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
  • 교량(橋梁)
  • 다리가 완성됨을 보고 달밤에 배 안에서 시를 지어 이 사마에게 되돌려 드리다
메뉴닫기 메뉴열기

다리가 완성됨을 보고 달밤에 배 안에서 시를 지어 이 사마에게 되돌려 드리다


觀作橋成고 月夜舟中에 有述야 還呈李司馬 주001)
이 사마(李司馬)
당시의 촉주(蜀州) 사마로, 다리를 놓아 백성들의 불편을 해소하였다. 이 시는 그 이 사마가 베풀어 준 것에 대한 답시의 성격을 띤다. 앞의 시에 이어진 주제이다.
노라
주002)
관작교성(觀作橋成)고 월야주중(月夜舟中)에 유술(有述)야 환정리사마(還呈李司馬)노라
다리가 완성됨을 보고 달밤에 배 안에서 시를 지어 이 사마에게 되돌려 드리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 겨울에 지은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촉주(蜀州)에 있었다.

관작교성고 월야주중에 유술야 환정리사마노라
(다리가 완성됨을 보고 달밤에 배 안에서 시를 지어 이 사마에게 되돌려 드리다)

把燭橋成夜 迴舟客坐時

리 일운 주003)
일운
이/일[成]-+-우(사동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이룬. ‘이다’의 어간 ‘이-’는 모음 어미 앞에서는 ‘일-’이 된다.
바 주004)
바
밤[夜]+(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밤에.
燭ㅅ브를 자밧고 주005)
자밧고
잡[把]-+-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잡고 있고.
안잿  주006)
안잿 
앉[坐]-+-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時]+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앉아 있는 때에.
 횟도놋다 주007)
 횟도놋다
[船, 舟]+(대격 조사)#횟(접두사)-+돌[廻]-+-(사동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배를 휘돌리도다.

【한자음】 파촉교성야 회주객좌시
【언해역】 다리 이룬(완성된) 밤에 촛불을 잡고 있고(촛불을 잡고 다리 완성한 밤에), 손 앉아 있는 때 배를 휘돌리도다.

天高雲去盡 江逈月來遲

하히 노니 주008)
하히 노니
하ㅎ[天]+이(주격 조사)#높[高]-+-(조음소)-+-니(연결 어미). 하늘이 높으니.
구룸 가미 다고 주009)
구룸 가미 다고
구룸[雲]#가[去]-+-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다[盡]-+-고(연결 어미). 구름 가는 것이 다하고.
미 아라니 주010)
미 아라니
[江]+이(주격 조사)#아라[逈(형: 멀다)]+-(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강이 아스라하니. 강이 아득하니.
 오미 주011)
 오미
[月]+(관형격 조사)#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달의 옴이. 달이 오는 것이. 달이 뜨는 것이.
더듸도다 주012)
더듸도다
더듸[遲]-+-도다(감탄 어미). 더디도다. ¶고 로 므 일로 니오 늘거 가매 보미 더듸 가과뎌 願노라(꽃이 나는 것은 무슨 일로 빠른 것인가? 늙어 감에 봄이 더디 갔으면 하고 원하노라.)〈두시(초) 10:16ㄱ〉.

【한자음】 천고운거진 강형월래지
【언해역】 하늘이 높으니 구름 가는 것이 다하고, 강이 아스라하니 달이 오는 것이 더디도다.

衰謝多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5:36ㄱ

扶病 招邀屢有期

늘구메 주013)
늘구메
늙[老]-+-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늙음에.
病 모 주014)
병(病) 모
병(病)+-(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몸[身]+(대격 조사). 병든 몸을.
扶持호 주015)
부지(扶持)호
부지(扶持)+-(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부지하는 것을. 병수발하는 것을. 돌보는 것을.
주016)
하[多]-+-이(부사 파생 접미사). 많이.
노니 블려(러) 주017)
블려(러)
부르[呼, 招]-+-어(연결 어미). 불러. ‘블려’는 ‘블러’의 잘못으로 본다.
마쵸미 주018)
마쵸미
마치[邀(요: 맞게 하다)]+-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맞게 함이. 맞게 하는 것이. 맞이하는 것이. ‘마치-’는 기원적으로 ‘맞[迎]-+-히(사동 파생 접미사)-’에서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사동 접미사로 ‘-히-’를 상정해야 한다.¶江閣애셔 소 마자  보내야 마쵸미 許 午時록 니러 안자쇼 하히  적브뎌(브터) 호라(강의 누각에서 손을 맞아 말 보내어 맞게 하는 것이 허하므로 오시까지 일어 앉아 있음을 하늘이 밝은 적부터 하는도다.)〈두시(초) 21:22ㄴ〉.
주019)
블려(러) 마쵸미
불러 맞게 하는 것이. 왕진(往診)이.
조 주020)
조
자주.
期約이 잇도다

【한자음】 쇠사다부병 초요루유기
【언해역】 늙음에 병든 몸을 돌보는 것을 많이 하노니, 불러 맞이함(왕진)이 자주 약속이 있도다.

