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4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4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4]
이 安陁會 四角과 條節頭 주001)
조절두(條節頭):
가사(袈裟)에서 세로로 이어 붙인 천을 ‘조’라 하는데, 그 ‘조’ 마디의 첫 부분.
에 다 萬ㄷ 字ㅣ 잇고 주002)
잇고:
있고. 잇-[有]+고(연결어미).
≪節은 라 주003)
라:
마디라. 마디이다. [節](평-평)+Ø(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여기 둘째 음절의 ‘’는 서술격조사가 드러나지 않고, ‘:(상성)’로 변동됨.
≫ 이 오 주004)
오:
옷은. 옷[衣]+(보조사).
賢劫 주005)
현겁(賢劫):
현재의 겁. 천 불(千佛), 천오백 불(千五百佛) 등 많은 현인이 나타나 중생을 구제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함.
中에 주006)
:
매우. 가장. [最](거성, 부사).
처 주007)
처:
처음. 처[初, 始](거-평, 명사, 부사) 품사나 방점이 같이 씌었음.
지니라 이 寶塔이  주008)
:
모양이. 모습이. [樣子]+ㅣ(주격조사).
五寸 주009)
오촌(五寸):
다섯 치.

월인석보 25:53ㄴ

거늘 주010)
거늘:
같거늘. 같은데. -[如]+거늘/어늘(연결어미).
주011)
내:
내가. 나[我]+이/ㅣ(주격조사) → 〈8ㄴ〉네.
塔을 여러 주012)
여러:
열어. 열-[開]+아/어.
眞珠樓觀이 現니 그 數ㅣ 八萬이오 拘留孫佛 주013)
구류손불(拘留孫佛):
현겁의 천불(千佛) 가운데 첫째 부처님.
니샨 주014)
니샨:
이르신. 니-[說]+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오/우-’는 관형사절에 나타나는 것으로 의도법의 ‘-오/우-’와는 다른 것임. 선어말어미 ‘-시-’와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하면 ‘-쇼/슈-’가 아니라 ‘-샤/셔’로 나타남.
遺敎 다며 주015)
다며:
담으며. 담-[盛]+(/으)며.
주016)
뎌:
저. 뎌(거성, 관형사).
부텻 세 比丘ㅣ 坐禪얫거늘 주017)
좌선(坐禪)얫거늘:
좌선하고 있거늘. 坐禪-+아/어#잇/이시+거늘.
文殊를 命호 주018)
네:
네가. 너+이/ㅣ(주격조사). → 〈8ㄴ〉네.
法蠡 주019)
법라(法蠡):
법라(法螺)와 같음. 소라[卷貝] 끝에 피리를 붙인 악기의 한 가지.
가져 주020)
가져:
가져. 가지고. 가지-[持]+아/어.
比丘ㅅ 손 주021)
손:
에게. 여격조사는 일반적으로 관형격조사 ‘/의, ㅅ’과 ‘그, 거긔’ 및 ‘손’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원칙적으로 ‘/의+손’로 나타나야 하지만 ‘王손’처럼 ‘손’만으로도 여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阿闍世王ㄱ손 가니’〈석상 24:6ㄱ〉처럼 ‘-ㄱ손’로 쓰인 것도 있음.
佛興世曲 주022)
불흥세곡(佛興世曲):
부처님이 세상을 일으키는(흥하게 하는) 노래.
불라 주023)
불라:
불어라. 불-[吹]+라(명령법 종결어미).
야 文殊ㅣ 蠡 부러늘 入定 주024)
입정(入定):
선정(禪定)에 들어감. 마음을 한 곳에 정하고 몸, 입, 뜻의 삼업(三業)을 갈무리함.
 比丘ㅣ 즉재 주025)
즉재:
즉시. 곧. 즉재[卽](거-평, 부사). 이는 같은 뜻의 ‘즉자히(거-평-거, 부사)’와 같이 쓰였음.
니러 주026)
니러:
일어나. 닐-[起]+아/어.
文殊師利려 주027)
려:
에게.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무로 이제 어느 부톄出世시뇨 주028)
출세(出世)시뇨:
세상에 나타나셨는가? 出世-+시+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文殊對答호 주029)
대답(對答)호:
대답하되. 대답하기를. 對答-+오.
이 賢劫中 第四 釋迦佛 주030)
제사석가불(第四釋迦佛):
석가모니불을 달리 이르는 말. 불교에서는 지난 세상에 출현한 일곱 분의 부처〔과거 7불〕라 해서, 1)비바시불(毘婆尸佛), 2)시기불(尸棄佛), 3)비사부불(毘舍浮佛), 4)구류손불(俱留孫佛), 5)구나함모니불(俱那含牟尼佛), 6)가섭불(迦葉佛), 7)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을 이르는데, 이 중에서 앞의 3불을 과거 장엄겁(過去莊嚴劫)의 3불이라 하고, 나머지를 현재 현겁(現在賢劫)의 4불이라 함. 이 4불을 차례로 제1불, 제2불, 제3불, 제4불로 했을 때, 석가모니불이 ‘제4 석가불’이 됨.
