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상권)
  • 〈협주〉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②
  •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1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1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1]

월인석보 25:50ㄴ

주001)
다:
다. 모두. 다[皆](상성, 부사).
塔애 절고 큰 光明을 펴니 塔門이 절로 열어늘 주002)
열어늘:
열거늘. 열리거늘. 열리니. 열-[開]+거늘. ‘열-’은 자타동 겸용으로 쓰임.
四牙와 부텻 遺敎 보며 金銀臺觀 주003)
금은대관(金銀臺觀):
금은으로 꾸민 높은 건물.
이쇼 주004)
이쇼:
있는데. 잇/이시-[在]+오(연결어미).
그 數ㅣ 八萬이며 經律 주005)
경률(經律):
경장(經藏)과 율장(律藏).
다마 주006)
다마:
담아. 담고. 담-[盛]+아/어.
이시며 주007)
이시며:
있으며. 이시-[在]+며.
摩尼臺觀 주008)
마니대관(摩尼臺觀):
마니구슬로 꾸민 높은 건물.
이쇼우희 주009)
우희:
위에. 웋(ㅎ말음체언)[上]+/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녜 燈香 주010)
등향(燈香):
등불과 향.
로 供養며  겨틔 주011)
겨틔:
곁에. 곁[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銀題字 주012)
은제자(銀題字):
은 글자로 서적의 첫머리에 쓴 글.
이쇼釋迦文佛 告노니 처 成道 제 一牙印 주013)
아인(牙印):
어금니를 가지고 도장 찍는 것처럼 찍은 모양.
아 주014)
아:
앗아. 빼어. 앗-(ㅅ불규칙)[奪]+아/어. → 〈5ㄱ〉지.
주015)
네:
너의. 너+/의/ㅣ(관형격조사). ‘네(평성)’은 관형격, ‘네(상성)’은 주격임. → 〈8ㄴ〉네.
발 아래 印라 주016)
인(印)라:
도장 찍은 것처럼 모양을 만들라.
千輻輪 주017)
천폭륜(千輻輪):
부처님 발바닥에 있는 천 개의 수레바퀴 모양의 무늬.
이 現리라 버거 주018)
버거:
다음으로. 둘째로. 버거(평-거, 부사). ‘버거(평-평)’은 명사.
牙印아바다 주019)
바다:
손바닥에. 바[掌]+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印라萬ㄷ 字ㅣ 주020)
만(萬)ㄷ 자(字)ㅣ:
‘만(萬)’ 자가. 萬+ㄷ(사이시옷의 기능)#字+이/ㅣ(주격조사). 중세국어 관형격조사는 선행체언에 따라 ‘/의’와 ‘ㅅ’이 사용되었는데, 훈민정음 창제 초기의 문헌 특히 『용비어천가』, 『훈민음언해』에는 선행 체언의 음절말 자음에 따라 ‘ㅂ, ㅸ, ㄷ, ㅿ, ㆆ, ㄱ’ 등이 쓰였음.
現리라  一牙印아

