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2집 상1의1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38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각경의 10가지 분문 38


【경】 二 眞智와

둘흔 眞智와

두번째는 진지와

【종밀주석】 〈能了無性者ㅣ라〉

〈能히 性 업수믈 안 거시라 【닐오 一切 다 잇논 곧 업수믈 알오 곧 이 아론 주001)
아론:
알- + -오- + -ㄴ[관형사형 어미].
智도  得디 몯호미 곧 일후미 眞智니 다가  法이나 이시면 주002)
이시면:
이시-(있다) + -면[종속적 연결 어미].
곧 眞智 아니라】

〈능히 성 없음을 안 것이라. 【말하기를 일체 다 있는 곳 없음을 알고, 곧 이 안 지도 또 얻지 못하는 것이 곧 이름이 진지이니, 만약 한 법이라도 있으면 곧 진지가 아니라.】

【경】 眞知왜오

眞知왜오

진지이고

【종밀주석】 〈一心이 眞實야 本自能知야 通於理智며 徹於染淨니 如華嚴問明品說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1:58ㄱ

〈 미 眞實야 本來 제 能히 아라 理와 智와애 通며 染과 淨과애 니 주003)
니:
-(통하다) + -니[연결 어미].
華嚴 問明品ㅅ 말 니라 주004)
니라:
-(같다) + -니라[평서형 종결 어미].
【華嚴에 覺首 等 아홉 菩薩이 무르샤 주005)
무르샤:
묻-[‘ㄷ’ 불규칙 동사] + -으시- + -오- +-[설명의 연결 어미].
므스기 주006)
므스기:
므슥(무엇) + -이[주격 조사].
부텻 境界ㅅ 智고 【能證智라】 文殊ㅣ 偈로 對答샤 諸佛ㅅ 智ㅣ 自在샤 三世예 룐 주007)
룐:
리-(가리다, 가려지다) + -오- + ㄴ[관형사형 어미].
업스시니 주008)
업스시니:
없- + -으시 + -니[연결 어미].
【權智 빗기 주009)
빗기:
-(비뚤다, 비스듬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아디 주010)
아디:
알- + -디[보조적 연결 어미].
몯홈 업스실 니샤 自在오 바 三際예 실 주011)
실:
-(통하다) + -시 + -ㄹ[원인의 연결 어미].
룐 곧 업스시니라】
이 慧ㅅ 境界

원각경언해 상1의1:58ㄴ

 平等야 虛空 시다 시고 【實智ㄹ 니샤 慧ㅅ 境이 平等야 虛空 다 시니 虛空 호 若干 업슬시니 若干 數 一定 몯 마리라】  무르샤 므스기 부텻 境界ㅅ 知ㅣ 고 【 體相 교미라 주012)
교미라:
기-(밝히다) + -옴 + -이라[서술격 조사].
文殊ㅣ 偈로 對答샤 識의 能히 아롤 곧 아니며   境界 아니라 그 性이 本來 淸淨니 한 群生 여러 주013)
여러:
열-(열다) + -어[앞선 동작의 양태 연결 어미].
뵈시니라 야시 뎌 䟽애 사겨 주014)
사겨:
사기-(새기다, 해석하다) + -어[앞선 동작의 양태 연결 어미].
닐오 知 곧 心體니 【뎌 鈔애 닐오 이 句는 標야 뵈요미니 주015)
뵈요미니:
뵈-(보이다) + -옴 + -이니[서술격 조사].
닐오 알 所證法을 對샤 能證智 기시고 이젠 靈知ㅅ 미 木石에 달아 能과 所왓 證에 通호 바 니시니라  알 오직 佛果ㅅ 權實智慧라 凡