이 出世시니라 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而此安陀會四角及條節頭 皆安萬字 此衣賢劫中最初而造 而此寶塔形同五寸 而世尊開塔現真珠樓觀 其數八萬 盛拘留孫佛所說遺教 又有彼佛三比丘坐禪 佛命文殊 汝取我法螺至 彼比丘所吹佛興世曲 文殊依命吹螺 入定比丘即起 問文殊師利 今有何佛出世 文殊答言 此賢劫中第四釋迦佛出世 이 보탑의 모습이 다섯 치가 같거늘 내가 탑을 열어 진주누관이 나타나니, 그 수가 8만이고 구류손불이 이르신 유교를 담았으며, 또 저 부처님의 세 비구가 좌선하고 있는데, 내가 문수에게 명하기를 “네가 내 법라를 가지고 저 비구에게 가 불흥세곡을 불어라.” 하니, 문수가 법라를 부니, 입정한 비구가 즉시 일어나 문수사리에게 묻되 “지금 어느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셨는가?” 문수가 대답하되 “이는 현겁 중의 제4 석가불이 출세하셨다.” 하니,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4]
이 안타회의 사각과 조 마디의 처음에 다 만 개의 글자가 있고≪‘절’은 마디이다.≫ 이 옷은 현겁 중에 가장 처음 지은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조절두(條節頭):가사(袈裟)에서 세로로 이어 붙인 천을 ‘조’라 하는데, 그 ‘조’ 마디의 첫 부분.
주002)
잇고:있고. 잇-[有]+고(연결어미).
주003)
라:마디라. 마디이다. [節](평-평)+Ø(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여기 둘째 음절의 ‘’는 서술격조사가 드러나지 않고, ‘:(상성)’로 변동됨.
주004)
오:옷은. 옷[衣]+(보조사).
주005)
현겁(賢劫):현재의 겁. 천 불(千佛), 천오백 불(千五百佛) 등 많은 현인이 나타나 중생을 구제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함.
주006)
:매우. 가장. [最](거성, 부사).
주007)
처:처음. 처[初, 始](거-평, 명사, 부사) 품사나 방점이 같이 씌었음.
주008)
:모양이. 모습이. [樣子]+ㅣ(주격조사).
주009)
오촌(五寸):다섯 치.
주010)
거늘:같거늘. 같은데. -[如]+거늘/어늘(연결어미).
주011)
내:내가. 나[我]+이/ㅣ(주격조사) → 〈8ㄴ〉네.
주012)
여러:열어. 열-[開]+아/어.
주013)
구류손불(拘留孫佛):현겁의 천불(千佛) 가운데 첫째 부처님.
주014)
니샨:이르신. 니-[說]+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오/우-’는 관형사절에 나타나는 것으로 의도법의 ‘-오/우-’와는 다른 것임. 선어말어미 ‘-시-’와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하면 ‘-쇼/슈-’가 아니라 ‘-샤/셔’로 나타남.
주015)
다며:담으며. 담-[盛]+(/으)며.
주016)
뎌:저. 뎌(거성, 관형사).
주017)
좌선(坐禪)얫거늘:좌선하고 있거늘. 坐禪-+아/어#잇/이시+거늘.
주018)
네:네가. 너+이/ㅣ(주격조사). → 〈8ㄴ〉네.
주019)
법라(法蠡):법라(法螺)와 같음. 소라[卷貝] 끝에 피리를 붙인 악기의 한 가지.
주020)
가져:가져. 가지고. 가지-[持]+아/어.
주021)
손:에게. 여격조사는 일반적으로 관형격조사 ‘/의, ㅅ’과 ‘그, 거긔’ 및 ‘손’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원칙적으로 ‘/의+손’로 나타나야 하지만 ‘王손’처럼 ‘손’만으로도 여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阿闍世王ㄱ손 가니’〈석상 24:6ㄱ〉처럼 ‘-ㄱ손’로 쓰인 것도 있음.
주022)
불흥세곡(佛興世曲):부처님이 세상을 일으키는(흥하게 하는) 노래.
주023)
불라:불어라. 불-[吹]+라(명령법 종결어미).
주024)
입정(入定):선정(禪定)에 들어감. 마음을 한 곳에 정하고 몸, 입, 뜻의 삼업(三業)을 갈무리함.
주025)
즉재:즉시. 곧. 즉재[卽](거-평, 부사). 이는 같은 뜻의 ‘즉자히(거-평-거, 부사)’와 같이 쓰였음.
주026)
니러:일어나. 닐-[起]+아/어.
주027)
려:에게.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주028)
출세(出世)시뇨:세상에 나타나셨는가? 出世-+시+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주029)
대답(對答)호:대답하되. 대답하기를. 對答-+오.
주030)
제사석가불(第四釋迦佛):석가모니불을 달리 이르는 말. 불교에서는 지난 세상에 출현한 일곱 분의 부처〔과거 7불〕라 해서, 1)비바시불(毘婆尸佛), 2)시기불(尸棄佛), 3)비사부불(毘舍浮佛), 4)구류손불(俱留孫佛), 5)구나함모니불(俱那含牟尼佛), 6)가섭불(迦葉佛), 7)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을 이르는데, 이 중에서 앞의 3불을 과거 장엄겁(過去莊嚴劫)의 3불이라 하고, 나머지를 현재 현겁(現在賢劫)의 4불이라 함. 이 4불을 차례로 제1불, 제2불, 제3불, 제4불로 했을 때, 석가모니불이 ‘제4 석가불’이 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