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과실(果實)
  • 서씨의 집을 찾아가 과일 묘목을 구하다[詣徐卿覓果子栽]
메뉴닫기 메뉴열기

서씨의 집을 찾아가 과일 묘목을 구하다[詣徐卿覓果子栽]


詣徐卿覓果子栽 주001)
예서경멱과자재(詣徐卿覓果子栽)
서씨의 집을 찾아가 과일 묘목을 구하다. 제목이 ‘예서경멱과재(詣徐卿覓果栽)’와 같이 되어 있는 곳도 있다. 이 시는 상원(上元) 원년(760) 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두보는 기주에 머무는 1년 9개월 동안 기주와 관련되는 시 440여 수를 지었다. 두보는 47세 가을 성도에서 성도윤(成都尹) 겸 검남서천절도사 엄무(嚴武)를 만났는데, 엄무는 두보의 옛 친구로, 두보에게 누구보다도 큰 후원자가 되어 주었다. 엄무는 두보보다 10년이나 연하였으나, 두보는 엄무의 도움으로 성도 근교 완화계(浣花溪) 부근에 초당(草堂)을 마련하고 비교적 평온한 나날을 보냈다.

예서경멱과자재
(서씨의 집을 찾아가 과일 묘목을 구하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19ㄴ

草堂少花今欲栽 不問綠李與黃梅

草堂애 주002)
초당(草堂)애
초당(草堂)+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초당에.
고지 주003)
고지
곶[花]+이(주격 조사). 꽃이.
져글 주004)
져글
젹[少]-+-으(조음소)-+-ㅭ(연결 어미). 적기 때문에. ‘-ㅭ’는 ‘-ㅭ(미래 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가 어미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이제 시므고져 주005)
시므고져
시므[植]-+-고져(연결 어미). 심고자. 어간 ‘시므-’는 자음 어미 앞에서만 나타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이 된다.
야 프른 외얏과 주006)
프른 외얏과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외얏[李]+과(공동격 조사). 푸른 오얏(자두)과.
누른 梅花 주007)
누른 매화(梅花)
누르[黃]-+-ㄴ(관형사형 어미)#매화(梅花)+(대격 조사). 누런 매화를. 매화나무의 열매인 매실이 익으면 누런 색깔이 되므로, 누런 매화라 한 것이다.
야 주008)
야
[區別]-+-아(연결 어미). 가리어. 구별하여. ¶根莖大小 草木 모도아 샤(뿌리와 줄기의 크고 작음은 초목을 모아서 구별하시어)〈법화 3:12ㄱ〉.
묻디 아니노라

【한자음】 초당소화금욕재 부문록리여황매
【언해역】 초당에 꽃이 적기 때문에 이제 심고자 하여 푸른 오얏과 누런 매화를 가리어 묻지 아니하노라.

石筍街中却歸去 果園坊裏爲求來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石荀ㅅ 긼 주009)
석순(石荀)ㅅ 긼
석순(石荀)+ㅅ(관형격 조사)#길[道, 街]+ㅅ(관형격 조사). 석순의 길의. ‘석순가’라는 거리 이름이라 한다.
가온로 주010)
가온로
가온[中]+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 가운데로.
도로 가 果園坊ㅅ 주011)
과원방(果園坊)ㅅ
과원방(果園坊)+ㅅ(관형격 조사). 과원방의. ‘과원방’은 동네 이름이라 한다.
안해 주012)
안해
안ㅎ[內]+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안에.
爲야 어드라 주013)
위(爲)야 어드라
위(爲)+-(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얻[求]-+-으(조음소)-+-라(연결 어미). 위하여 얻으러. 얻기 위하여. ¶比丘ㅣ 나 齋米 어드라 온 디 아니라 大王 보라 오다(비구가 아뢰대 나는 재미를 얻으러 온 것이 아니라 대왕을 보려고 온 것입니다.)〈월석 8:92ㄱ〉.
오라 주014)
오라
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오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석순가중각귀거 과원방리위구래
【언해역】 석순 길 가운데로 도로 가서 과원방 안에 얻기 위하여 오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예서경멱과자재(詣徐卿覓果子栽) : 서씨의 집을 찾아가 과일 묘목을 구하다. 제목이 ‘예서경멱과재(詣徐卿覓果栽)’와 같이 되어 있는 곳도 있다. 이 시는 상원(上元) 원년(760) 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두보는 기주에 머무는 1년 9개월 동안 기주와 관련되는 시 440여 수를 지었다. 두보는 47세 가을 성도에서 성도윤(成都尹) 겸 검남서천절도사 엄무(嚴武)를 만났는데, 엄무는 두보의 옛 친구로, 두보에게 누구보다도 큰 후원자가 되어 주었다. 엄무는 두보보다 10년이나 연하였으나, 두보는 엄무의 도움으로 성도 근교 완화계(浣花溪) 부근에 초당(草堂)을 마련하고 비교적 평온한 나날을 보냈다.
주002)
초당(草堂)애 : 초당(草堂)+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초당에.
주003)
고지 : 곶[花]+이(주격 조사). 꽃이.
주004)
져글 : 젹[少]-+-으(조음소)-+-ㅭ(연결 어미). 적기 때문에. ‘-ㅭ’는 ‘-ㅭ(미래 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가 어미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05)
시므고져 : 시므[植]-+-고져(연결 어미). 심고자. 어간 ‘시므-’는 자음 어미 앞에서만 나타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이 된다.
주006)
프른 외얏과 :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외얏[李]+과(공동격 조사). 푸른 오얏(자두)과.
주007)
누른 매화(梅花) : 누르[黃]-+-ㄴ(관형사형 어미)#매화(梅花)+(대격 조사). 누런 매화를. 매화나무의 열매인 매실이 익으면 누런 색깔이 되므로, 누런 매화라 한 것이다.
주008)
야 : [區別]-+-아(연결 어미). 가리어. 구별하여. ¶根莖大小 草木 모도아 샤(뿌리와 줄기의 크고 작음은 초목을 모아서 구별하시어)〈법화 3:12ㄱ〉.
주009)
석순(石荀)ㅅ 긼 : 석순(石荀)+ㅅ(관형격 조사)#길[道, 街]+ㅅ(관형격 조사). 석순의 길의. ‘석순가’라는 거리 이름이라 한다.
주010)
가온로 : 가온[中]+로(부사격 조사, 조격 조사). 가운데로.
주011)
과원방(果園坊)ㅅ : 과원방(果園坊)+ㅅ(관형격 조사). 과원방의. ‘과원방’은 동네 이름이라 한다.
주012)
안해 : 안ㅎ[內]+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안에.
주013)
위(爲)야 어드라 : 위(爲)+-(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얻[求]-+-으(조음소)-+-라(연결 어미). 위하여 얻으러. 얻기 위하여. ¶比丘ㅣ 나 齋米 어드라 온 디 아니라 大王 보라 오다(비구가 아뢰대 나는 재미를 얻으러 온 것이 아니라 대왕을 보려고 온 것입니다.)〈월석 8:92ㄱ〉.
주014)
오라 : 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오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