월인석보 25:51ㄱ

가 주021)
가:
가슴[胸].
우희 印라 德相 주022)
덕상(德相):
부처님의 뛰어난 모습.
이 現리라  一牙印을 아 주023)
네:
너의. 너+/의/ㅣ(관형격조사). ‘네(평성)’은 관형격, ‘네(상성)’은 주격임. → 〈8ㄴ〉네.
頂上애 印라 大圓光이 現리라 얫더니 내 後에 成道야 이 주024)
네:
넷. 네[四](상성, 수사, 관형사). ‘:네(상성)’는 ‘네[四](수사)’와 ‘너[汝](대명사)+ㅣ(주격조사)가 결합한 것’과 ‘네(관형사)’의 세 가지가 있는데, 형태와 방점까지 동일하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 적절한 의미를 파악해야 함. 여기서는 수사로 사용됨.
印 브토니 주025)
브토니:
의지하니. 븥-[依]+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印호 주026)
인(印)호:
인함을. 도장 찍듯이 모양냄을. 印-+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조차 주027)
조차:
좇아. 따라. 좇-[從]+아/어.
相이 現호미 다 알 주028)
알:
앞에. 앒+/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더니 주029)
더니:
같더니. -[如]+더+니.
印 다 고 塔中에 녀호니 주030)
녀호니:
넣으니. 녛-[入]+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門이 自然히 다티니라 주031)
다티니라:
닫히니라. 닫혔다. 닫-[閉]+히(피동접미사)+니+라.
塔基예 銘文 주032)
명문(銘文):
쇠나 돌, 그릇 등에 새겨 놓은 글.
이쇼 주033)
이쇼:
있으되. 있는데. 잇/이시-[有]+오(연결어미).
≪基 미티오 주034)
미티오:
밑이고. 근본이고. 밑[本]+이/ㅣ(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어간말모음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ɦ〕로 표기된 것임.
銘은 조씨라 주035)
조씨라:
쪼는 것이다. 새기는 것이다. 좃-[鑿](ㅅ불규칙)+/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이 ‘’의 활용형은 ‘시(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 〈5ㄱ〉지.
≫ 袈裟 角애 두라 얫거늘 주036)
얫거늘:
하였거늘. 하니. -+아/어/야(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有]+거늘(연결어미).
成道 後로 左肩 上애 뒷노

월인석보 25:51ㄴ

주037)
뒷노라:
두었노라. 뒷-[置]++오/우+라. ‘두-[置]+잇-[有]’은 비통사적 합성어임.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太子受已禮拜 塔訖 放大光明 塔門自開 便見四牙及佛遺教 有金銀臺觀 其數八萬 並盛經律 又有摩尼臺觀 上常有燈香供養 并傍有銀題字告釋迦文佛 汝初成道時當取一牙印印汝脚 足下千輻輪現 次取一牙印印汝手掌中 便有萬字現 又取一牙印印汝胸臆上 便有德相現 又取一牙印印汝頂上 便獲大圓光現 我後成道依此四印 隨印現相 皆如前說 印竟內塔中門自然閉 塔基有銘文 令置袈裟角 自成道來置于左肩上

