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3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3]
주001)
:
때에. [時]+/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山河大地 六種震動 주002)
육종진동(六種震動):
세상에 상서로움이 있을 때, 대지가 진동하는 여섯 가지 모양. ① 동(動) : 흔들려 불안함. ② 기(起) : 아래서 위로 올라감. ③ 용(涌) : 솟아오르고 꺼저 내려가고 6방으로 출몰함. ④ 진(震) : 은은히 소리 남. ⑤ 후(吼) : 꽝하고 소리 냄. ⑥ 각(覺) : 물건을 깨닫게 함.
커 雪山 주003)
설산(雪山):
Himavat. 인도 북쪽에 뻗어 있는 큰 산. 언제나 눈이 있으므로 이렇게 이름. 히말라야의 옛 이름.
앳 五百 仙人이 이

월인석보 25:60ㄱ

瑞應 주004)
서응(瑞應):
경사스러운 표시.
을 보고 虛空애 라와 주005)
라와:
날아와. -[飛]+아/어+오-[來]+아/어.
尊者 절고 러 주006)
러:
꿇어. -[跪]+아/어.
 주007)
: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21ㄱ〉가.
長老 주008)
장로(長老):
āyușmant. 존자(尊者), 구수(具壽)라고 번역. 지혜와 덕이 높고 스님이 된 햇수가 많은 비구.
 佛法을 주009)
증(證):
신심(信心)과 수행한 공이 나타나서 진리에 계합함. 무상(無上)의 진리를 몸으로 체험함. 깨달음.
호리니 願 大慈샤 우리 度脫쇼셔 주010)
도탈(度脫)쇼셔:
해탈하게 하소서.
尊者ㅣ 야 請 바다 즉재 주011)
즉재:
즉시. 즉재[卽](거-평, 부사). 이는 같은 뜻의 ‘즉자히(거-평-거, 부사)’가 있는데, 같이 쓰였음.
殑伽河 주012)
긍가하(殑伽河):
Gangā. 음역 항하(恒河), 항수(恒水)라고도 함. 인도의 갠지스강을 이름.
 變야 다 金히 외에 주013)
외에:
되게. 외-[爲]+게/에. ‘게’의 ‘ㄱ’이 반모음 ‘ㅣ’ 아래에서 ‘ㅇ’으로 약화됨.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ㅸ〉오/우) ‘외-’가 됨.
고 仙衆 주014)
선중(仙衆):
선정(禪定)을 닦는 사람.

월인석보 25:60ㄴ

爲야 大法을 니고 尊者ㅣ  念호 주015)
염(念)호:
생각하되. 念-+오(연결어미).
아래 주016)
아래:
예전에. 일찍이. 아래(상-거, 부사). ‘아래’는 성조에 따라 의미차이를 보임. ‘아래(평-거, 명사)’는 ‘아래[下]’, ‘아래(상-거)’는 ‘예전[前日]’의 뜻임. 후자의 경우 ‘아(상-거/상-평)’으로도 나타남.
度脫혼 弟子ㅣ 다 주017)
다:
마땅이. 응당. 다(평-평-평, 부사).
모리라 주018)
모리라:
모일 것이다. 몯-[會]+(/으)리(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니 아니 한 더데 주019)
아니 한 더데:
오래지 않아. 잠시 동안. 아니+하[多]+ㄴ(관형사형 연결어미)#덛(때, 동안)+에(처소의 부사격조사).
五百 羅漢이 虛空로셔 주020)
허공(虛空)로셔:
허공으로부터. 虛空+(/으)로+셔(출발점의 부사격조사). → 〈40ㄴ〉좌(坐)로셔.
려오나 주021)
려 오나:
내려오거늘. 리-[下]+아/어+오-[來]+거/어/나. → 〈40ㄴ〉오나시.
仙人 爲야 出家야 주022)
구(具):
도구. 자재(資材). 돕는 수단.
심기니 주023)
심기니:
전하니. 전수하니. 심기[授]+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是時山河大地六種震動 雪山中有五百仙人 覩茲瑞應飛空而至 禮阿難足胡跪白言 我於長老當證佛法 願垂大慈度脫我等 阿難默然受請 即變殑伽河悉爲金地 爲其仙衆 說諸大法 阿難復念 先所度脫弟子應當來集 須臾五百羅漢從空而下 爲諸仙人出家受具

