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40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40


【경】 四 三性의 空과 有왜오

네흔 三性의 空과 有왜오

넷은 삼성의 공과 유이요,

【종밀주석】 〈空宗 有란 謂依와 計왜오 空란 謂圓成이라커든 性宗은 卽徧計 情有理無고 依他 相有性無고 圓成은 情無理有며 相無性有ㅣ라 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1:60ㄴ

〈空宗 有란 依와 計왜라 니고 空란 圓成이라 니거든 【空宗 오직 보 잇 法이 곧 眞實 아니라 菩提 涅槃애 니르러도 주001)
니르러도:
니를-(이르다) + -어도[연결 어미].
다 夢幻 니라 依와 計와 依他와 徧計왜니 이 依와 計왜 다 虛妄니 虛妄ㅅ 中에 이 두 일훔 닐오 空華ㅣ  病 누늘 브터 이숌 주002)
이숌:
이시-(있다) + -옴.
며  第二月이  주003)
:
(남, 다른 사람) + -[관형격 조사].
비븨욤과 주004)
비븨욤과:
비븨-(비비다) + -옴 + -과[접속 조사].

원각경언해 상1의1:61ㄱ

月을 브터 이숌  일후미 依他ㅣ오 迷 사미 데 주005)
데:
(뜻) + -에[처소 부사격 조사].
혜여 주006)
혜여:
혜-(생각하다, 계산하다) + -어[앞선 동작 양태의 연결 어미]. * 이 연결 어미 ‘-어’는 ‘-어, -여, -아, -야’의 이형태를 갖음.
닐오 實로 잇다 호미 곧 이 徧計니 두 디 비록 다나 주007)
다나:
다-(다르다) + -나[대등적 연결 어미].
일훔논 法이 다디 아니니 이 等 諸法이 다 잇논 곧 업수미 주008)
업수미:
없- + -움- + -이 + -[특수의 보조사].
비르서 일후미 圓成이니 그러나 이 圓成은 오직 依他偏計ㅅ 空 理 자바 니고  그 體 업슬 세히 다 性 업다 니니라】
性宗 곧 徧計 情엔 이쇼 理옌 업고 【노 우희 얌 보며 杌木 우희 귓것 봄 야 덴 一定히 이쇼 理옌 一定히 업스니라 〖杌 가지 업슨 남기라 주009)
남기라:
남ㄱ(나무) + -이라[서술격 조사].
〗】
依他 相 이쇼 性은 업고 【水中엣 와 金中엣 그릇 야 相 잇 호 體性은 오로 주010)
오로:
온전히.
업스니라】
圓成은 情엔 업수 理옌 이시며 相 업수 性은 잇다 

원각경언해 상1의1:61ㄴ

니라 【迷 사미 얌과 귓것 잇니라 볼 저글 주011)
저글:
적(적, 때) +을[목적격 조사].
잡건댄 주012)
잡건댄:
잡-(잡다) + -거-[확인법 선어말 어미] + ㄴ댄[조건의 연결 어미].
情中엔 노콰 주013)
노콰:
노ㅎ(노) + -과[접속 조사].
杌왜 다 업슬 닐오 情엔 업다 고 노콰 杌왜 이 實 닐오 理옌 잇다 며 摩尼珠ㅣ 거믄 빗 中에 이셔 비록 거믄 相 오로 뵈나 주014)
뵈나:
뵈-(보이다) + -나[양보의 연결 어미].
그 性은 녜 곰 야  性은 이 잇고 거믄 相 이 업스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공종은 유라고 하는 의와 계라 이르고, 공이란 원생이라 이르거든 【공종은, 오직 보는 있는 법이 곧 진실 아니라, 보리 열반에 이르러도 다 몽환과 같으니라. 의와 계는 의타와 편계이니 이 의와 계가 다 허망하니 허망한 가운데 이 두 이름 일컬음은 공화가 남의 병든 눈을 의지하고 있는 것과 같으며 또 제2월이 남의 눈 비비는 것과 본월에 의지하고 있음과 같으므로 이름이 의타이고, 미혹한 사람이 뜻에 생각하여 이르되 실로 있다 함이 곧 이 편계니, 두 뜻이 비록 다르나 일컫는 법이 다르지 아니하니 이 등 제법이 다 있는 곳 없음이야말로 비로소 이름이 원성이니, 그러나 이 원성은 오직 의타편계의 공한 이치를 잡아 이르고 또 그 체가 없으므로 셋이 다 성이 없다 이르니라.】 성종은, 곧 편계는 정에는 있되 이에는 없고, 【노끈 위의 뱀을 보며 올목 위의 귀신을 보는 것 같아서 뜻에는 반드시 있되, 이치에는 반드시 없으니라. 〖올은 가지 없는 나무라.〗】 의타는 상은 있되 성은 없고 【수중에 달과 금중의 그릇 같아서 상은 있는 듯하되 체성은 온전히 없으니라.】 원성은 정에는 없되 이에는 있으며, 상은 없되 성은 있다 하니라. 【미혹한 사람이 뱀과 귀신이 있느니라 (하고) 볼 때를 잡으려면, 뜻 안에는 노끈과 올이 다 없으므로 이르되 뜻에는 없다고 하고, 노끈과 올이 이것이 실하므로 이르되 이치에는 있다 하며, 마니주가 검은 빛 중에 있어 비록 검은 상을 온전히 보이나 그 성은 항상 밝음과 같아서 밝은 성은 이것이 있고 검은 상은 이것이 없으니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니르러도:니를-(이르다) + -어도[연결 어미].
주002)
이숌:이시-(있다) + -옴.
주003)
:(남, 다른 사람) + -[관형격 조사].
주004)
비븨욤과:비븨-(비비다) + -옴 + -과[접속 조사].
주005)
데:(뜻) + -에[처소 부사격 조사].
주006)
혜여:혜-(생각하다, 계산하다) + -어[앞선 동작 양태의 연결 어미]. * 이 연결 어미 ‘-어’는 ‘-어, -여, -아, -야’의 이형태를 갖음.
주007)
다나:다-(다르다) + -나[대등적 연결 어미].
주008)
업수미:없- + -움- + -이 + -[특수의 보조사].
주009)
남기라:남ㄱ(나무) + -이라[서술격 조사].
주010)
오로:온전히.
주011)
저글:적(적, 때) +을[목적격 조사].
주012)
잡건댄:잡-(잡다) + -거-[확인법 선어말 어미] + ㄴ댄[조건의 연결 어미].
주013)
노콰:노ㅎ(노) + -과[접속 조사].
주014)
뵈나:뵈-(보이다) + -나[양보의 연결 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