[삼의육물에 대한 설명과 가섭의 공덕·위력에 관한 이야기 41]
내가 받아 탑에 절하고 큰 광명을 펴니 탑문이 절로 열리니, 네 어금니와 부처의 유교를 보며 금은대관이 있는데 그 수가 8만이며 경률을 다 담고 있으며 또 마니대관이 있는데 위에 항상 등향으로 공양하며 또 곁에 은제자가 있는데 석가문불께 고하니, 네가 처음 성도한 때에 일아인을 빼어 너의 발 아래 인하라. 천폭륜이 나타날 것이다. 다음으로 하나의 아인을 빼어 네 손바닥에 인하라. 만 〈개의〉 글자가 나타날 것이다. 또 하나의 아인을 빼어 너의 가슴 위에 인하라. 덕상이 나타날 것이다. 또 하나의 아인을 취해서 너의 정수리에 인하라. 대원광이 나타날 것이다.’ 하였더니, 내가 후에 성도하여 이 네 가지 인을 의지하니 인함을 따라 상이 나타남이 모두 앞의 말 같더니 인을 다 하고(찍고) 탑 중에 넣으니, 문이 자연히 닫히니라(닫혔다). 탑기에 명문이 있는데 ≪‘기’는 밑이고 ‘명’은 새기는 것이다.≫ 가사 모서리에 두라 하니, 성도한 후로 왼 편 어깨 위에 두었노라.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다. 모두. 다[皆](상성, 부사).
주002)
열어늘:열거늘. 열리거늘. 열리니. 열-[開]+거늘. ‘열-’은 자타동 겸용으로 쓰임.
주003)
금은대관(金銀臺觀):금은으로 꾸민 높은 건물.
주004)
이쇼:있는데. 잇/이시-[在]+오(연결어미).
주005)
경률(經律):경장(經藏)과 율장(律藏).
주006)
다마:담아. 담고. 담-[盛]+아/어.
주007)
이시며:있으며. 이시-[在]+며.
주008)
마니대관(摩尼臺觀):마니구슬로 꾸민 높은 건물.
주009)
우희:위에. 웋(ㅎ말음체언)[上]+/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주010)
등향(燈香):등불과 향.
주011)
겨틔:곁에. 곁[傍]+/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 〈7ㄱ〉알.
주012)
은제자(銀題字):은 글자로 서적의 첫머리에 쓴 글.
주013)
아인(牙印):어금니를 가지고 도장 찍는 것처럼 찍은 모양.
주014)
아:앗아. 빼어. 앗-(ㅅ불규칙)[奪]+아/어. → 〈5ㄱ〉지.
주015)
네:너의. 너+/의/ㅣ(관형격조사). ‘네(평성)’은 관형격, ‘네(상성)’은 주격임. → 〈8ㄴ〉네.
주016)
인(印)라:도장 찍은 것처럼 모양을 만들라.
주017)
천폭륜(千輻輪):부처님 발바닥에 있는 천 개의 수레바퀴 모양의 무늬.
주018)
버거:다음으로. 둘째로. 버거(평-거, 부사). ‘버거(평-평)’은 명사.
주019)
바다:손바닥에. 바[掌]+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20)
만(萬)ㄷ 자(字)ㅣ:‘만(萬)’ 자가. 萬+ㄷ(사이시옷의 기능)#字+이/ㅣ(주격조사). 중세국어 관형격조사는 선행체언에 따라 ‘/의’와 ‘ㅅ’이 사용되었는데, 훈민정음 창제 초기의 문헌 특히 『용비어천가』, 『훈민음언해』에는 선행 체언의 음절말 자음에 따라 ‘ㅂ, ㅸ, ㄷ, ㅿ, ㆆ, ㄱ’ 등이 쓰였음.
주021)
가:가슴[胸].
주022)
덕상(德相):부처님의 뛰어난 모습.
주023)
네:너의. 너+/의/ㅣ(관형격조사). ‘네(평성)’은 관형격, ‘네(상성)’은 주격임. → 〈8ㄴ〉네.
주024)
네:넷. 네[四](상성, 수사, 관형사). ‘:네(상성)’는 ‘네[四](수사)’와 ‘너[汝](대명사)+ㅣ(주격조사)가 결합한 것’과 ‘네(관형사)’의 세 가지가 있는데, 형태와 방점까지 동일하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 적절한 의미를 파악해야 함. 여기서는 수사로 사용됨.
주025)
브토니:의지하니. 븥-[依]+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26)
인(印)호:인함을. 도장 찍듯이 모양냄을. 印-+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27)
조차:좇아. 따라. 좇-[從]+아/어.
주028)
알:앞에. 앒+/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29)
더니:같더니. -[如]+더+니.
주030)
녀호니:넣으니. 녛-[入]+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31)
다티니라:닫히니라. 닫혔다. 닫-[閉]+히(피동접미사)+니+라.
주032)
명문(銘文):쇠나 돌, 그릇 등에 새겨 놓은 글.
주033)
이쇼:있으되. 있는데. 잇/이시-[有]+오(연결어미).
주034)
미티오:밑이고. 근본이고. 밑[本]+이/ㅣ(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어간말모음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ɦ〕로 표기된 것임.
주035)
조씨라:쪼는 것이다. 새기는 것이다. 좃-[鑿](ㅅ불규칙)+/ㄹ(관형사형 연결어미)#(의존명사)+이/ㅣ(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이 ‘’의 활용형은 ‘시(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 〈5ㄱ〉지.
주036)
얫거늘:하였거늘. 하니. -+아/어/야(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有]+거늘(연결어미).
주037)
뒷노라:두었노라. 뒷-[置]++오/우+라. ‘두-[置]+잇-[有]’은 비통사적 합성어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