원각경언해 상1의1:59ㄱ

에 通티 아니 니샤 佛智自在라 시고 이 等은 凡聖에 通 니샤 性이 조호 주016)
조호:
좋-(깨끗하다) + -옴 + -[목적격 조사].
群生 여러 뵈샴 히라 주017)
히라:
ㅎ-(-들)[복수 접미사] + -이라[서술격 조사].
니라  닐온 能所證에 通며 凡聖에 通호 곧 이 이 䟽앳 理智예 通며 染淨에  디라】
요미 주018)
요미:
-(가리다, 가려내다, 분별하다) + -옴- + -이[주격 조사]. * 삽입 모음 ‘-오-’는 ‘ㅣ’ 뒤에서 ‘-요-’로 바뀜.
곧 眞知ㅣ 아닐 識의 아롤 곧 아니오 믄득 니루미 주019)
니루미:
니르-(이르다, 말하다) + -우-[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주격 조사]. * 삽입 모음 ‘-오-, -우-, -요-, -유-’는 모음 조화 표기법에 따라 구분 사용되었으나 혼란이 많음.
 眞知ㅣ 아닐  境界 아니라 【 니와도미 주020)
니와도미:
니왇-(일으키다) + -옴 + -이[주격 조사].
 이 妄想일 眞知ㅣ 아니니 眞知 반기  니즈며 照 려 주021)
려:
리-(버리다) + -어[앞선 동작 양태의 연결 어미].
말과 라 주022)
라:
(생각) + -이[주격 조사].
그츠니라 주023)
그츠니라:
긏-(끊다, 그치다) + -으니라[평서형 종결 어미].
心體 念을 여희며 念이 업서 念이 어루 여희며 어루 업숨 잇디 주024)
잇디:
잇-(있다) + -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니샤 性이 本來 淸淨이라 衆生이 가지로 두쇼 주025)
두쇼:
두-(置, 持) + -시-[‘이시-’의 준말] + -오- + -[설명의 연결 어미].
惑이 리여 주026)
리여:
리-(가리다) + -어[앞선 동작 양태의 연결 어미].
아디 몯 부톄 여러 뵈샤 다 아라 들에 주027)
들에:
들-(들다) + -게[보조적 연결어미]. * ‘ㄹ’ 아래에서 ‘-게’의 ‘ㄱ’이 탈락됨.
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한 마음이 진실하여 본래 스스로 능히 알아 이와 지에 통달하며, 염과 정에 서로 통하니, 화엄 문명품의 말과 같으니라. 【화엄에 각수 등 아홉 보살이 물으시되, 무엇이 부처 경계의 지입니까? 【능증지라.】 문수께서 게로 대답하시되, 제불의 지가 자재하시어 삼세에 가려짐이 없으시니 【권지를 비뚤게 알지 못함이 없으시므로, 이르시되 자재이고, 바로 삼제에 통하시므로 가려진 곳이 곧 없으시니라.】 이와 같은 혜의 경계는 평등하여 허공 같다 하시고 【실지이므로 말씀하시되 혜의 경이 평등하여 허공과 같다 하시니, 허공 같음은 약간 없는 것이니 약간은 수가 일정하지 못하는 말이라.】 또 물으시되, 무엇이 부처 경계의 지입니까? 【마음의 체상을 밝히는 것이라】 문수께서 게로 대답하시되 식이 능히 아는 곳 아니며, 또 마음의 경계가 아니라. 그 성이 본래 청정하니 많은 군생을 열어 보이시니라 하시거늘 저 소에 새겨 말하되 지는 곧 심체이니 【저 초에 이르되, 이 구는 표하여 보이는 것이니, 이르되 전에는 소증법을 대하시어 능증지를 밝히시고 이제는 영지의 마음이 목석과 달라, 능과 소와 증에 통함을 바로 이르시니라. 또 앞은 오직 불과의 권실지혜라. 범에 통하지 아니하므로 말씀하시되 불지자재라 하시고, 이 등은 범성에 통하므로 말씀하시되 성이 깨끗함을 군생을 열어 보이시는 것 들이라 하니라. 또 말하기를 능소증에 통하며 범성에 통함은 곧 이것이 이 소의 이지에 통하며 염정에 통하는 뜻이라.】 가려냄이 곧 진지가 아니므로 식이 아는 곳 아니고, 문득 일컬음이 또 진지가 아니므로 마음의 경계가 아니라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 또 이 망상이므로 진지가 아니니 진지는 반드시 마음을 잊으며 조를 버려 말씀과 생각이 그치니라.】 심체는 염을 여의며 염이 없어 염이 가히 여의며 가히 없음이 있지 아니하므로 말씀하시되 성이 본래 청정이라. 중생이 한가지로 두었으되 혹이 가려 알지 못하므로 부처께서 열어보이시어 다 알아 들게 하시니라.】
Ⓒ 역자 | 김동소 / 2002년 6월 22일

주석
주001)
아론:알- + -오- + -ㄴ[관형사형 어미].
주002)
이시면:이시-(있다) + -면[종속적 연결 어미].
주003)
니:-(통하다) + -니[연결 어미].
주004)
니라:-(같다) + -니라[평서형 종결 어미].
주005)
무르샤:묻-[‘ㄷ’ 불규칙 동사] + -으시- + -오- +-[설명의 연결 어미].
주006)
므스기:므슥(무엇) + -이[주격 조사].
주007)
룐:리-(가리다, 가려지다) + -오- + ㄴ[관형사형 어미].
주008)
업스시니:없- + -으시 + -니[연결 어미].
주009)
빗기:-(비뚤다, 비스듬하다) + -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10)
아디:알- + -디[보조적 연결 어미].
주011)
실:-(통하다) + -시 + -ㄹ[원인의 연결 어미].
주012)
교미라:기-(밝히다) + -옴 + -이라[서술격 조사].
주013)
여러:열-(열다) + -어[앞선 동작의 양태 연결 어미].
주014)
사겨:사기-(새기다, 해석하다) + -어[앞선 동작의 양태 연결 어미].
주015)
뵈요미니:뵈-(보이다) + -옴 + -이니[서술격 조사].
주016)
조호:좋-(깨끗하다) + -옴 + -[목적격 조사].
주017)
히라:ㅎ-(-들)[복수 접미사] + -이라[서술격 조사].
주018)
요미:-(가리다, 가려내다, 분별하다) + -옴- + -이[주격 조사]. * 삽입 모음 ‘-오-’는 ‘ㅣ’ 뒤에서 ‘-요-’로 바뀜.
주019)
니루미:니르-(이르다, 말하다) + -우-[삽입 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이[주격 조사]. * 삽입 모음 ‘-오-, -우-, -요-, -유-’는 모음 조화 표기법에 따라 구분 사용되었으나 혼란이 많음.
주020)
니와도미:니왇-(일으키다) + -옴 + -이[주격 조사].
주021)
려:리-(버리다) + -어[앞선 동작 양태의 연결 어미].
주022)
라:(생각) + -이[주격 조사].
주023)
그츠니라:긏-(끊다, 그치다) + -으니라[평서형 종결 어미].
주024)
잇디:잇-(있다) + -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5)
두쇼:두-(置, 持) + -시-[‘이시-’의 준말] + -오- + -[설명의 연결 어미].
주026)
리여:리-(가리다) + -어[앞선 동작 양태의 연결 어미].
주027)
들에:들-(들다) + -게[보조적 연결어미]. * ‘ㄹ’ 아래에서 ‘-게’의 ‘ㄱ’이 탈락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