[아난의 정법 전지와 입멸 3]
그때 산하대지가 육종진동 하거늘 설산의 5백 선인이 이 서응을 보고 허공에서 날아와 존자께 절하고 꿇어 사뢰기를 “내가 존자에게서 〈말씀을 듣고〉 불법을(존자의 불법을) 증득하려 할 것이니, 원컨대 큰 자비를 베푸셔서 우리를 해탈하게 하소서.” 존자가 잠자코 청을 받아 즉시 갠지스강을 변화시켜 모두 금 땅이 되게 하고, 신선의 무리 위하여 대법을 이르고, 존자가 또 생각하되 ‘먼저 도탈한 제자가 마땅히 와 모일 것이다.’ 하니, 잠시 동안에 5백 나한이 허공에서 내려오니 선인들 위하여 출가하여 구를 전하니,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때에. [時]+/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주002)
육종진동(六種震動):세상에 상서로움이 있을 때, 대지가 진동하는 여섯 가지 모양. ① 동(動) : 흔들려 불안함. ② 기(起) : 아래서 위로 올라감. ③ 용(涌) : 솟아오르고 꺼저 내려가고 6방으로 출몰함. ④ 진(震) : 은은히 소리 남. ⑤ 후(吼) : 꽝하고 소리 냄. ⑥ 각(覺) : 물건을 깨닫게 함.
주003)
설산(雪山):Himavat. 인도 북쪽에 뻗어 있는 큰 산. 언제나 눈이 있으므로 이렇게 이름. 히말라야의 옛 이름.
주004)
서응(瑞應):경사스러운 표시.
주005)
라와:날아와. -[飛]+아/어+오-[來]+아/어.
주006)
러:꿇어. -[跪]+아/어.
주007)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 → 〈21ㄱ〉가.
주008)
장로(長老):āyușmant. 존자(尊者), 구수(具壽)라고 번역. 지혜와 덕이 높고 스님이 된 햇수가 많은 비구.
주009)
증(證):신심(信心)과 수행한 공이 나타나서 진리에 계합함. 무상(無上)의 진리를 몸으로 체험함. 깨달음.
주010)
도탈(度脫)쇼셔:해탈하게 하소서.
주011)
즉재:즉시. 즉재[卽](거-평, 부사). 이는 같은 뜻의 ‘즉자히(거-평-거, 부사)’가 있는데, 같이 쓰였음.
주012)
긍가하(殑伽河):Gangā. 음역 항하(恒河), 항수(恒水)라고도 함. 인도의 갠지스강을 이름.
주013)
외에:되게. 외-[爲]+게/에. ‘게’의 ‘ㄱ’이 반모음 ‘ㅣ’ 아래에서 ‘ㅇ’으로 약화됨. ‘외-’는 ‘-(평-평)’〈용가 98〉의 ‘ㅸ’ 소실로(ㅸ〉오/우) ‘외-’가 됨.
주014)
선중(仙衆):선정(禪定)을 닦는 사람.
주015)
염(念)호:생각하되. 念-+오(연결어미).
주016)
아래:예전에. 일찍이. 아래(상-거, 부사). ‘아래’는 성조에 따라 의미차이를 보임. ‘아래(평-거, 명사)’는 ‘아래[下]’, ‘아래(상-거)’는 ‘예전[前日]’의 뜻임. 후자의 경우 ‘아(상-거/상-평)’으로도 나타남.
주017)
다:마땅이. 응당. 다(평-평-평, 부사).
주018)
모리라:모일 것이다. 몯-[會]+(/으)리(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9)
아니 한 더데:오래지 않아. 잠시 동안. 아니+하[多]+ㄴ(관형사형 연결어미)#덛(때, 동안)+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0)
허공(虛空)로셔:허공으로부터. 虛空+(/으)로+셔(출발점의 부사격조사). → 〈40ㄴ〉좌(坐)로셔.
주021)
려 오나:내려오거늘. 리-[下]+아/어+오-[來]+거/어/나. → 〈40ㄴ〉오나시.
주022)
구(具):도구. 자재(資材). 돕는 수단.
주023)
심기니:전하니. 전수하니. 심기[授]+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