異方乘此興 樂罷不無悲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다 해 주021)
다 해
다[異]-+-ㄴ(관형사형 어미)#ㅎ[地, 方]+애(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 다른 땅에.
와 이 興을 토니 주022)
토니
[乘]-+-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타니.
즐교 주023)
즐교
즐기[樂]-+-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즐김을. 즐기는 것을.
니 주024)
니
[罷(파)]-+-니(연결 어미). 마치니. ¶그윗 일로 나 저근 곧 부톄 敎化 차 샤 녀느 고대 가 衆 生 利샤미니(관청 일로 나갈 적은 곧 부처님이 교화 장차 마치시고 다른 곳에 가서 중생 이익이 되게 하심이니)〈월석 15:23ㄱ~ㄴ〉.
슬푸미 주025)
슬푸미
슬프[悲]-+-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슬픔이.
업디 아니도다 주026)
업디 아니도다
없[無]-+-디(연결 어미)#아니+-(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없지 아니하도다. 없지 않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이방승차흥 락파불무비
【언해역】 다른 땅에 와서 이 흥을 타니, 즐기는 것을 마치니 슬픔이 없지 아니하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4년 9월 30일

주석
주001)
이 사마(李司馬) : 당시의 촉주(蜀州) 사마로, 다리를 놓아 백성들의 불편을 해소하였다. 이 시는 그 이 사마가 베풀어 준 것에 대한 답시의 성격을 띤다. 앞의 시에 이어진 주제이다.
주002)
관작교성(觀作橋成)고 월야주중(月夜舟中)에 유술(有述)야 환정리사마(還呈李司馬)노라 : 다리가 완성됨을 보고 달밤에 배 안에서 시를 지어 이 사마에게 되돌려 드리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 겨울에 지은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촉주(蜀州)에 있었다.
주003)
일운 : 이/일[成]-+-우(사동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이룬. ‘이다’의 어간 ‘이-’는 모음 어미 앞에서는 ‘일-’이 된다.
주004)
바 : 밤[夜]+(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밤에.
주005)
자밧고 : 잡[把]-+-아(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잡고 있고.
주006)
안잿  : 앉[坐]-+-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時]+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앉아 있는 때에.
주007)
 횟도놋다 : [船, 舟]+(대격 조사)#횟(접두사)-+돌[廻]-+-(사동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어말 어미). 배를 휘돌리도다.
주008)
하히 노니 : 하ㅎ[天]+이(주격 조사)#높[高]-+-(조음소)-+-니(연결 어미). 하늘이 높으니.
주009)
구룸 가미 다고 : 구룸[雲]#가[去]-+-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다[盡]-+-고(연결 어미). 구름 가는 것이 다하고.
주010)
미 아라니 : [江]+이(주격 조사)#아라[逈(형: 멀다)]+-(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강이 아스라하니. 강이 아득하니.
주011)
 오미 : [月]+(관형격 조사)#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달의 옴이. 달이 오는 것이. 달이 뜨는 것이.
주012)
더듸도다 : 더듸[遲]-+-도다(감탄 어미). 더디도다. ¶고 로 므 일로 니오 늘거 가매 보미 더듸 가과뎌 願노라(꽃이 나는 것은 무슨 일로 빠른 것인가? 늙어 감에 봄이 더디 갔으면 하고 원하노라.)〈두시(초) 10:16ㄱ〉.
주013)
늘구메 : 늙[老]-+-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늙음에.
주014)
병(病) 모 : 병(病)+-(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몸[身]+(대격 조사). 병든 몸을.
주015)
부지(扶持)호 : 부지(扶持)+-(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부지하는 것을. 병수발하는 것을. 돌보는 것을.
주016)
해 : 하[多]-+-이(부사 파생 접미사). 많이.
주017)
블려(러) : 부르[呼, 招]-+-어(연결 어미). 불러. ‘블려’는 ‘블러’의 잘못으로 본다.
주018)
마쵸미 : 마치[邀(요: 맞게 하다)]+-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맞게 함이. 맞게 하는 것이. 맞이하는 것이. ‘마치-’는 기원적으로 ‘맞[迎]-+-히(사동 파생 접미사)-’에서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사동 접미사로 ‘-히-’를 상정해야 한다.¶江閣애셔 소 마자  보내야 마쵸미 許 午時록 니러 안자쇼 하히  적브뎌(브터) 호라(강의 누각에서 손을 맞아 말 보내어 맞게 하는 것이 허하므로 오시까지 일어 앉아 있음을 하늘이 밝은 적부터 하는도다.)〈두시(초) 21:22ㄴ〉.
주019)
블려(러) 마쵸미 : 불러 맞게 하는 것이. 왕진(往診)이.
주020)
조 : 자주.
주021)
다 해 : 다[異]-+-ㄴ(관형사형 어미)#ㅎ[地, 方]+애(부사격 조사, 달격 조사). 다른 땅에.
주022)
토니 : [乘]-+-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타니.
주023)
즐교 : 즐기[樂]-+-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즐김을. 즐기는 것을.
주024)
니 : [罷(파)]-+-니(연결 어미). 마치니. ¶그윗 일로 나 저근 곧 부톄 敎化 차 샤 녀느 고대 가 衆 生 利샤미니(관청 일로 나갈 적은 곧 부처님이 교화 장차 마치시고 다른 곳에 가서 중생 이익이 되게 하심이니)〈월석 15:23ㄱ~ㄴ〉.
주025)
슬푸미 : 슬프[悲]-+-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슬픔이.
주026)
업디 아니도다 : 없[無]-+-디(연결 어미)#아니+-(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없지 아니하도다. 없지 않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