於桃李熟 終得獻金門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복화와 외야 주019)
복화와 외야
복화[桃]+와(접속 조사)#외얒[李]+(관형격 조사). 복숭아와 오얏의.
니구메 주020)
니구메
닉[熟]-+-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익음에.
後호 주021)
후(後)호
후(後)+-(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뒤에 서되. 뒤서되. 뒤서지만. 여기서는 ‘귤이 복숭아나 자두보다 늦게 익지만’의 뜻이다.
매 주022)
매
[終]+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마침내.
시러곰 주023)
시러곰
싣[得]-+-어(연결 어미)+곰(보조사). 능히. ‘시러’는 연결 어미가 연결된 것이지만, 재구조화된 부사로 볼 수 있다.
金門 주024)
금문(金門)
금마문(金馬門). 한대(漢代)의 관문의 이름. 한대의 문인들은 이곳에서 대궐의 부름을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 후세에는 조정(朝廷)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였다.
進獻놋다 주025)
진헌(進獻)놋다
진헌(進獻)+-(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진헌하는구나. 진상하는구나. 진헌하도다. 진헌하는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후어도리숙 종득헌금문
【언해역】 복숭아와 오얏의 익음에 뒤서지만, 마침내 능히 조정에 진헌하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감원(甘園) : 감귤 과원. 감귤원. 밀감 과수원. 이 시는 광덕(廣德) 원년(763) 봄에 지은 것이라 한다. 감원(甘園)은 중국 사천성 삼태현의 재주(梓州) 부근에 있었다고 한다.
주002)
 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江]+ㅅ(관형격 조사). 맑은 강의.
주003)
두들게 : 두듥[堤, 岸]+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둑에. 두둑에.
주004)
즈믄 감자(甘子)ㅅ 남기 : 즈믄[千]#감자(甘子)+ㅅ(관형격 조사)#[木]+이(주격 조사). 천의 귤나무가. 천 그루의 귤나무가.
주005)
이럼 : 이랑[畦(휴)]. 밭두둑. ¶太湖 므리오 一百 이럼이  頃이니 므리 너븐  니고 (태호는 물이고 1백 이럼이 한 경이니 물이 넓은 모양을 이르고)〈금삼 1:15ㄱ〉.
주006)
만 : 만[程度]+-(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만한.
주007)
위안히로다 : 위안ㅎ[園]#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농원이도다. 과원이도다. 과수원이도다. 위안은 울타리가 있는 농원이나 밭 또는 과원을 가리킨다. ¶위안햇  金玉 아나 가도 곰 요 디 몯리로다(채마밭의 나물을, 금과 옥을 안아 가도(금과 옥을 가져다 바쳐도) 그것으로써 캐는 것을 이루지 못할 것이로다.)〈두시(초) 10:25ㄴ〉.
주008)
프른 구루미 :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구룸[雲]+(주격 조사). 푸른 구름이.
주009)
니픠 호 : 닢[葉]+의(관형격 조사)#[密]+-(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잎의 빽빽함을.
주010)
붓그리고 : 붓그리[恥, 羞]-+-고(연결 어미). 부끄러워하고.
주011)
 누니 : [白]-+-ㄴ(관형사형 어미)#눈[雪]+이(주격 조사). 흰 눈이.
주012)
고 하 : 곶[花]+(관형격 조사)#하[多, 繁]-+-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꽃의 많음을. 꽃이 많이 핌을. 꽃이 많이 피는 것을.
주013)
피(避)리로다 : 피(避)+-(동사 파생 접미사)-+-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피할 것이로다. 피할 것이도다.
주014)
여름 여러 : 여름[實]#열[結]-+-어(연결 어미). 열매 열어. 열매가 열려 〈수확하면〉.
주015)
변방(邊方)앳 사자(使者) : 변방(邊方)+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사자(使者)+(대격 조사). 변방의 사자를. 변방은 촉지방을 가리킴. 촉지방이 장안에서 멀기 때문에 변방이라 부른 것임. 당나라 때에는 촉지방에서 대궐에 감귤을 바치었다.
주016)
통(筒) 여러 : 통(筒)+(대격 조사)#열[開]-+-어(연결 어미). 대롱을 열어. 대롱은 감귤을 담는 통이라는 주석이 달려 있다.
주017)
갓가이 : 갓갑[近]-+-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까이.
주018)
놋다 : [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하는구나.
주019)
복화와 외야 : 복화[桃]+와(접속 조사)#외얒[李]+(관형격 조사). 복숭아와 오얏의.
주020)
니구메 : 닉[熟]-+-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익음에.
주021)
후(後)호 : 후(後)+-(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뒤에 서되. 뒤서되. 뒤서지만. 여기서는 ‘귤이 복숭아나 자두보다 늦게 익지만’의 뜻이다.
주022)
매 : [終]+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마침내.
주023)
시러곰 : 싣[得]-+-어(연결 어미)+곰(보조사). 능히. ‘시러’는 연결 어미가 연결된 것이지만, 재구조화된 부사로 볼 수 있다.
주024)
금문(金門) : 금마문(金馬門). 한대(漢代)의 관문의 이름. 한대의 문인들은 이곳에서 대궐의 부름을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 후세에는 조정(朝廷)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였다.
주025)
진헌(進獻)놋다 : 진헌(進獻)+-(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진헌하는구나. 진상하는구나. 진헌하도다. 진헌하는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